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창의적 문제해결
I. 문제해결의 프로세스, 분류, 제약요소
1. 문제해결 프로세스
2. 문제해결의 분류
1/ 구조화된 문제와 비구조화된 문제
2/ 운영수준의 문제 대 전략수준의 문제
3/ 위기발생 문제 대 기회발생 문제
3. 문제해결의 제약
1/ 문화적 제약조건
2/ 위기에서의 의사결정
3/ 시간관리
4/ 관리상의 제약조건
5/ 개인수준의 제약조건
II. 집단토의방식 문제해결
* 참고문헌
I. 문제해결의 프로세스, 분류, 제약요소
1. 문제해결 프로세스
2. 문제해결의 분류
1/ 구조화된 문제와 비구조화된 문제
2/ 운영수준의 문제 대 전략수준의 문제
3/ 위기발생 문제 대 기회발생 문제
3. 문제해결의 제약
1/ 문화적 제약조건
2/ 위기에서의 의사결정
3/ 시간관리
4/ 관리상의 제약조건
5/ 개인수준의 제약조건
II. 집단토의방식 문제해결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문제를 세분화 시켜본다.
- 문제가 다른 방식으로 해석 가능한가 살펴본다. 다른 구조로 문제를 파악해 본다.
- 수평적 사고를 갖는다. 논리적 사고로 사고의 폭을 넓혀 탐색을 확장한다.
6/ 기능적 제약
문제해결에 있어서 불필요한 장벽을 세우는 것에 도전하는 것이다.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기법은 이의 해소를 위해 도움을 준다. 그리고 문제해결 스타일을 해결 지향적에서 문제 지향적으로 바꾼다. 해결 지향적 사고를 갖고 있는 사람은 문제를 탐색하지 않고 바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문제 지향적 사고를 지닌 사람은 해결책을 찾기 전에 충분한 정보 수집을 하여 보다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II. 집단토의방식 문제해결
집단에서의 문제해결은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면서 갈등을 겪어야 우수한 창의적인 해결안이 나온다. 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각 관점의 차이점이 논의되도록 부추겨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의견이 많이 논의 되어 나타나면 이를 인지적 다양성(cognitive diversity)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심화될 때 해결안의 인지적 관점의 차이점은 논의자의 감정적 대립으로 발전할 수 있다. 논의자 간의 감정적 대립이나 마찰에 의한 갈등은 참여자의 문제해결에 대한 몰입을 저해한다. 이처럼 문제해결 팀의 구성원간의 정서적 반응(affective responses)이 부정적일 경우 문제해결을 위한 협동적 노력은 줄어들게 될 것이다.
문제해결 팀에서 해결안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게 나오면 해결안의 질이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참여 구성원들 간에 상호 정서적 수용이 높다면 구성원들의 문제해결에 대한 몰입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표> 문제해결의 인지적 다양성과 정서적 수용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문제가 다른 방식으로 해석 가능한가 살펴본다. 다른 구조로 문제를 파악해 본다.
- 수평적 사고를 갖는다. 논리적 사고로 사고의 폭을 넓혀 탐색을 확장한다.
6/ 기능적 제약
문제해결에 있어서 불필요한 장벽을 세우는 것에 도전하는 것이다. 브레인스토밍과 같은 기법은 이의 해소를 위해 도움을 준다. 그리고 문제해결 스타일을 해결 지향적에서 문제 지향적으로 바꾼다. 해결 지향적 사고를 갖고 있는 사람은 문제를 탐색하지 않고 바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 문제 지향적 사고를 지닌 사람은 해결책을 찾기 전에 충분한 정보 수집을 하여 보다 성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II. 집단토의방식 문제해결
집단에서의 문제해결은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면서 갈등을 겪어야 우수한 창의적인 해결안이 나온다. 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을 낼 수 있도록 격려하고, 각 관점의 차이점이 논의되도록 부추겨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의견이 많이 논의 되어 나타나면 이를 인지적 다양성(cognitive diversity)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가 심화될 때 해결안의 인지적 관점의 차이점은 논의자의 감정적 대립으로 발전할 수 있다. 논의자 간의 감정적 대립이나 마찰에 의한 갈등은 참여자의 문제해결에 대한 몰입을 저해한다. 이처럼 문제해결 팀의 구성원간의 정서적 반응(affective responses)이 부정적일 경우 문제해결을 위한 협동적 노력은 줄어들게 될 것이다.
문제해결 팀에서 해결안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게 나오면 해결안의 질이 높다고 볼 수 있으며, 참여 구성원들 간에 상호 정서적 수용이 높다면 구성원들의 문제해결에 대한 몰입이 크다고 볼 수 있다.
<표> 문제해결의 인지적 다양성과 정서적 수용
* 참고문헌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