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 어떤 것이 자연법에 어긋나게 일어나면 그것은 놀라울 수는 있어도 틀린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떤 사람이 한 낱말을 일상용법에 어긋나게 사용하면, 그의 그 단어 사용은 잘못된 것이다. 그러나 한 단어의 잘, 잘못 사용이 있다는 말은 그 배후에 하나의 규칙이 틀림없이 있다는 것을 상정하게 되는데, 이것은 잘못이다. 왜냐하면, 하나의 행위가 옳거나 잘못인 이유는 다양하며, 그 중에서 어떤 것은 규칙과 관련이 있고 어떤 것은 그것과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내가 잘못 방향을 돌리면 잘못되게 행동하나, 이것이 꼭 규칙을 깨뜨렸다는 말은 아니다.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우리는 옳은 것을 이야기 할 수 없다는 사적 언어의 논증으로 가져가는 것은 성급한 판단이다. 규칙을 언어에 대한 토론으로 이끄는 것은 언제 말하는 것, 즉 말놀이 안에서 어떤 움직임을 만드는가 하는 질문과 관련이 있다. 옳고 그르다는 것은 여기에서 중요하다. 무엇이든지 붉은 것을 보면 '저것은 붉다.' 라고 말한 사람은 언어의 용법을 숙련한 사람이다. 그러나 이 맥락에서 옳고 그른 것은 규칙이 있다는 것을 부수적으로 갖게 되는가? 진술과 다른 발화 행위를 통제하는 일련의 규칙을 구성하려고 시도하려는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런 구상의 한계는, 발화 행위를 이미 숙련한 사람 중 극소수만이 그런 규칙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한 마디로, 발화를 수행하는데 그런 규칙은 전혀 소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언어의 규칙과 발화 수행과의 관련성은 장기의 규칙을 잘 아는 것과 장기를 잘 두는 것의 관련성처럼 우연적인 관계이지 필연적인 관계는 아니다. 한플링에 따르면, 언어와 놀이의 유비는 유용하고 풍성하나, 축자적으로 동일하지는 않다. 어린이가 말하는 것을 배울 때 그는 하나의 놀이를 배우는 것이 아니겠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대화를 할 때 그들이 하나의 놀이를 배우는 것은 아니다. 언어와 놀이의 이러한 비대칭은 언어의 바깥에 있는 세계의 실재에 관한 놀랄만한 진술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존 칸필드에 따르면 색깔의 말놀이는 더 이상 실재하지 않는데 이것은 축구 경기가 더 이상 실재하지 않는 것과 같다. 색깔의 존재를 우리가 하는 놀이에 의해 좌우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잔디가 푸르고, 피가 붉다는 것은 심지어 인간이 이 땅에 태어나기 전부터 그랬을 것이고, 이것을 부인하는 것은 바로 잘 확립된 이야기의 방법을 방해할 것이겠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햄릿의 말놀이 연구
삼행시에 나타난 말놀이 양상
사이버언어와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게임이론
2학년-국어(말듣)-7.따뜻한눈길로-말의재미느끼며_다섯고개놀이하기
언어놀이(게임포함) 중에 대집단과 소집단활동으로 할 수 있는 자신의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
초등2) <국어(듣말)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문제해결학습모형) (2/4)> 4.마음을 주고 받...
2학년 국어 지도안-마음을 주고 받으며-즐거운 마음으로 말잇기놀이하기(세안)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말놀이), 사례(줄타기놀이), 전통놀이(민속놀이) 사례(얼음땡놀이),...
[말하기 듣기 수업지도안] (협동학습) 주제 : 말의 재미를 느끼며 말놀이를 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