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Prayer』에 설명된 신비주의적 종교의 구원관과 내세관
제2장 『Prayer』에 설명된 예언자적 종교의 구원관과 내세관
제3장 대충 본 힌두교의 구원관
제1절 힌두교의 해탈의 길
제2절 바르나아슈라마다르마
제4장 서론도 없이 결론
참고문헌
제2장 『Prayer』에 설명된 예언자적 종교의 구원관과 내세관
제3장 대충 본 힌두교의 구원관
제1절 힌두교의 해탈의 길
제2절 바르나아슈라마다르마
제4장 서론도 없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계를 향한 고통스러운 과정인 반면, 예언적인 구원은 자신의 비참함의 대한 인식 속에서 가지게 되는 선을 향한 갈망에 대한 절대자의 응답이다.
힌두교는 그 특성상 구원론의 종합선물세트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비슈누 신앙에서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를 비슈누 신의 아바타로 인식하고 불교를 힌두교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인 것을 생각하면 힌두교의 그것들 중 하나와 매우 유사할 것으로 짐작되는 불교의 구원론 역시 힌두교의 것으로 포함되었을 것이다. 심지어는 비슈누를 기리는 사원에는 예수상이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마음먹고 힌두교 하나만 잘 들춰보면…”이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힌두교의 구원론은 하일러의 이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그것은 구원에 대한 상반된 견해들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근본적으로는 힌두교 자체가 하일러의 전제와 맞지 않는 형태를 띠는 종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마음먹고 힌두교 하나만 잘 들춰봐도….”
참고문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세계종교사입문』 서울: 청년사, 2003.
Friedrich Heiler, PRAY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32.
힌두교는 그 특성상 구원론의 종합선물세트가 무엇인지 보여준다. 비슈누 신앙에서 불교의 창시자인 석가모니를 비슈누 신의 아바타로 인식하고 불교를 힌두교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인 것을 생각하면 힌두교의 그것들 중 하나와 매우 유사할 것으로 짐작되는 불교의 구원론 역시 힌두교의 것으로 포함되었을 것이다. 심지어는 비슈누를 기리는 사원에는 예수상이 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마음먹고 힌두교 하나만 잘 들춰보면…”이라는 생각을 해보게 된다. 힌두교의 구원론은 하일러의 이론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 그것은 구원에 대한 상반된 견해들이 공존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근본적으로는 힌두교 자체가 하일러의 전제와 맞지 않는 형태를 띠는 종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마음먹고 힌두교 하나만 잘 들춰봐도….”
참고문헌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세계종교사입문』 서울: 청년사, 2003.
Friedrich Heiler, PRAY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3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