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상에 대한 이해
1. 공리주의란?
2. 벤담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양적 공리주의)
3. 밀의 공리주의의 수정 (질적 공리주의)
4. 공리주의의 문제점
Ⅱ. 나의 경험, 그리고 공리주의
Ⅲ.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예화 분석
Ⅳ. 결론
1. 공리주의란?
2. 벤담의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양적 공리주의)
3. 밀의 공리주의의 수정 (질적 공리주의)
4. 공리주의의 문제점
Ⅱ. 나의 경험, 그리고 공리주의
Ⅲ.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예화 분석
Ⅳ. 결론
본문내용
: 고추 농사만 망친 게 아닙니다. 우리 논 좀 보세요. (칠판에 붙인 그림을 가리키며) 미루나무 그늘 때문에 이렇게 벼 이삭이 영글지도 못하니, 미루나무를 자를 수밖에 없어요.
마을 사람 2 : 그렇지만마을 사람들이 일을 하다가 잠시 쉬기도 하고, 아이들이 모여 놀기도 하는 곳인데, 꼭 나무를 베어야 하나요?
경미 아버지 : 그럼 우리더러 헛농사를 지으란 말입니까? 어쨌든 미루나무를 베어 버릴 테니, 그런 줄 아세요. (큰 톱을 들고 나가려 한다.)
마을 사람 3 : 나무를 베기만 해 봐. 가만두지 않을테니!
마을 사람 4 : (싸움을 말리며) 싸워서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대책을 마련해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대책은 무슨 대책이야! (마을 사람 모두가 팔을 내저으며 아우성을 친다.)
마을 사람 4 : 모두들 진정하세요! 동수네와 경미네가 손해를 보지 않고 마을 사람들에게 좋은 방법을 생각해 봐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그런 방법이 있을까?
이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것은 다수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이 충돌할 때 빚어지는 여러 가지 관점과 방법, 대책에 대한 내용이다. 이러한 학습 목표를 정확히 주지하도록 하고 역할을 정해서 연극을 해보는 활동이 가능하다.
이 단원에서는 개인과 단체의 권리나 이익이 충돌했을 경우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누리는 미루나무를 베어버릴 경우 쾌락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리주의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미루나무를 베어버리면 안 된다는 주장을 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쾌락은 훨씬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마을 전체의 쾌락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수인 동수네와 경미네가 서로 양보해야 한다는 설명이 함께 이루어지면 더욱 좋을 것이다.
하지만 동수네와 경미네도 재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기 때문에 동수네와 경미네에는 재산에 손해를 끼친 만큼의 배상을 마을 단위에서 보상해 주는 등의 합의점을 찾도록 노력해야한다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주의할 점은 단순히 ‘베어버린다’, 또는 ‘베지 못하게 한다’와 같이 한 쪽에 치우쳐 상대편은 고려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르지 못하게 해야 한다. 혹 그랬을 경우에는 좀 더 생각하여 양 쪽의 입장을 모두 존중할 만한 수정된 계획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Ⅳ. 결론
공리주의에 대한 정리와 그에 관련된 나의 경험 생각,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예화를 분석하면서 공리주의에 대해 어느 정도는 이해하게 된 느낌이다. 공리주의는 우리 삶에 깊숙이 뿌리박고 있다. 다수결의 원칙이나 규칙 공리주의에서 교통규칙 등 알게 모르게 많은 관련을 맺고 있는 것 같다.
인류가 발전해오면서 수많은 사상이 탄생하고 번영해왔지만 필요없고 의미없는 사상은 없고, 특별히 옳거나 그른 사상도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요소가 행복이라고 생각하는데, 공리주의에서의 궁극적 목표 또한 행복이다. 법과 도덕에 반하지 않고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 범위 안에서 내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살아가고자 하는 것이 나의 소소한 바람이다.
마을 사람 2 : 그렇지만마을 사람들이 일을 하다가 잠시 쉬기도 하고, 아이들이 모여 놀기도 하는 곳인데, 꼭 나무를 베어야 하나요?
경미 아버지 : 그럼 우리더러 헛농사를 지으란 말입니까? 어쨌든 미루나무를 베어 버릴 테니, 그런 줄 아세요. (큰 톱을 들고 나가려 한다.)
마을 사람 3 : 나무를 베기만 해 봐. 가만두지 않을테니!
마을 사람 4 : (싸움을 말리며) 싸워서 해결될 일이 아닙니다. 대책을 마련해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대책은 무슨 대책이야! (마을 사람 모두가 팔을 내저으며 아우성을 친다.)
마을 사람 4 : 모두들 진정하세요! 동수네와 경미네가 손해를 보지 않고 마을 사람들에게 좋은 방법을 생각해 봐야지요.
마을 사람 모두 : 그런 방법이 있을까?
이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것은 다수의 이익과 개인의 이익이 충돌할 때 빚어지는 여러 가지 관점과 방법, 대책에 대한 내용이다. 이러한 학습 목표를 정확히 주지하도록 하고 역할을 정해서 연극을 해보는 활동이 가능하다.
이 단원에서는 개인과 단체의 권리나 이익이 충돌했을 경우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누리는 미루나무를 베어버릴 경우 쾌락이 줄어들기 때문에 공리주의의 관점으로 보았을 때 미루나무를 베어버리면 안 된다는 주장을 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쾌락은 훨씬 많은 사람들이 누리는 마을 전체의 쾌락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수인 동수네와 경미네가 서로 양보해야 한다는 설명이 함께 이루어지면 더욱 좋을 것이다.
하지만 동수네와 경미네도 재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기 때문에 동수네와 경미네에는 재산에 손해를 끼친 만큼의 배상을 마을 단위에서 보상해 주는 등의 합의점을 찾도록 노력해야한다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주의할 점은 단순히 ‘베어버린다’, 또는 ‘베지 못하게 한다’와 같이 한 쪽에 치우쳐 상대편은 고려하지 못한 채 일방적으로 무시할 수 있는 방법을 고르지 못하게 해야 한다. 혹 그랬을 경우에는 좀 더 생각하여 양 쪽의 입장을 모두 존중할 만한 수정된 계획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Ⅳ. 결론
공리주의에 대한 정리와 그에 관련된 나의 경험 생각,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예화를 분석하면서 공리주의에 대해 어느 정도는 이해하게 된 느낌이다. 공리주의는 우리 삶에 깊숙이 뿌리박고 있다. 다수결의 원칙이나 규칙 공리주의에서 교통규칙 등 알게 모르게 많은 관련을 맺고 있는 것 같다.
인류가 발전해오면서 수많은 사상이 탄생하고 번영해왔지만 필요없고 의미없는 사상은 없고, 특별히 옳거나 그른 사상도 없다고 생각한다. 나는 살아가는 데 가장 필요한 요소가 행복이라고 생각하는데, 공리주의에서의 궁극적 목표 또한 행복이다. 법과 도덕에 반하지 않고 남에게 피해주지 않는 범위 안에서 내 자신의 행복을 위해 살아가고자 하는 것이 나의 소소한 바람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