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때 중요한 것은 공리주의의 의미와 문제점을 균형있게 가르쳐줘야 한다는 것이다. 공리주의는 많은 사람들의 권리를 보장해주고 어떤 의미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질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면에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또 복잡한 문제를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해결하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인 의사선택 방법으로 보인다. 공리주의가 이러한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초등학생들이 이것을 맹신하고 무조건 공리주의적 사고방식에 치우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반 학생들끼리 의견충돌이 있을 때 대화와 토론으로 해결할 수 있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좀 더 빨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학생들이 그 문제를 좀 더 깊이 생각하지 못하게 하며 다수의 의견이 무조건 좋은 것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심어줄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공리주의적 발상을 하기 전에 자신에게 닥친 문제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충분히 생각해볼 수 있는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그렇게 깊이 생각을 해보고 나서 판단의 기준을 공리주의로 삼아야만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이러한 점을 주의하여 공리주의를 지도해야 한다. 현재 도덕 교과서에는 비교적 공리주의의 장단점이 잘 소개되어 있다. 다수의 의견만 존중되고 소수의 의견이 무시되었을 때 일어나는 문제점이 일화와 함께 실린다면 좀 더 학생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또 공리주의가 가장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문제 해결 방식은 아니라는 것을 학생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공리주의는 여러 가지 면에서 충분히 매력적인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레포트를 쓰면서 매력적인 만큼 많은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해서 완전히 배제할 필요는 없겠지만 공리주의가 더욱 의미를 갖고 올바른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데 일조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고민이 필요하다. 고민 없이 효율이나 결과만을 위한 공리주의는 타인에게나 스스로에게나 만족할 만한 과정이나 결과를 가져다주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초등교육 때부터 공리주의의 양면을 모두 알고 공리주의를 맹신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과 경우에 알맞게 사용하고 그 전에 자신이 처한 상황과 문제를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지도해야겠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도덕과에서 이러한 점을 주의하여 공리주의를 지도해야 한다. 현재 도덕 교과서에는 비교적 공리주의의 장단점이 잘 소개되어 있다. 다수의 의견만 존중되고 소수의 의견이 무시되었을 때 일어나는 문제점이 일화와 함께 실린다면 좀 더 학생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또 공리주의가 가장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문제 해결 방식은 아니라는 것을 학생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위에서 말했듯이 공리주의는 여러 가지 면에서 충분히 매력적인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레포트를 쓰면서 매력적인 만큼 많은 위험성을 안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험성을 안고 있다고 해서 완전히 배제할 필요는 없겠지만 공리주의가 더욱 의미를 갖고 올바른 도덕적 판단을 내리는 데 일조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고민이 필요하다. 고민 없이 효율이나 결과만을 위한 공리주의는 타인에게나 스스로에게나 만족할 만한 과정이나 결과를 가져다주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초등교육 때부터 공리주의의 양면을 모두 알고 공리주의를 맹신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과 경우에 알맞게 사용하고 그 전에 자신이 처한 상황과 문제를 깊이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는 힘을 기르도록 지도해야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