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사례 대상자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Ⅲ. 대상자 사정
Ⅳ. 간호과정
Ⅱ. 문헌고찰
Ⅲ. 대상자 사정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된 영양장애
“아 지금은 밥 안먹고 싶은데요”
“또 거기서(station) 먹어야 되요?”
1. 진단명- 급성 일과성 정신병
2. 입원당일 52kg
3. 현재는 57kg지만병실안에서는 혼자 식사하지 않음, station에서 밥 먹는 걸 도와주어야 함.
1. 간호정보 조사지
2. 간호기록지
기대되는 결과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2일 내로 혼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다.
2. 대상자는 2일 내로 식사 후 양치질을 스스로 할 수 있다.
1. 매 식사때 마다 대상자의 섭취양상을 사정한다.
1. 정확한 사정은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2. 대상자에게 적절한 영양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 균형 잡힌 영양과 건강상태가 약물치료의 효과를 상승시키고 전반적인 병의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3. 대상자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대화를 통해 사정한 후 기호식품을 간식으로 충분히 제공한다.
3. 부족한 영양을 기호식품으로 섭취하여 음식 섭취량은 늘이고 체중감소를 예방한다.
4. 이틀에 한번 아침 대상자의 체중을 잰다.
4. 체중 증가와 감소는 중요한 영양 사정의 정보이다.
상황
간호수행
평가
1. 1. 2(목)
- 아침: 1/3 섭취
- 점심: 1/3 섭취
식사시간이 되어도 멍한 표정으로 방에서 계심.
- 저녁: 1/3 섭취
밥과 국만 조금 섭취
2. 3(금)
-아침: 1/3 섭취
- 점심: 1/3 섭취
station에 데리고 와서 식사를 지도해도 먹지 않고 식판 앞에 가만히 계심. 안먹겠다고 함.
-저녁: 1/3 섭취
1. 매 식사시간 대상자를 관찰하여 섭취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1. 중재 3일째 섭취량이
평소 1/3 → 2/3로 증가함
2. 중재 1일째 대상자의 섭취량이 적다는 것과 식사를 거부한다는 것을 관찰 후 영양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2. 교육에 대해서는 반응이 없었고 아무 말 없이 듣고 계셨다.
3.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과 즐겨먹는 음식을 확인하였다.
3. 대상자에게 질문했으나 “딱히 좋아하는 음식은 없어요. 저는 다 잘먹어요.”라고 대답하셨다.
4. 이틀에 한번 아침 공복 시 대상자의 몸무게를 비교, 측정하였다.
- 2일: 57.2kg
-3일: 57.3kg
-6일: 57.2kg
4. 중재3일째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2014년 1월 6일>
총 평가: - 체중의 변화는 없었지만 영양의 중요성을 교육함.
이번 중재로 인해 체중의 변화는 없었지만 중재 3일째 한번 섭취량이 1/3이 였던 것이 2/3로 증가하였다. 체중의 유지를 위해서는 꾸준한 수행이 필요 함.
2. 간호진단 2: 무력감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간호진단
(2013. 12. 30)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 자료
무력감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머리 안감고 싶어요”
1. 진단명- 급성 일과성 정신병
2. 며칠 째 머릴 감지 않아 기름진 머리 상태
3. 옷도 실습 첫날 봤던 그 옷으로 갈아입지 않은 상태
4. 식사 후 양치질 하지 않음
1. 간호정보 조사지
2. 간호기록지
기대되는 결과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2일 내로 혼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다.
2. 대상자는 2일 내로 식사 후 양치질을 스스로 할 수 있다.
1. 환자의 일상활동(청결활동) 정도를 사정한다.
1. 환자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여 게선시킬 부분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2. 자신의 위생상태를 인식시킨다.
2. 자신과 다른 사람의 차이를 확인하여 자기의 모습을 지각할 수 있다.
3.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3. 소극적인 자세를 보호 한다는 느낌으로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 할 수 있다.
4. 위생활동을 완수 하는지 관찰한다.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달성해야 할 것을 상기시켜 주고, 달성시에는 칭찬한다.
4. 혼자는 하기 어려운 부분을 함께 수행하여 쉽게 접근 할 수 있다.
5. 목욕과 위생활동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준다.
5. 충분한 시간을 주어 환자가 조급해하지 않고 천천히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6. 대상자가 어려움이 있을 때만 목욕과 위생활동을 도와준다.
6.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준다.
7. 주변환경을 정리 해야하는 인식을 변화시켜 주고 주위를 정리하게 격려한다.
7. 주변이 얼마만큼 더러운지 정도를 알려주어 정리하도록 인식하게 만든다.
상황
간호수행
평가
1. 12.30(월)
며칠 감지 않은 기름진 머리 상태로 돌아다니심
2. 31(화)
여전히 감지 않고 덥수룩한 머리,
식사 후 양치질을 하지 않음
1. 환자의 일반적인 외모를 사정하고 위생 상태에 대해 질문하였다.
