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개론] 애니메이션 모노노케 히메를 통해 본 영웅 신화 서사구조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개론] 애니메이션 모노노케 히메를 통해 본 영웅 신화 서사구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르게 변하는 산을 바라보는 장면을 보며, 산이 아마도 아시타카와 함께 인간에 대한 미움을 딛고 인간세상에서 살아가는, 소위 말하는 밝고 행복한 미래를 예상했을 것이다. 하지만 감독은 그런 관객들의 예상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산은 들개신과 함께 산으로 돌려보내고, 아시타카는 인간들이 다시 이룰 인간의 마을 타타라바로 돌려보내는 이별을 설정한다. 이것은 처음에 분석하고자 했던 영웅 신화 마지막 부분의 귀환이 될 것이다. 하지만 영웅의 귀환치고 좀 썰렁한 면이 없지 않다. 멀게는 옛 전래동화, 가깝게는 헐리우드 영화 속에서의 영웅들은 마지막 장면에선 언제나 미인을 얻거나 큰 부자가 되는 등의 모험에 대한 보상을 얻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 비한다면 아시타카의 경우 소중한 흑요석(가지고 있는 사람을 지켜준다고 함)까지 준 사람과 이별이라니 영웅에 대한 가혹한 배신이라고 감독의 냉정함에 무지한 서운함을 비칠 수도 있다. 하지만 전반의 내러티브를 보건데, 감독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아주 중요한 문제를 이야기하고 자하는 것은 분명하다. 특히나 자연과 인간의 문제를 다루는데 있어 완전한 해피엔딩을 설정하는 것이 아직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에 대한 원망을 가슴 속에 남겨둔 산이 산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직 인간에 대한 아물지 않은 상처를 가지고 있는 자연을 상징하며, 아시타카와 같이 무언가를 깨달은 현재를 사는 우리에게 소중한 것을 지키고 아끼며, 공존할 수 있는 따뜻한 마음이 성숙될 때 그 상처도 아물 수 있음을 감독은 말하고 싶었을 것이다. 아시타카가 반드시 산을 만나러 올 것이라는 약속처럼 말이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0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