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과 노인에 관한 영화감상(집으로, 부라보 김순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촌과 노인에 관한 영화감상(집으로, 부라보 김순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원에서, 한 낮의 거리에서 만나는 노인의 모습에서 사회에서 소외된 자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자식들에게 모든 것을 주고 홀로 남은 노인들은 무기력한 모습으로 이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우리 사회는 이런 모습을 그저 바라볼 뿐이다. 누구나 힘들었던 IMF이후 노인문제는 더욱 심각해졌지만 사회적 관심은 오히려 줄어들었고, FTA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그들의 설 자리는 더욱 위태롭게 느껴진다. 이 위태로움은 실직한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어쩔 수 없는 정과, 삶의 극한의 상황까지 내몰리게 된 김순봉의 모습에서 더욱 처연하게 보여 진다. 경제적 고통과 사회적 무관심 등 영화는 노인 문제에 대해 보여주고 있다.
(2) 빈곤
주인공 김순봉씨는 그저 빡스를 주어 파는 것이 유일한 용돈벌이 이며, 월세방의 월세금은 힘든 이 세상을 어렵게 살아가는 아들에게 눈치를 보며 겨우 그 돈을 대고 있다. 정부의 도움을 받고 싶지만 그에게 정부는 냉정하기만 하다. 그에겐 아들이 있지만 IMF때 실직하고 노점상을 하며 근근이 살고 있는 모습을 영화를 통해 우리는 알 수 있다. 잘사는 사람은 더욱 잘살고 빈곤한 사람은 그 빈곤을 대물립 할 만큰 빈곤해 지고 있는 양극화 현상과 빈곤문제에 대해 감독은 영화에서 말하고 있다.
4) 감상문
이 영화는 고작 15분밖에 되지 않는 단편영화이다. 하지만 그 15분 동안 우리사회의 노인의 자살 문제와 빈곤 문제에 대해 그 어떤 말보다도 잘 표현해 보여주고 있다. IMF 이 후 노숙자 문제, 빈곤문제, 가족해체, 사회적 양극화 현상 등 많은 사회문제를 우리나라는 경험하게 된다. 특히 더욱 빈곤해지는 노인들은 자살을 결심하거나 쓸쓸히 죽음을 맞게 되는 사회적 문제는 우리사회를 더욱 가슴 아프게 하고 있다. ‘자신의 70대에 어떨까?‘ 하고 감독은 말하고 있다. 과연 나의 70대에는 어떠한 모습일지 나도 궁금해진다. 그러나 하나 확실한건 우리나라의 노인문제가 이대로 간다면, 현재의 노인들의 모습과 별 반 다르지 않을 것이란 것이다. 나도 결국 소주잔의 낙지처럼 살아보려고 애써 보지만 결국 나는 그 소주잔을 나오지 못할 것이다. 젊음은 이미 흘러가고, 남은 건 늙은 몸밖에 없는 상황에서 나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 지금의 문제는 미래에 나에게 일어날 수 있는 문제이며, 고통임을 느낄 수 있었으며, 우리들의 할아버지와 할머니들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영화였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7.02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6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