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과 교육] -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론의 개괄

2. 나의 경험사례

3. 초등학교 5학년 도덕교과서

4. 결어

본문내용

택할 수 있는 성품을 얻는 일이기 때문에, 훌륭한 성품이 습관처럼 굳건해진다면 덕은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을 지도할 때에는 이러한 일상생활에서의 항상 맞닥뜨리는 윤리적 선택의 기로가 전부 도덕적 반성의 순간이라는 것을 주지시켜야 하겠다.
또 “마땅한 때에, 마땅한 일에 대하여, 마땅한 사람들에 대하여, 마땅한 동기로 그리고 마땅한 태도로” 라는 것이 문제가 되는데, 만약 칭찬을 받고 싶거나 남들에게 좋은 인상을 심어주고 싶어서 이러한 행동을 했다면 그것은 완전히 바람직한 행위라고는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실제 생활에서 아이들이 마음을 상하는 큰 이유 중의 하나가 착한 일을 했는데도 칭찬을 못 받거나, 위 예 같은 경우에 아주머니가 시큰둥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이다. 그럴 경우에 아이들은 많이 낙담하거나 실의에 빠지는데 \'마땅한 동기\'의 측면에서 설혹 남에게서 칭찬을 받지 못하여도, 행위의 목적이 따로 존재하는 이상, 그 의미는 퇴색하지 않는다는 것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주어야 하겠다.
4. 결어
칸트의 경우에는 인간 이성에 대해 맹신의 수준까지 이르렀는데, 아마 칸트는 사람들을 많이 접해보지 못하였거나, 남을 가르쳐 본 경험이 거의 없어서 보통의 인간이 얼마나 용렬한지를 알지 못하였다고 생각하며, 그는 하나의 이상론을 제시한데에 의의가 있다고 본다. 공리주의의 경우에는 너무 상대적이고 가변적이어서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 식의 이론이라 생각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이야말로 그의 중용처럼, 중심을 잃지도 않으면서 현실 적용도 뛰어난 이론이 아닌가 생각하며 이만 글을 줄이고자 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