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③ 정확한 선열을 유지할 수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④ 자세를 바꿀 때 천천히 안정되게 하도록 한다.
⑤ 대상자로 하여금 의미 있고 즐거운 상상을 하게하여 관심을 돌린다.( 예 : 집으로 돌아가서 손자와 노는 것.)
⑥ 대상자와 함께 기분전환 활동들(독서, TV 시청, 음악감상 등)을 계획한다.
의료팀이나 가족들이
통증 대상자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곁에 있어 주는 것 만으로도 통증이 완화된다.
잘못된 자세는 만성적인 근육긴장과 통증을 유발한다.
상상을 통해 충분한 감각자극이 들어오면 뇌간에서 금지신호를 투사하여 척수의 통증관문이 닫힌다.
기분전환은 내인성의 마약을 방출하여 관문통제기전을 변경함으로써 통증인식을 감소시킨다.
간호
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2
목적 :
대상자는 점차적으로 신체 활동이 증진된다.
기대되는 결과 :
1. 대상자는 11월 29일까지 통증 없이 가능한 활동이 증가한다.
2. 대상자는 12월 4일까지 계획된 운동을 수행하고 기록한다.
1. 대상자는 11월 29일까지 침상안정을 하며 신체 활동을 증가시킨다.
① 대상자의 통증 및 활동을 사정한다.
② 안정을 권장하고 점차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킨다.
③ 침상안정을 하는 동안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하도록 격려한다.
④ 손목과 팔꿈치의 굴절과 신전운동을 격려한다.
⑤ 일상활동(세안, 머리빗기, 양치질)에 팔을 사용하도록 하며, 팔사용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⑥ 장액종 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외전을 피한다.
⑦ 대상자 및 대상자의 가족에게 관절 운동과 근육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관절 범위 운동을 교육한다.
⑧ 침상안정을 하는 동안 수동적능동적 관절범위 운동을 실시한다.
2. 11월 29일부터 계획된 운동을 수해하며 활동량을 기록한다.
① 대상자의 활동량을 사정한다.
② 유방절제술 후 재활을 위한 운동 계획을 세운다.
a. 똑바로 일어선 후 허리를 대고 기대선 후 팔을 앞뒤양옆으로 흔든다.
b. 벽에 팔을 똑바로 짚고 선 후 팔은 편다. 팔과 어깨를 이완시키고 벽을 짚은 손에 상체를 의지한 후 몸을 원이치 시킨다.
c. 벽을 보고서서 손바닥을 벽에 댄 후 손가락으로 벽을 타고 내린다.
d. 번갈아가며 각각의 손가락을 구부렸다 폈다 한다.
③ 재활을 돕는 일상 활동을 교육한다.
a. 방 청소 : 바닥 쓸기, 마루 닦기, 서랍 여닫기, 빨래 짜기.
b. 창문 이용하기 : 창문 올리기, 닦기, 창문의 블라인드 올리고 내리기, 창문 커튼 열고 닫기.
c. 기타 : 바느질, 뜨개질, 타이핑, 악기 연주.
④ 침대에서 일어날 때 체위성 저혈압을 방지하기 위해 천천히 일으키도록 한다.
⑤ 걷는 것이 힘들다면 보조기구를 먼저 이용하도록 한다.(예 : 보행기)
⑥ 점진적으로 활동 수준(운동량, 운동 지속 시간)을 증가시킨다.
⑦ 활동과 반좌위의 휴식을 적절히 번갈아 하도록 한다.
⑧ 대상자에게 하루 활동량을 기록하는 것을 교육시킨다.
기동성이 감소된 대상자는 구축, 자세이상 및 욕창발생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적어도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해야 한다.
관절은 주기적으로 가동범위로 움직이지 않을 때 구축이 발생할 수 있다.
초기에 하는 팔의 외전은 장액종을 형성할 수 있다.
간호
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3
목적 :
대상자는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기대되는 결과:
1. 대상자는 12월 12일까지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말로 표현한다.
2. 대상자는 12월 14일까지 신체상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1. ① 신체상 변화에 대한 대상자의 감정을 사정한다.
② 대상자 자신의 신체상 변화를 환자의 관점에서 이야기 한다.
③ 대상자에게 유방 절제술이 수치스러운 것이 아님을 이해시키도록 한다.
④ 대상자가 표현하고 있는 감정을 수용하고 있음을 전달한다.
⑤ 자조집단을 소개해준다.
2. ① 보철이나 성형술에 대한 환자의 지식을 사정한다.
② 옷은 꽉 조이지 않고 너무 헐렁하지 않은 옷을 입는다.
