[영화개론] 에비에이터 영화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개론] 에비에이터 영화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표되는 자국 국민의 욕구이자 이상향인 것이다. 그가 \'헤라클레스\' 비행 성공 직후, 마지막 스스로 뇌까리는 \'이것이 우리의 미래다 \'라고 말하는 것은 결국 남과 다른 크기에 대한 욕구만이 미국의 살길이며 철학이라는 것이다.
그는 전형적인 미국 우월주의자이며 거기다 마초이즘의 소유자이다.. 잘못은 했지만, 솔직하면 그만이라는 자기 변론적인 궤변이나 내놓고(영화속에서 철저하게 감독은 그를 변호한다.)있다. 모든 발전과 성공을 위해서 자신은 최선을 다했으니, 나를 경배하라 이다...다른 어떤 누와 결점은 다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이다..(꼭 누구와 비슷하지 않는가?)
또한가지, 이념적으로 그가 헵번 가족의 집을 방문했을 때, 그는 이혼한 전남편과 단란히 살며, 유유자적 인생을 즐기며, 스스로 좌파이념을 지니고 있다는 가족에게 \"당신이 배고픔을 아냐?\"하며 조롱한다. 철저한 산업주의 논리 속에서 자란 그가 인간적인 평등과 개를 벗 삼아 예술과 철학을 논하는 그녀의 가족은 도대체 이해 불가일 뿐이다. 이렇듯, 영화를 보면서 이 영화가 미국 배트남전에 대한 비난과 독설을 내뿜는 \"스콜세지\"가 만든 영화인지 소스라치게 놀랐다.
그는 어느덧 마초이즘을 대변하는 그리고 전형적인 완벽한 우파로 회귀한 노인네가 되어버렸다는 생각에 세월의 무상함과 아카데미상에 걸맞게 바둥바둥하는 감독이 되어버렸다는 사실이 무척이나 씁쓸하게 느껴진다. 뭐 자기 나라가 좋아하고, 자기 나라의 색깔을 갖춘 감독이 되어버렸다면 할말이 없지만, 예술의 목적이 올바른 인간의 삶에 대한 탐구이자 고민이라면 그의 이번 행보가 무척 낯설음은 물론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