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평화 통일’의 개념과 의의
Ⅱ. ‘평화 통일’ 가치에 대한 교과서 분석과 오류 및 대안 사례
Ⅲ. ‘평화 통일’ 교과서 재구성을 통한 새로운 교수 ․ 학습 과정안
※참고문헌
Ⅱ. ‘평화 통일’ 가치에 대한 교과서 분석과 오류 및 대안 사례
Ⅲ. ‘평화 통일’ 교과서 재구성을 통한 새로운 교수 ․ 학습 과정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로 자유롭게 왕래하지도 못하고 갈라져서 살게 되었어요.
- 그런 이산가족들의 소원은 무엇일까요?
- 그래요. 그럼 이산가족들의 소원이 이루어지려면 통일이 되어야 하지요? 어떤 통일이 이루어져야 할까요?
- 평화통일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맞아요. 그러면 빠른 시일 내에 평화적으로 통일이 이루어 질수 있겠네요.
♣ 규범의 필요성과 타당성 찾기
- 지금 전 세계에서 분단되어 지내고 있는 국가는 우리 남북한 밖에 없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분단된 채 지내던 국가들이 몇 있었어요. 독일과 베트남이 바로 그 예인데요. 교과서 128쪽을 읽어볼까요?
독일과 베트남의 통일에 관하여 더 자세히 알아본다.
- 먼저 베트남의 통일에 대해서 이야기해봅시다. 베트남은 어떤 통일을 하였나요?
- 지금 베트남의 현실은 어떠한가요?
- 이번에는 독일의 통일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요?
- 서독과 동독은 통일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나요?
- 서독과 동독은 통일되기 전에 서로 편지도 보낼 수 있었어요. 우리도 하루 빨리 그런 날이 와아 하겠지요?
- 우리 정부도 남과 북의 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어떤 일들을 하고 있나요?
- 이밖에 남과 북의 통일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 그렇게 되면 평화통일이 이루어 질 수 있겠네요. 평화통일은 왜 이루어져야 할까요?
- 여러분 모두 잘 알고 있네요. 이제 선생님이 준 학습지에 615 공동선언문이 있어요. 자유롭게 읽어보고 무슨 내용인지 발표해봅시다.
- 교과서를 읽어본다.
- 평화통일을 위해 한걸음씩 나가야 한다고 하고 있어요.
- 그래서 이산가족이 생겼어요.
- 가족과 친척들을 만나보고 함께 사는 것이요.
- 고향을 찾아가 보는 것이요.
- 평화통일이요.
- 전쟁이나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루는 것이요.
- 서로 대화를 나누어요.
- 전쟁을 하지 말자고 약속을 해요.
- 교과서를 읽는다.
- 전쟁으로 인한 통일이 이루어 졌어요.
- 전쟁의 폐해가 아직도 많이 남아 있어요.
-동독이 서독에 통합되는 식의 평화통일을 이루었어요.
- 서로 자유롭게 왕래를 하였어요.
- 네.
-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요.
- 금강산 관광이요.
- 서로 조금씩 양보해요.
- 서로 믿어야 해요.
- 독일처럼 자유롭게 왕래하도록 해요.
- 평화통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도 베트남처럼 불행해질 수 있어요.
- 전쟁이나 폭력에 의한 무력통일은 아무런 의미가 없어요.
- 각자 적어본다.
- 4~5명 정도 발표를 한다.
남북 공동 선언문 학습지 제공
♣ 차시예고하기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동영상을 보여준 후 6가지 경우를 모둠별로 나누어 주고, 대본(2~4분 분량) 만들기를 과제로 낸다.
- 다음 시간에는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역할극을 해보겠습니다. 각 모둠별로 상황에 맞는 역할극을 2~4분 분량으로 만들어오세요.
<역할극 상황>
* 아버지가 북에서 내려오고 어머니가 자녀를 키운 가정
* 어머니가 북에 살고 아버지가 남에 와서 살아온 가정
* 할머니가 북에서 돌아가셔서 아버지가 슬픔에 잠긴 가정
* 형제가 남과 북에 떨어져 살다가 다시 만난 가정
* 북으로 갔던 딸이 돌아와 가족이 함께 만난 가정
* 통일로 새로 만난 가족을 축하해주는 이웃집의 가정
이산가족 동영상 제공
판서 계획
제재 : 9. 한 마음으로 평화 통일을
☞ 학습문제 : 평화통일을 이루어야 하는 까닭을 안다.
평화통일을 위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에 대해 안다.
※참고문헌
인터넷 통일학교 : http://tongil.moe.go.kr/
국립국어원 : http://www.korean.go.kr/
- 그런 이산가족들의 소원은 무엇일까요?
