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리주의 사상의 이론적 쟁점
(1)공리주의란??
(2) 공리주의 배경은??
(3) 양적공리주의와 질적공리주의
(4)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
(5) 공리주의의 한계
2. 자신의 경험 사례 -공리주의 이론에 비추어
3. 도덕과 교육의 적용 - 수업에 적용
4. 느낀점
(1)공리주의란??
(2) 공리주의 배경은??
(3) 양적공리주의와 질적공리주의
(4) 행위 공리주의와 규칙공리주의
(5) 공리주의의 한계
2. 자신의 경험 사례 -공리주의 이론에 비추어
3. 도덕과 교육의 적용 - 수업에 적용
4. 느낀점
본문내용
부탁하며, 서로 먼저 가려다 엉킨 차들을 차례대로 한 대씩 보냈습니다.
처음에는 ‘자기가 뭔데!’하는 표정으로 아저씨의 신호를 무시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차들이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자, 아저씨의 신호를 따르며 고마워했습니다.
그 아저씨도 다른 사람들에게 듣기 싫은 말을 하고 싶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그 아저씨는 그런 생각을 잠시 접고, 교통 경찰관의 역할을 기꺼이 한 것입니다.
수업에 적용
(1) 아이들에게 각자 이야기를 읽어보게 한 후 첫 번째 문항을 질문한다. 복잡한 도로에서는 어떤 마음을 가져야 서로 짜증나지 않고 빨리 갈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여 본문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알아본다. ex)복잡한 도로에서는요, 일단 나만, 나부터 빨리 가면 되겠지 하는 생각을 버려야 해요. 아참 혹시 갓길인가 그 옆에 길로 가면 안 된다고 저번에 아빠한테 들었어요. 어쨌든 서로 양보하면서 가야될 거 같은데요...
(2) 그리고 난후 만약 혼자만 앞서 가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운전한다면 어떻게 될지 질문한다. ex) 사고가 날 것 같아요. 앞지르기를 하면 굉장히 위험해요 그냥 천천히 질서 지키며 가는 게 좋아요
(3) 이 이야기에 나온 시민 경찰관 역할을 한 아저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한다.
ex) 아저씨가 용기가 있는 것 같아요. 아저씨도 바쁠 텐데 시간을 내서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한다는 것이 훌륭한 것 같아요.
(4)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는 아이 발표를 시킨다. ex) 저는 공원에 부모님과 놀러갔는데요, 그곳에 쓰레기 모아둔 곳이 있었는데 어떤 아저씨가 이 곳은 쓰레기 버리는 곳이 아니라며 치우셨어요. 그래서 사람들 모두 그곳에 버리지 않게 되었어요.
(5) 아이들에게 느낀 점을 말해 보게 한 후 자신의 다짐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한다.
ex) 저는 저보다 먼저 다른 사람들의 이익도 생각하고 그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아야겠어요. 그래서 저는 떠오른 사람이 바로 환경미화원 아저씨인데 환경미화원 아저씨 그림
을 그리고 편지를 써야겠어요. 저도 환경미화원 아저씨처럼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해야겠어요.
▶이러한 수업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본문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공공의 이익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할 것이다. 또한 자신이 느낀 바를 표현해보는 활동을 통하여 아이들 자신도 그러한 공익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사는 가치관을 내재할 것이다.
4. 느낀점
과제를 빨리 해서 낼 수 있었는데, 교수님께서 그럴 바엔 좀 더 잘해서 한 주 더 늦게 내도 괜찮다고 하셔서 내용에 충실해서 내려고 하여 과제를 늦게 완성했다. 하지만 열심히 노력했지만 생각한대로 나의 사고의 깊이가 얕고 자료도 많이 참고를 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웠다. 그러나 공리주의를 표면적으로 이해하는 것보다 이렇게 스스로 내가 공부하여 깊게 이해하고 그것을 나의 경험에 비추어 다시 한번 생각해보기도 하고, 스스로 수업 계획도 짜보는 연습을 하여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 다음의 과제는 더 빠르고, 더 내용의 질에 충실해서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처음에는 ‘자기가 뭔데!’하는 표정으로 아저씨의 신호를 무시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차들이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하자, 아저씨의 신호를 따르며 고마워했습니다.
그 아저씨도 다른 사람들에게 듣기 싫은 말을 하고 싶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도 그 아저씨는 그런 생각을 잠시 접고, 교통 경찰관의 역할을 기꺼이 한 것입니다.
수업에 적용
(1) 아이들에게 각자 이야기를 읽어보게 한 후 첫 번째 문항을 질문한다. 복잡한 도로에서는 어떤 마음을 가져야 서로 짜증나지 않고 빨리 갈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여 본문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알아본다. ex)복잡한 도로에서는요, 일단 나만, 나부터 빨리 가면 되겠지 하는 생각을 버려야 해요. 아참 혹시 갓길인가 그 옆에 길로 가면 안 된다고 저번에 아빠한테 들었어요. 어쨌든 서로 양보하면서 가야될 거 같은데요...
(2) 그리고 난후 만약 혼자만 앞서 가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운전한다면 어떻게 될지 질문한다. ex) 사고가 날 것 같아요. 앞지르기를 하면 굉장히 위험해요 그냥 천천히 질서 지키며 가는 게 좋아요
(3) 이 이야기에 나온 시민 경찰관 역할을 한 아저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한다.
ex) 아저씨가 용기가 있는 것 같아요. 아저씨도 바쁠 텐데 시간을 내서 다른 사람들을 위해 봉사한다는 것이 훌륭한 것 같아요.
(4) 이와 비슷한 경험이 있는 아이 발표를 시킨다. ex) 저는 공원에 부모님과 놀러갔는데요, 그곳에 쓰레기 모아둔 곳이 있었는데 어떤 아저씨가 이 곳은 쓰레기 버리는 곳이 아니라며 치우셨어요. 그래서 사람들 모두 그곳에 버리지 않게 되었어요.
(5) 아이들에게 느낀 점을 말해 보게 한 후 자신의 다짐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활동을 한다.
ex) 저는 저보다 먼저 다른 사람들의 이익도 생각하고 그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아야겠어요. 그래서 저는 떠오른 사람이 바로 환경미화원 아저씨인데 환경미화원 아저씨 그림
을 그리고 편지를 써야겠어요. 저도 환경미화원 아저씨처럼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해야겠어요.
▶이러한 수업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본문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공공의 이익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할 것이다. 또한 자신이 느낀 바를 표현해보는 활동을 통하여 아이들 자신도 그러한 공익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사는 가치관을 내재할 것이다.
4. 느낀점
과제를 빨리 해서 낼 수 있었는데, 교수님께서 그럴 바엔 좀 더 잘해서 한 주 더 늦게 내도 괜찮다고 하셔서 내용에 충실해서 내려고 하여 과제를 늦게 완성했다. 하지만 열심히 노력했지만 생각한대로 나의 사고의 깊이가 얕고 자료도 많이 참고를 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웠다. 그러나 공리주의를 표면적으로 이해하는 것보다 이렇게 스스로 내가 공부하여 깊게 이해하고 그것을 나의 경험에 비추어 다시 한번 생각해보기도 하고, 스스로 수업 계획도 짜보는 연습을 하여서 매우 유익한 시간이었다. 다음의 과제는 더 빠르고, 더 내용의 질에 충실해서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