③ 일시적인 보철착용을 돕는다. 처음으로 착용하는 보철은 절개 부위의 회복을 위해 가볍고 부드러워야 한다. 보통 4~8주 후부터 좀 더 무거운 것을 사용한다.
④ 영구적 보철과 브래지어를 구할 수 있는 곳을 가르쳐준다.
⑤ 유방 재건술을 통해 상실된 유방을 되돌릴 수 있음을 알려준다.
(유방절제술 상처의 일부를 조금 절개하고, 대흉근 아래에 만든 공간으로 보형물을 삽입)
⑤ 환자가 배우자나 가까운 사람들과 자신의 느낌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⑥ 유방 상실에 따른 슬픔 과정을 경험하고 이러한 감정을 극복하는 것을 배우도록 격려한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죽음이나 공포, 다른 사람과의 관계, 성적인 문제 등에 직면한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상처를 보는 것도 어려워하고 우울, 불안, 신체상의 변화, 성기능 장애를 경험하기도 한다.
꽉 조이는 옷은 유방의 모양을 나타내고 헐렁한 옷도 오히려 신체선을 나타내어 보인다
대상자는 유방상실로 분노, 우울, 부정, 수용과 같은 비애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4. 간호수행 및 평가
일 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2017.
11/22
~
12/4
#1
I
1-①~⑥수행함.
E
대상자는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다.
진통제 사용이 줄어들었다.
#2
I
1-①~⑧, 2-①~⑧ 수행함.
E
대상자는 통증 없이 가능한 활동이 증가하였음을 말했다.
대상자는 계획된 운동을 수행한다고 말했다.
#3
I
1-①~⑤, 2-①~⑥ 수행함.
E
대상자는 신체상의 변화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였으나, 아직까지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였다.
대상자는 유방 재건술에 관해 관심을 보였다.
<참고문헌>
고성희외 3명.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2002). 현문사
대한병리학회편. 병리학(2003). 고문사
최정신 외. 최신병리학(2000). 정담미디어
고일선 외. 최신임상메뉴얼(2006). 현문사
전시자 외. 제4판 성인간호학下(2005). 현문사
이명화 외. 기본간호학각론(2003). 정담미디어
김조자 외. 간호진단과 간호계획(2001). 대한간호협회
④ 자세를 바꿀 때 천천히 안정되게 하도록 한다.
⑤ 대상자로 하여금 의미 있고 즐거운 상상을 하게하여 관심을 돌린다.( 예 : 집으로 돌아가서 손자와 노는 것.)
⑥ 대상자와 함께 기분전환 활동들(독서, TV 시청, 음악감상 등)을 계획한다.
의료팀이나 가족들이
통증 대상자로부터 멀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곁에 있어 주는 것 만으로도 통증이 완화된다.
잘못된 자세는 만성적인 근육긴장과 통증을 유발한다.
상상을 통해 충분한 감각자극이 들어오면 뇌간에서 금지신호를 투사하여 척수의 통증관문이 닫힌다.
기분전환은 내인성의 마약을 방출하여 관문통제기전을 변경함으로써 통증인식을 감소시킨다.
간호
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2
목적 :
대상자는 점차적으로 신체 활동이 증진된다.
기대되는 결과 :
1. 대상자는 11월 29일까지 통증 없이 가능한 활동이 증가한다.
2. 대상자는 12월 4일까지 계획된 운동을 수행하고 기록한다.
1. 대상자는 11월 29일까지 침상안정을 하며 신체 활동을 증가시킨다.
① 대상자의 통증 및 활동을 사정한다.
② 안정을 권장하고 점차적으로 활동을 증가시킨다.
③ 침상안정을 하는 동안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하도록 격려한다.
④ 손목과 팔꿈치의 굴절과 신전운동을 격려한다.
⑤ 일상활동(세안, 머리빗기, 양치질)에 팔을 사용하도록 하며, 팔사용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⑥ 장액종 형성을 예방하기 위해 외전을 피한다.
⑦ 대상자 및 대상자의 가족에게 관절 운동과 근육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관절 범위 운동을 교육한다.
⑧ 침상안정을 하는 동안 수동적능동적 관절범위 운동을 실시한다.
2. 11월 29일부터 계획된 운동을 수해하며 활동량을 기록한다.
① 대상자의 활동량을 사정한다.
② 유방절제술 후 재활을 위한 운동 계획을 세운다.
a. 똑바로 일어선 후 허리를 대고 기대선 후 팔을 앞뒤양옆으로 흔든다.
b. 벽에 팔을 똑바로 짚고 선 후 팔은 편다. 팔과 어깨를 이완시키고 벽을 짚은 손에 상체를 의지한 후 몸을 원이치 시킨다.
c. 벽을 보고서서 손바닥을 벽에 댄 후 손가락으로 벽을 타고 내린다.
d. 번갈아가며 각각의 손가락을 구부렸다 폈다 한다.
