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 당뇨 케이스 - 당뇨 당뇨 CASE 당뇨 간호과정 당뇨 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학) 당뇨 케이스 - 당뇨 당뇨 CASE 당뇨 간호과정 당뇨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탄수화물은 적게 식이섬유는 많이 섭취한다.
- 염분과 기름기를 적게 섭취한다.
- 규칙적으로 적은 칼로리를 세끼로 나누어 섭취한다.
- 물 이외의 다른 음료수는 먹지 않도록 한다.
1. 고혈당 측정 시, PRN으로 Apidra를 용량에 맞게 투여함.
2. 자신이 현재 저혈당임을 알고 간호사에게 알린 후 교육한대로 과일 쥬스와 사탕을 섭취하여 대처함. 저혈당증 예방을 위해 침상 서랍에 사탕과 과일 쥬스를 준비해둠.
3. 식사 후 30분 동안 병동 복도를 걸으며 운동함.
4. 교육한 대로 적극적으로 정확히 수행함.
5. “혈당 조절하려면 좋아하는 음식 먹고 싶어도 참아야죠.”라고 말하며 혈당 조절을 위한 식이 요법 수행을 노력 하려는 의지를 나타냄.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1. 대상자는 저혈당의 증상을 알고 교육받은 대로 간호사에게 알린 후 사탕을 섭취하여 대처하였다.
2. 대상자는 혈당 수치 132로 불안정 하였으나, 인슐린투여로 혈당 수치 112로 유지되었다.
3. 대상자는 혈당 감시법, 인슐린 주사법, 운동요법, 식이요법에 대해 알고 실천했다.
Problem #. 2: 치아상태 변화, 신경성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영양부족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올바른 영양섭취를 통해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1.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정상체중을 회복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제공된 식사량의 90%이상 섭취할 것이다.
3. 대상자는 규칙적인 식사와 적절한 간식을 섭취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영양부족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한다.
2. 대상자가 섭취하는 식사와 간식의 비율을 관찰한다.
3. 식사를 이행할 때 불편한 점을 사정한다.
4. 혈당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이상 체중을 달성하며 적절한 영양상태 유지를 위한 간호를 교육하고 실시한다.
- 처방된 식이에 대한 교육을 강화시키고 처방된 식이를 개인적 기호와 구체적 욕구에 적응시키는 방법에 대해 상담을 한다.
- 처방된 당뇨식이를 이행하도록 대상자를 격려하고 적절한 음식의 선택을 돕는다.
- 인슐린과 포도당 사이에 바람직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정확한 시간과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식사와 간식을 제공한다.
1. 체중이 5kg감소하여 현재 41kg이며, BMI 17.98점으로 저체중임.
2. 대상자는 처방된 상식 당뇨식과 간식을 일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섭취함.
“병원에서 나오는 것만 먹고, 다른 간식은 잘 안 먹어요.” 라고 규칙적인 식사를 수행함을 표현함.
3. 치아 상태가 불량하여 음식물을 씹는 데에 어려움을 호소하며 연식을 원함. 상식 당뇨식에서 연식 당뇨식 1700kcal로 식이 처방 변경됨.
4. 대상자는 세끼 식사의 규칙성 및 정상체중 유지의 중요성을 인지하였고, 식사량과 간식섭취를 엄격하게 조절하며 당뇨병의 식사원칙을 알고 있음.
“먹고 싶은 거 다 먹고 싶지는 하지만 그래도 혈당 유지하려면 절제하고 또 많이 먹으면 안 되니까 안 먹어야죠.” 라고 혈당을 유지하기 위한 의지를 나타냄.
“밥 먹기 싫어도 열심히 먹어서 47kg까지 쪄서 얼른 퇴원해야죠.” 라며 처방된 당뇨식을 이행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1. 대상자의 체중이 41kg에서 3일 후 43.7kg으로 증가했다.
2. 대상자는 연식으로 변경 된 후 식사하기가 편해졌다고 말하며 제공된 식사량의 90%정도를 섭취했다고 말했다.
3.대상자는 규칙적으로 제공되는 식사와 간식 섭취를 지켰다.
Problem #. 5: 치통, 우울, 불안과 관련된 불면증
General Goal(일반적 목표): 대상자는 충분한 야간 수면을 취할 수 있다.
Predicted Behavioral Outcome Object(s):
1. 대상자는 중간에 깨지 않고 8시간 이상 야간 수면을 취했다고 말할 것이다.
2. 대상자는 우울감에 울거나 뒤척이지 않고 30분 이내에 잠들었다고 말할 것이다.
Nursing Strategies(간호중재)
Patient Responses(간호중재에 대한 환자의 반응)
1. 대상자의 수면시간과 양상에 대해 사정한다.
2. 대상자가 인지하고 있는 불면에 대한 원인이 무엇인지 사정한다.
- 우울과 불안과 관련된 문제를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 대상자의 얘기를 경청하며, 적절한 시선맞춤과 신체접촉을 통해 대상자가 충분히 우울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위로한다.
3. 불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동원한다.
-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
- 이완요법
- 어두운 조명
- 낮 동안의 신체적 활동
4. 처방된 항불안제, 항우울제, 최면진정제(Zolpiram, Lexapro, Bigson, Razepam)를 투약한다.
5. 치통이 심할 때는 얼음주머니를 적용한다.
1. 잠들기 전 우울감에 잠드는 게 힘들고, 잠이 든 후에는 6시간정도 수면을 취함. 중간에 깨는 경우는 드물게 있음.
2. 혼자 누워있으면 자꾸만 남편과 시댁가족들로부터 무시당하고 폭력 당했던 기억이 떠올라 우울과 불안감에 사로잡혀 눈물을 흘리는 경우가 많고 이 때문에 잠들기가 힘이 든 것 같다고 말하며, 과거의 일을 떠올리며 이야기하며 눈물을 흘림.
3. 잠들기 전 이완요법이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말함. 낮 동안 계속 누워있지 않고 활동하며 깨어있으려는 노력을 보임.
4. 잠들기 전 처방받은 약을 모두 먹음.
5. 얼음주머니를 대고 있으니 통증이 훨씬 덜하다고 함.
Evaluation: Summarize patent progress toward outcome objective:
1. 대상자는 중간에 깨지 않고 7시간 정도 야간 수면을 취했지만 깊게 자지는 못했다고 말했다.
2. 대상자는 우울감은 여전히 있었으나 정도가 덜 하였고, 잠드는 데에 30분 정도 걸렸으며 이전보다는 잠들기 조금 나아진 것 같다고 말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9.02.2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