- 그래요. 그럼 이산가족들의 소원이 이루어지려면 통일이 되어야 하지요? 어떤 통일이 이루어져야 할까요?
- 평화통일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맞아요. 그러면 빠른 시일 내에 평화적으로 통일이 이루어 질수 있겠네요.
♣ 규범의 필요성과 타당성 찾기
- 지금 전 세계에서 분단되어 지내고 있는 국가는 우리 남북한 밖에 없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분단된 채 지내던 국가들이 몇 있었어요. 독일과 베트남이 바로 그 예인데요. 교과서 128쪽을 읽어볼까요?
독일과 베트남의 통일에 관하여 더 자세히 알아본다.
- 먼저 베트남의 통일에 대해서 이야기해봅시다. 베트남은 어떤 통일을 하였나요?
- 지금 베트남의 현실은 어떠한가요?
- 이번에는 독일의 통일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요?
- 서독과 동독은 통일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나요?
- 서독과 동독은 통일되기 전에 서로 편지도 보낼 수 있었어요. 우리도 하루 빨리 그런 날이 와아 하겠지요?
- 우리 정부도 남과 북의 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어떤 일들을 하고 있나요?
- 이밖에 남과 북의 통일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 그렇게 되면 평화통일이 이루어 질 수 있겠네요. 평화통일은 왜 이루어져야 할까요?
- 여러분 모두 잘 알고 있네요. 이제 선생님이 준 학습지에 615 공동선언문이 있어요. 자유롭게 읽어보고 무슨 내용인지 발표해봅시다.
- 교과서를 읽어본다.
- 평화통일을 위해 한걸음씩 나가야 한다고 하고 있어요.
- 그래서 이산가족이 생겼어요.
- 가족과 친척들을 만나보고 함께 사는 것이요.
- 고향을 찾아가 보는 것이요.
- 평화통일이요.
- 전쟁이나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루는 것이요.
- 서로 대화를 나누어요.
- 전쟁을 하지 말자고 약속을 해요.
- 교과서를 읽는다.
- 전쟁으로 인한 통일이 이루어 졌어요.
- 전쟁의 폐해가 아직도 많이 남아 있어요.
-동독이 서독에 통합되는 식의 평화통일을 이루었어요.
- 서로 자유롭게 왕래를 하였어요.
- 네.
-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요.
- 금강산 관광이요.
- 서로 조금씩 양보해요.
- 서로 믿어야 해요.
- 독일처럼 자유롭게 왕래하도록 해요.
- 평화통일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우리도 베트남처럼 불행해질 수 있어요.
- 전쟁이나 폭력에 의한 무력통일은 아무런 의미가 없어요.
- 각자 적어본다.
- 4~5명 정도 발표를 한다.
남북 공동 선언문 학습지 제공
♣ 차시예고하기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동영상을 보여준 후 6가지 경우를 모둠별로 나누어 주고, 대본(2~4분 분량) 만들기를 과제로 낸다.
- 다음 시간에는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역할극을 해보겠습니다. 각 모둠별로 상황에 맞는 역할극을 2~4분 분량으로 만들어오세요.
<역할극 상황>
* 아버지가 북에서 내려오고 어머니가 자녀를 키운 가정
* 어머니가 북에 살고 아버지가 남에 와서 살아온 가정
* 할머니가 북에서 돌아가셔서 아버지가 슬픔에 잠긴 가정
* 형제가 남과 북에 떨어져 살다가 다시 만난 가정
* 북으로 갔던 딸이 돌아와 가족이 함께 만난 가정
* 통일로 새로 만난 가족을 축하해주는 이웃집의 가정
이산가족 동영상 제공
판서 계획
제재 : 9. 한 마음으로 평화 통일을
☞ 학습문제 : 평화통일을 이루어야 하는 까닭을 안다.
평화통일을 위해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에 대해 안다.
※참고문헌
인터넷 통일학교 : http://tongil.moe.go.kr/
국립국어원 : http://www.korean.go.kr/
추천자료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강화방안
재량활동의 개념, 미디어교육 재량활동 사례, 진로교육 재량활동 사례, 한국문화교육 재량활...
배드민턴 교수학습지도안(연구수업,특별장학)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역사, 학교통일교육의 실태, 학교통일교육의 지향점, 학교통일...
학교통일교육의 현실과 기본방향, 학교통일교육과 북한이해교육, 학교통일교육과 음악교육, ...
6)도덕-통일 한국을 향하여-통일과정과 통일 이 후 예상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5)도덕-5. 하나이면서 둘 - 진정한 통일의 의미 알아보기
현대 소설 교육의 실제 - 박완서의 「나목」을 중심으로 -
[도덕과 수업연구 지도안] [인간 존중 도덕 수업 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