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Ⅲ. 결론 및 실습후기
1. 결론
2. 참고문헌
3. 실습후기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Ⅲ. 결론 및 실습후기
1. 결론
2. 참고문헌
3. 실습후기
본문내용
0
- 하루 Total 설사량 800cc
- V/S check날짜
혈압
체온
맥박
호흡
2019.01.12
100/70
36.9
120
20
2019.01.13
90/60
36.8
115
20
2019.01.14
98/58
36.9
109
20
- 입술이 바짝 말라 있는 모습을 관찰함
- 갈증을 호소하는 모습을 관찰함
- 방광 타진시 둔탁음
- 치골상부 팽창 관찰함
- 혈중 BUN, Cr 수치
항목
2019/01/14
기준치
단위
BUN
7
▼
6-26
mg/dl
Creatinine
0.57
▼
0.4-1.2
mg/dl
- CBC검사 결과
항목
2019/01/14
기준치
단위
Hemogolbin
10.9
▼
11-15
g/dl
Hct
37.2
▼
38-50
%
진단
설사로 인한 체액소실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목표
단기
목표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입술 갈라짐이 없다.
- 1일 이내로 하루 Total 소변량 580cc으로 정상범위(540~600cc)이내에 있다.
- 4시간 이내로 V/S 재측정 결과 혈압 128/89으로 정상범위(120/80mmHg)이내 에 있다.
- 2일 이내에 CBC 검사 결과 Hb 12g/dl로 정상범위(11-15g/dl)이내에 있다.
- 2일 이내에 CBC 검사 결과 Hct 40%로 정상범위(38-50%)이내에 있다.
- 3일 이내에 대상자의 BUN, Cr수치가 20mg/dl, 1.0mg/dl로 정상범위(BUN 6-26mg/dl, Cr 0.4-1.2mg/dl)이내에 있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더 이상 설사를 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적절한 체액량을 유지한다.
- 대상자는 배에 불편감이 없다고 말한다.
계획
단기
계획
- 대상자의 설사 양상과 횟수를 사정한다.
- 방광초음파를 통해 잔뇨량을 측정한다.
- 처방에 따라 지사제를 투약한다.
- 처방에 따라 Fluid를 IV한다.
- 대상자의 말초혈관 순환상태 및 피부탄력성을 확인한다.
- routine CBC검사를 실시한다.
- routine Electrolyte 검사를 실시한다.
- 하루 3번 I/O check를 실시한다.
장기
계획
- 대상자가 수분 섭취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침상 옆에 물을 제공한다.
수행
수행 내용
이론적 근거
- 대상자의 설사 양상 및 횟수를 사정한다.
- 처방에 따라 지사제인 Smecta 20ml을 po 한다.
- 처방에 따라 0.9% N/S 500mL를 IV한다.
- 하루 3번 섭취량과 배설량을 지속적으로 측 정한다.
- 방광초음파를 통해 잔뇨량을 측정한다.
- routine CBC검사를 실시하여 Hb, Hct 수 치를 확인한다.
- routine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BUN, Cr 수 치를 확인한다.
-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대상자의 피부 점막 건조 상태 및 피부탄력 성을 확인한다.
- 대상자가 수분 섭취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침상 옆에 물을 제공한다.
- 방광초음파를 통해 대상자의 잔뇨량을 정확 히 측정해 방광팽창을 방지하기 위해서
-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 다.
- 처방에 따라 지사제를 투약함으로써 설사로 인한 체액소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 처방에 따라 수액을 정맥주사함으로써 소실 된 체액량을 보충하기 위해서
-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을 통해 대상 자의 체액균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 체액 손실로 인해 피부와 점막의 건조, 탄 력성이 저하될 수도 있기 때문에
-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체액량을 보충하 고 피부 점막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서
평가
- 하루 Total 소변량 550cc 으로 정상범위(정상 540~600cc)이내에 있다.
- 대상자는 더 이상 설사를 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정상적인 (검갈색의 덩어리진 대변) 대변 양상을 보인다.
- V/S check 결과날짜
혈압
체온
맥박
호흡
2019.01.15
128/70
36.7
98
20
2019.01.16
120/80
36.2
86
20
2019.01.17
119/88
36.3
72
20
- 대상자는 더 이상 입술 갈라짐이 없다.
- 대상자는 더 이상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복부 불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했다.
- 혈청 BUN, Cr검사 결과 BUN 20mg/dl, Cr 1.0mg/dl로 정상범위(BUN 6-26mg/dl, Cr 0.8-1.2mg/dl)이내에 있다.
- routine CBC검사 결과
항목
2019/01/14
기준치
단위
Hemogolbin
12.8
11-15
g/dl
Hct
40.2
38-50
%
Ⅲ. 결론 및 실습후기
1. 결론
이00님은 2018년 8월 CKD 진단 후 NI 이** 교수님 f/u 중인 분으로 최근 일주일 사이에 (daily로 소주 5병씩) 과음 후 상기 증상 있어 내원하셨다. 구토와 설사를 많이 하여 영양 상태와 체액균형이 많이 불균형한 상태로 삼시 세끼를 위에 자극이 없는 미음을 드시게 했고 대상자분 옆에 물을 놔두어 언제든지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그리고 지속적인 설사와 구토의 양상을 확인하고 CBC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를 수행한 결과 설사와 구토를 하지 않으셨고 체액균형과 영양상태도 많은 호전을 보였다.
