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작하기 전에 ...
2. 공리주의에 대하여...
3. 경험사례
4. 공리주의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어떤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할 것인가?
5. 글을 마무리 하면서...
2. 공리주의에 대하여...
3. 경험사례
4. 공리주의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어떤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전달할 것인가?
5. 글을 마무리 하면서...
본문내용
용은 아이들이 두 팀으로 나눠 축구 경기를 하려고 하는데 한 사람이 부족했다. 아이들은 운동 신경이 떨어져 운동 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철수라는 아이를 불러 운동을 하자 고 말을 했다. 철수는 운동을 하긴 싫었지만 자신과 친한 다수의 친구들이 축구를 하자고 제안을 하여 마지못해 축구를 했다. 철수는 운동 신경이 떨어져 축구하면 서 자주 넘어지고 상대편에게 공을 자주 빼앗겼다. 결국 철수의 팀이 경기에서 졌 다. 철수와 같은 편 아이들은 경기 중에는 재미있게 축구를 하였지만 경기 후에는 철수 때문에 경기에서 졌다고 투덜대면서 교실로 들어갔다. 이 이야기를 아이들에 게 말해주고 물어 본다. 진정 철수에게 잘못이 있는지. 여러 번 아이들과 문답을 하면서 생각을 교류한다. 그리고 마지막 한마디를 하면서 수업을 마무리 하고 아 이들이 내가 이야기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한다.‘철수는 축구를 하기 싫었지만 다수의 친구들이 원해서 축구를 한 것이다. 친구들 이 사람이 부족해서 축구를 할 수 없는 상황이었는데 철수 덕분에 자신들이 하고 싶어 한 축구를 재미있게 했는데 그 결과가 나빴다고 철수에게 비난을 할 수 있는 것인가? 철수는 다수의 친구들의 행복을 위해서 한 행동이었는데 결국 철수만 마 음의 상처를 받게 되었다. 결과는 나빴지만 철수는 친구들을 위해서 최선을 다한 행동이니까 그 친구들이 경기가 끝나고 철수를 따뜻하게 위로해줘야 하는 것이 올 바른 행동이 아닐까’라는 말을 하면서 수업을 마무리한다. 공리주의 ‘최대 다수 의 최대 행복’이라는 말이 성립되기 위해서는 다수의 소수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는 의미를 이론적인 설명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위와 같이 이야기 속에 녹여 설명을 한다면 아이들이 공리주의 핵심을 더욱 잘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 고 생각한다.
5. 글을 마무리 하면서...
: 이번 과제를 통해서 공리주의에 대한 나의 편견을 버릴 수 있었다. 과제 전에는 공리주의라는 개념이 다수의 논리를 소수에게 강요만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밀의 [공리주의]라는 책을 읽고 나서 공리주의의‘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개념이 소수의 희생을 무조건 적으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는 소수를 배려하는 생각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철학 사상이라는 것 이 우리와 동 떨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가 알게 모르게 우리의 삶 깊숙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5. 글을 마무리 하면서...
: 이번 과제를 통해서 공리주의에 대한 나의 편견을 버릴 수 있었다. 과제 전에는 공리주의라는 개념이 다수의 논리를 소수에게 강요만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밀의 [공리주의]라는 책을 읽고 나서 공리주의의‘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이라는 개념이 소수의 희생을 무조건 적으로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는 소수를 배려하는 생각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철학 사상이라는 것 이 우리와 동 떨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가 알게 모르게 우리의 삶 깊숙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리주의 - 이론
공리주의 - 이론과 경험사례 - 교과서 적용 - 6나와 우리
공리주의-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 [이론 사례 수업 적용]
도덕 교육론 - 나의 사례 적용 - 6 우리 모두의 이익을 위하여 - 빈 터
어떻게 가르칠까 - 공리주의 - 결과주의 - 나의 사례 및 도덕교육에 적용
초등도덕교육 - 배려윤리 - 길리건 나딩스 의의와 한계 사례
초등도덕교육 - 공리주의 -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 5 서로 존중하는 태도 - 죽은사람과 산 사...
[초등도덕교육] 공리주의의 입장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실현)
초등도덕교육 - 공리주의 -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 - 6 나와 우리 - 빈 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