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주의발달
II. 기억발달
1. 기억책략
2. 상위기억
3. 각본기억
III. 마음의 이론
* 참고문헌
II. 기억발달
1. 기억책략
2. 상위기억
3. 각본기억
III. 마음의 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새로운 사건을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새로운 사건은 전형적인 사건보다 기억하기 어렵다(Farrar & Goodman, 1992). 그러나 대체로 각본은 유아의 기억 과정에 도움이 되는데, 앞으로의 상황을 예측하도록 하거나 새로운 경험을 이해하고 기억하도록 틀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Vasta et al. 1999).
한편, 각본의 완성도와 복잡성은 유아의 연령과 더불어 증가한다. 심지어 1~2세 영아도 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두 가지 일들의 순서에 대한 단순한 각본을 가지고 있지만(Bauer, Wenner, Dropik, & Wewerka, 2000), 유아기 에는 각본이 점차 정교화되어진다. 예를 들어, 3세 유아의 친구의 생일잔치에 대한 각본은 '케이크를 먹고, 선물을 열고, 놀고, 집으로 오는 것'으로 구성되는 반면, 5세 유아의 생일잔치 각본은 '친구의 어머니가 풍선을 사오고, 케 이크를 굽고, 양초를 꽃고, 친구가 옷을 차려 입고, 다른 친구들이 와서 선물을 주고, 게임을 하고, 케이크를 먹고, 선물을 열고, 집으로 돌아오는 것' 과 같이 길고 복잡해진다.
III. 마음의 이론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이란 인간의 행동이 마음 속에서 믿거나 바라고 의도하는 것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을 일컫는다.
마음의 이론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구 과제는 헛믿음(false belief) 과제이다. 헛믿음에 대한 개념은 사람들이 진실이 아닌 신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Vasta et al. 1999). 헛믿음 과제의 한 예에서 Sally라는 아이는 바구니를 가지고 있고, Anne이라는 아이는 상자를 가지고 있다. Sally가 바구니 속에 구슬을 넣어 두고 나간 사이에 Anne이라는 아이가 구슬을 바구니에서 꺼내어 상자 속에 집어넣는다. 이후 Sally가 돌아와서 어디에서 구슬을 찾을까를 질문하면, 성인들은 Sally가 자신이 없는 동안 구슬이 다른 곳에 숨겨졌다는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구슬을 보았던 바구니에서 구슬을 찾을 것이라고 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3세 유아는 Sally가 상자 속에서 구슬을 찾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림. 헛믿음 과제
또 다른 헛믿음 과제의 예로, 크레용 상자 안에 실제로는 양초가 들어있는 것을 보여주고 난 후 유아들에게 처음에 상자 속에 무엇이 있을 것이라고 믿었었는지를 질문하였다. 이때, 3세 유아는 양초라고 답하는 데 반해, 4세는 크레용이라고 답하는데 이는 4세 유아가 사람들이 잘못된 믿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Vasta et al. 1999).
마음의 이론 발달 과정에서 유아는 우선 마음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나면, 2-3세경에 욕구나 정서, 그리고 정신적 상태, 의도적인 행위나 욕구를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3세 경에는 안다, 기억한다, 생각한다와 같은 인지적 용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그 후 추측하는 것과 아는 것, 믿는 것과 상상하는 것, 의도한 것과 고의가 아닌 것을 더 잘 구분할 수 있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한편, 각본의 완성도와 복잡성은 유아의 연령과 더불어 증가한다. 심지어 1~2세 영아도 한 상황에서 일어나는 두 가지 일들의 순서에 대한 단순한 각본을 가지고 있지만(Bauer, Wenner, Dropik, & Wewerka, 2000), 유아기 에는 각본이 점차 정교화되어진다. 예를 들어, 3세 유아의 친구의 생일잔치에 대한 각본은 '케이크를 먹고, 선물을 열고, 놀고, 집으로 오는 것'으로 구성되는 반면, 5세 유아의 생일잔치 각본은 '친구의 어머니가 풍선을 사오고, 케 이크를 굽고, 양초를 꽃고, 친구가 옷을 차려 입고, 다른 친구들이 와서 선물을 주고, 게임을 하고, 케이크를 먹고, 선물을 열고, 집으로 돌아오는 것' 과 같이 길고 복잡해진다.
III. 마음의 이론
마음의 이론(theory of mind)이란 인간의 행동이 마음 속에서 믿거나 바라고 의도하는 것으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능력을 일컫는다.
마음의 이론 연구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연구 과제는 헛믿음(false belief) 과제이다. 헛믿음에 대한 개념은 사람들이 진실이 아닌 신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Vasta et al. 1999). 헛믿음 과제의 한 예에서 Sally라는 아이는 바구니를 가지고 있고, Anne이라는 아이는 상자를 가지고 있다. Sally가 바구니 속에 구슬을 넣어 두고 나간 사이에 Anne이라는 아이가 구슬을 바구니에서 꺼내어 상자 속에 집어넣는다. 이후 Sally가 돌아와서 어디에서 구슬을 찾을까를 질문하면, 성인들은 Sally가 자신이 없는 동안 구슬이 다른 곳에 숨겨졌다는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구슬을 보았던 바구니에서 구슬을 찾을 것이라고 답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3세 유아는 Sally가 상자 속에서 구슬을 찾을 것이라고 말한다.
그림. 헛믿음 과제
또 다른 헛믿음 과제의 예로, 크레용 상자 안에 실제로는 양초가 들어있는 것을 보여주고 난 후 유아들에게 처음에 상자 속에 무엇이 있을 것이라고 믿었었는지를 질문하였다. 이때, 3세 유아는 양초라고 답하는 데 반해, 4세는 크레용이라고 답하는데 이는 4세 유아가 사람들이 잘못된 믿음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Vasta et al. 1999).
마음의 이론 발달 과정에서 유아는 우선 마음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고 나면, 2-3세경에 욕구나 정서, 그리고 정신적 상태, 의도적인 행위나 욕구를 나타내는 단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3세 경에는 안다, 기억한다, 생각한다와 같은 인지적 용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그 후 추측하는 것과 아는 것, 믿는 것과 상상하는 것, 의도한 것과 고의가 아닌 것을 더 잘 구분할 수 있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인간발달과 가족
인지 발달
[정신건강론] 유아기의 발달 특성과 발달 과제 및 부모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행동특성 그리고...
[유아기 사고능력발달] 유아의 사고능력의 발달(전조작적 사고기, 전조작적 사고의 특징, 마...
[유아발달 A형] 유아기의 인지 발달의 특성을 설명하고 적절한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또한...
[유아기 기억발달] 기억의 과정과 구조, 유아기의 기억과 정보처리기술, 유아기 기억형태, 유...
유아기 기억발달
아동기 인지발달(아동기 구체적 조작능력의 발달, 지능발달, 기억발달)
[아동기 인지발달] 구체적 사고기, 지능발달(지능이론과 지능검사), 정보처리능력의 발달(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