1. 환자는 식사 후 양치질을 하지 않았으며 며칠 째 감지 않은 머리로 기름지고 뻗힌 머리였다. 위생상태에 대해 질문했으나 반응이 없었다.
2. 이를 안닦은 환자에게 다른 이 닦은 환자와 자신의 위생상태를 비교하여 말하였다.
2. 이를 닦은 다른 환자를 보더니 “저도 닦아야 하나요?”라며 물어보았다.
대상자에게 양치질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해주며 인식시켜주었다.
3. 머리를 감고 옷을 갈아입으려고 할 때 문을 닫아주고 가려주었다.
3. 대상자는 여기에 대해 별 반응은 없었다.
4. 대상자가 머리를 감고 왔을 때 이쁘고 깨끗해졌다며 칭찬해 주었다.
4. 대상자는 머리를 수건으로 닦으면서 살짝 웃었다.
5. 지금 당장 감으라고 재촉하지 않았으며 오늘 안으로 감되 대상자가 감기 좋은 시간에 감으라고 말했다.
5. 처음에 감으라고 했을 땐 바로 감진 않았지만 점심을 먹은 후 대상자 스스로 머리를 감으러 갔다.
6. 도와주기보다 대상자 스스로 할 수 있었기에 지켜보고 격려해주었다.
6. 대상자는 스스로 머리를 감아냈고
머리에 물 닦는 부분만 조금 도와주었더니 감사하다고 말했다.
7. 시간 간격을 두어 주변 정리와 바구니 정리를 격려 하였다.
7. 주변 정리를 해보라고 했지만 크게 달라진 점은 없었다. 차차 격려하고 도와줄 예정이다.
<2014년 1월 2일>
총 평가: - 자신의 위생상태 조금 인식: 머리를 감아야 겠다고 인식하며 머리를 감으러 감.
- 스스로 위생관리를 할 수 있을 때까진 격려와 지지가 필요
- 시간과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관심을 가져주어야 함
“아 지금은 밥 안먹고 싶은데요”
“또 거기서(station) 먹어야 되요?”
1. 진단명- 급성 일과성 정신병
2. 입원당일 52kg
3. 현재는 57kg지만병실안에서는 혼자 식사하지 않음, station에서 밥 먹는 걸 도와주어야 함.
1. 간호정보 조사지
2. 간호기록지
기대되는 결과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2일 내로 혼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다.
2. 대상자는 2일 내로 식사 후 양치질을 스스로 할 수 있다.
1. 매 식사때 마다 대상자의 섭취양상을 사정한다.
1. 정확한 사정은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2. 대상자에게 적절한 영양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 균형 잡힌 영양과 건강상태가 약물치료의 효과를 상승시키고 전반적인 병의 증상완화에 도움이 된다.
3. 대상자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대화를 통해 사정한 후 기호식품을 간식으로 충분히 제공한다.
3. 부족한 영양을 기호식품으로 섭취하여 음식 섭취량은 늘이고 체중감소를 예방한다.
4. 이틀에 한번 아침 대상자의 체중을 잰다.
4. 체중 증가와 감소는 중요한 영양 사정의 정보이다.
상황
간호수행
평가
1. 1. 2(목)
- 아침: 1/3 섭취
- 점심: 1/3 섭취
식사시간이 되어도 멍한 표정으로 방에서 계심.
- 저녁: 1/3 섭취
밥과 국만 조금 섭취
2. 3(금)
-아침: 1/3 섭취
- 점심: 1/3 섭취
station에 데리고 와서 식사를 지도해도 먹지 않고 식판 앞에 가만히 계심. 안먹겠다고 함.
-저녁: 1/3 섭취
1. 매 식사시간 대상자를 관찰하여 섭취양상을 사정하고 기록하였다.
1. 중재 3일째 섭취량이
평소 1/3 → 2/3로 증가함
2. 중재 1일째 대상자의 섭취량이 적다는 것과 식사를 거부한다는 것을 관찰 후 영양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2. 교육에 대해서는 반응이 없었고 아무 말 없이 듣고 계셨다.
3. 대상자가 좋아하는 음식과 즐겨먹는 음식을 확인하였다.
3. 대상자에게 질문했으나 “딱히 좋아하는 음식은 없어요. 저는 다 잘먹어요.”라고 대답하셨다.
4. 이틀에 한번 아침 공복 시 대상자의 몸무게를 비교, 측정하였다.
- 2일: 57.2kg
-3일: 57.3kg
-6일: 57.2kg
4. 중재3일째 체중의 변화는 없었다.
<2014년 1월 6일>
총 평가: - 체중의 변화는 없었지만 영양의 중요성을 교육함.