③ 재활을 돕는 일상 활동을 교육한다.
a. 방 청소 : 바닥 쓸기, 마루 닦기, 서랍 여닫기, 빨래 짜기.
b. 창문 이용하기 : 창문 올리기, 닦기, 창문의 블라인드 올리고 내리기, 창문 커튼 열고 닫기.
c. 기타 : 바느질, 뜨개질, 타이핑, 악기 연주.
④ 침대에서 일어날 때 체위성 저혈압을 방지하기 위해 천천히 일으키도록 한다.
⑤ 걷는 것이 힘들다면 보조기구를 먼저 이용하도록 한다.(예 : 보행기)
⑥ 점진적으로 활동 수준(운동량, 운동 지속 시간)을 증가시킨다.
⑦ 활동과 반좌위의 휴식을 적절히 번갈아 하도록 한다.
⑧ 대상자에게 하루 활동량을 기록하는 것을 교육시킨다.
기동성이 감소된 대상자는 구축, 자세이상 및 욕창발생 위험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적어도 2시간 간격으로 체위변경을 해야 한다.
관절은 주기적으로 가동범위로 움직이지 않을 때 구축이 발생할 수 있다.
초기에 하는 팔의 외전은 장액종을 형성할 수 있다.
간호
진단
목적/기대되는 결과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3
목적 :
대상자는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기대되는 결과:
1. 대상자는 12월 12일까지 신체상의 변화에 대해 말로 표현한다.
2. 대상자는 12월 14일까지 신체상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1. ① 신체상 변화에 대한 대상자의 감정을 사정한다.
② 대상자 자신의 신체상 변화를 환자의 관점에서 이야기 한다.
③ 대상자에게 유방 절제술이 수치스러운 것이 아님을 이해시키도록 한다.
④ 대상자가 표현하고 있는 감정을 수용하고 있음을 전달한다.
⑤ 자조집단을 소개해준다.
2. ① 보철이나 성형술에 대한 환자의 지식을 사정한다.
② 옷은 꽉 조이지 않고 너무 헐렁하지 않은 옷을 입는다.
③ 일시적인 보철착용을 돕는다. 처음으로 착용하는 보철은 절개 부위의 회복을 위해 가볍고 부드러워야 한다. 보통 4~8주 후부터 좀 더 무거운 것을 사용한다.
④ 영구적 보철과 브래지어를 구할 수 있는 곳을 가르쳐준다.
⑤ 유방 재건술을 통해 상실된 유방을 되돌릴 수 있음을 알려준다.
(유방절제술 상처의 일부를 조금 절개하고, 대흉근 아래에 만든 공간으로 보형물을 삽입)
⑤ 환자가 배우자나 가까운 사람들과 자신의 느낌에 관해 이야기하도록 격려한다.
⑥ 유방 상실에 따른 슬픔 과정을 경험하고 이러한 감정을 극복하는 것을 배우도록 격려한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죽음이나 공포, 다른 사람과의 관계, 성적인 문제 등에 직면한다.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상처를 보는 것도 어려워하고 우울, 불안, 신체상의 변화, 성기능 장애를 경험하기도 한다.
꽉 조이는 옷은 유방의 모양을 나타내고 헐렁한 옷도 오히려 신체선을 나타내어 보인다
대상자는 유방상실로 분노, 우울, 부정, 수용과 같은 비애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4. 간호수행 및 평가
일 시
진단번호
간호수행(SOAPIE)
2017.
11/22
~
12/4
#1
I
1-①~⑥수행함.
E
대상자는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하였다.
진통제 사용이 줄어들었다.
#2
I
1-①~⑧, 2-①~⑧ 수행함.
E
대상자는 통증 없이 가능한 활동이 증가하였음을 말했다.
대상자는 계획된 운동을 수행한다고 말했다.
#3
I
1-①~⑤, 2-①~⑥ 수행함.
E
대상자는 신체상의 변화에 대한 슬픔을 표현하였으나, 아직까지 신체상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였다.
대상자는 유방 재건술에 관해 관심을 보였다.
<참고문헌>
고성희외 3명. 포켓 간호진단 가이드(2002). 현문사
대한병리학회편. 병리학(2003). 고문사
최정신 외. 최신병리학(2000). 정담미디어
고일선 외. 최신임상메뉴얼(2006). 현문사
전시자 외. 제4판 성인간호학下(2005). 현문사
이명화 외. 기본간호학각론(2003). 정담미디어
김조자 외. 간호진단과 간호계획(2001). 대한간호협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