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쉽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인효론의 문제는 기독교 또는 예언자적 종교가 전제되어 있어야 더욱 명료한 분석의 기준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하게 불교와 유교가 인효론적이라고만 할 수 없는 측면도 있다. 더욱 철저한 신봉자들은 자기 완성의 목표의 이니시어티브를 자신이 갖고 있지 않는 경우도 우리는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떠한 형태로든 나름의 궁극적 실재가 존재한다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역사성의 문제에 있어서는 비교적 유교가 철저하게 역사적인 종교라고 할 수 있다. 유교의 궁극적 목적은 현실세계에서 이뤄진다. 그러나 불교는 차원이 다르다. 현세 자체를 거부하는 경향이 짙다. 속세를 떠나는 것이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역시 신비주의는 유교 보다는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그러한 점은 샤머니즘이나 하류층이 의미하는 내용과 연결된다. 결론적으로 가톨릭 수용기의 한국종교 지형에서는 신비주의와의 관련된 종교적 색채가 약했지만 개신교 수용기에 있어서는 신비주의와 관련된 종교적 특성이 보다 두드러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구교 수용기 한국종교 지형과 신비주의의 관계는 보다 면밀한 검토와 토론이 있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반기독교운동과 치유방안
종교다원주의에 대하여 개혁주의 입장에서 비판하라
[신학][신복음주의][자유주의][근본주의][경건주의][개혁교회][감리교회]신학의 의미, 신복음...
신비주의와 이단의 역사 _ 이용도의 신비주의(이용도의 신비주의에 관한 최근의 논의들, 이용...
[신비주의 연구] 한국적 종교상황에서의 한국 기독교 신비주의 고찰 가능성 모색
[신비주의 연구] 새주파 신앙운동 -창교자 생애 김성도 신비주의 성립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 (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
교회론적 제자훈련과 교회 성장 연구 - 교회론적 관점에서의 평신도 중심의 제자훈련과 교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