이번 중재로 인해 체중의 변화는 없었지만 중재 3일째 한번 섭취량이 1/3이 였던 것이 2/3로 증가하였다. 체중의 유지를 위해서는 꾸준한 수행이 필요 함.
2. 간호진단 2: 무력감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간호진단
(2013. 12. 30)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관련 자료
무력감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머리 안감고 싶어요”
1. 진단명- 급성 일과성 정신병
2. 며칠 째 머릴 감지 않아 기름진 머리 상태
3. 옷도 실습 첫날 봤던 그 옷으로 갈아입지 않은 상태
4. 식사 후 양치질 하지 않음
1. 간호정보 조사지
2. 간호기록지
기대되는 결과
간호 계획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2일 내로 혼자서 머리를 감을 수 있다.
2. 대상자는 2일 내로 식사 후 양치질을 스스로 할 수 있다.
1. 환자의 일상활동(청결활동) 정도를 사정한다.
1. 환자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여 게선시킬 부분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다.
2. 자신의 위생상태를 인식시킨다.
2. 자신과 다른 사람의 차이를 확인하여 자기의 모습을 지각할 수 있다.
3. 프라이버시를 제공한다.
3. 소극적인 자세를 보호 한다는 느낌으로 적극적인 자세로 전환 할 수 있다.
4. 위생활동을 완수 하는지 관찰한다.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달성해야 할 것을 상기시켜 주고, 달성시에는 칭찬한다.
4. 혼자는 하기 어려운 부분을 함께 수행하여 쉽게 접근 할 수 있다.
5. 목욕과 위생활동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준다.
5. 충분한 시간을 주어 환자가 조급해하지 않고 천천히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6. 대상자가 어려움이 있을 때만 목욕과 위생활동을 도와준다.
6.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준다.
7. 주변환경을 정리 해야하는 인식을 변화시켜 주고 주위를 정리하게 격려한다.
7. 주변이 얼마만큼 더러운지 정도를 알려주어 정리하도록 인식하게 만든다.
상황
간호수행
평가
1. 12.30(월)
며칠 감지 않은 기름진 머리 상태로 돌아다니심
2. 31(화)
여전히 감지 않고 덥수룩한 머리,
식사 후 양치질을 하지 않음
1. 환자의 일반적인 외모를 사정하고 위생 상태에 대해 질문하였다.
1. 환자는 식사 후 양치질을 하지 않았으며 며칠 째 감지 않은 머리로 기름지고 뻗힌 머리였다. 위생상태에 대해 질문했으나 반응이 없었다.
2. 이를 안닦은 환자에게 다른 이 닦은 환자와 자신의 위생상태를 비교하여 말하였다.
2. 이를 닦은 다른 환자를 보더니 “저도 닦아야 하나요?”라며 물어보았다.
대상자에게 양치질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해주며 인식시켜주었다.
3. 머리를 감고 옷을 갈아입으려고 할 때 문을 닫아주고 가려주었다.
3. 대상자는 여기에 대해 별 반응은 없었다.
4. 대상자가 머리를 감고 왔을 때 이쁘고 깨끗해졌다며 칭찬해 주었다.
4. 대상자는 머리를 수건으로 닦으면서 살짝 웃었다.
5. 지금 당장 감으라고 재촉하지 않았으며 오늘 안으로 감되 대상자가 감기 좋은 시간에 감으라고 말했다.
5. 처음에 감으라고 했을 땐 바로 감진 않았지만 점심을 먹은 후 대상자 스스로 머리를 감으러 갔다.
6. 도와주기보다 대상자 스스로 할 수 있었기에 지켜보고 격려해주었다.
6. 대상자는 스스로 머리를 감아냈고
머리에 물 닦는 부분만 조금 도와주었더니 감사하다고 말했다.
7. 시간 간격을 두어 주변 정리와 바구니 정리를 격려 하였다.
7. 주변 정리를 해보라고 했지만 크게 달라진 점은 없었다. 차차 격려하고 도와줄 예정이다.
<2014년 1월 2일>
총 평가: - 자신의 위생상태 조금 인식: 머리를 감아야 겠다고 인식하며 머리를 감으러 감.
- 스스로 위생관리를 할 수 있을 때까진 격려와 지지가 필요
- 시간과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관심을 가져주어야 함
키워드
추천자료
정신간호학케이스스터디-Bipolar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정신분열병 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 양극성장애 Bipolar 1. manic
[A+정신간호학 실습] 정신분열증(조현병/schizoprenia)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
[CASE STUDY] 정신간호학 알콜중독 케이스 스터디 - 알콜중독 대상자에 관련된 사례연구보고서
A+ 정신간호학 케이스 ◆ ADHD 케이스 스터디 자료◆
정신간호학 알코올의존증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정신간호학 실습 알코올 중독 (alcoholism)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