2. 참고문헌
- 조경숙, 김희경 외 8명 (2013년),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 김근순, 고가경, 김미원 공저 (2014년),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 성미혜 저 (2015년),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3. 실습후기
실습이 이제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선생님들 액팅 하시는 것 따라다니고 모르는 것을 질문도 많이 했던 것 같다. 그리고 선생님들도 질문에 대한 답을 잘해주셔서 많이 배우고 가는 것 같다. 특히 수액교환 하는 것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셔서 나중에 가서도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앞으로도 여러 실습을 많이 나갈 것인데 내가 성인실습을 했던 것처럼 과제도 하고 공부도 하면 아무런 문제 없이 잘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습을 내 나름대로 만족스럽게 마칠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이렇게 배운 것이 꼭 언젠가는 쓰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니 뿌듯하다.
- 하루 Total 설사량 800cc
- V/S check날짜
혈압
체온
맥박
호흡
2019.01.12
100/70
36.9
120
20
2019.01.13
90/60
36.8
115
20
2019.01.14
98/58
36.9
109
20
- 입술이 바짝 말라 있는 모습을 관찰함
- 갈증을 호소하는 모습을 관찰함
- 방광 타진시 둔탁음
- 치골상부 팽창 관찰함
- 혈중 BUN, Cr 수치
항목
2019/01/14
기준치
단위
BUN
7
▼
6-26
mg/dl
Creatinine
0.57
▼
0.4-1.2
mg/dl
- CBC검사 결과
항목
2019/01/14
기준치
단위
Hemogolbin
10.9
▼
11-15
g/dl
Hct
37.2
▼
38-50
%
진단
설사로 인한 체액소실과 관련된 체액부족 위험성
목표
단기
목표
- 2일 이내에 대상자는 입술 갈라짐이 없다.
- 1일 이내로 하루 Total 소변량 580cc으로 정상범위(540~600cc)이내에 있다.
- 4시간 이내로 V/S 재측정 결과 혈압 128/89으로 정상범위(120/80mmHg)이내 에 있다.
- 2일 이내에 CBC 검사 결과 Hb 12g/dl로 정상범위(11-15g/dl)이내에 있다.
- 2일 이내에 CBC 검사 결과 Hct 40%로 정상범위(38-50%)이내에 있다.
- 3일 이내에 대상자의 BUN, Cr수치가 20mg/dl, 1.0mg/dl로 정상범위(BUN 6-26mg/dl, Cr 0.4-1.2mg/dl)이내에 있다.
장기
목표
- 대상자는 더 이상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더 이상 설사를 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적절한 체액량을 유지한다.
- 대상자는 배에 불편감이 없다고 말한다.
계획
단기
계획
- 대상자의 설사 양상과 횟수를 사정한다.
- 방광초음파를 통해 잔뇨량을 측정한다.
- 처방에 따라 지사제를 투약한다.
- 처방에 따라 Fluid를 IV한다.
- 대상자의 말초혈관 순환상태 및 피부탄력성을 확인한다.
- routine CBC검사를 실시한다.
- routine Electrolyte 검사를 실시한다.
- 하루 3번 I/O check를 실시한다.
장기
계획
- 대상자가 수분 섭취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침상 옆에 물을 제공한다.
수행
수행 내용
이론적 근거
- 대상자의 설사 양상 및 횟수를 사정한다.
- 처방에 따라 지사제인 Smecta 20ml을 po 한다.
- 처방에 따라 0.9% N/S 500mL를 IV한다.
- 하루 3번 섭취량과 배설량을 지속적으로 측 정한다.
- 방광초음파를 통해 잔뇨량을 측정한다.
- routine CBC검사를 실시하여 Hb, Hct 수 치를 확인한다.
- routine 혈액검사를 실시하여 BUN, Cr 수 치를 확인한다.
-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대상자의 피부 점막 건조 상태 및 피부탄력 성을 확인한다.
- 대상자가 수분 섭취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침상 옆에 물을 제공한다.
- 방광초음파를 통해 대상자의 잔뇨량을 정확 히 측정해 방광팽창을 방지하기 위해서
-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확인해야 한 다.
- 처방에 따라 지사제를 투약함으로써 설사로 인한 체액소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 처방에 따라 수액을 정맥주사함으로써 소실 된 체액량을 보충하기 위해서
-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을 통해 대상 자의 체액균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 체액 손실로 인해 피부와 점막의 건조, 탄 력성이 저하될 수도 있기 때문에
- 충분한 수분 섭취를 통해 체액량을 보충하 고 피부 점막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서
평가
- 하루 Total 소변량 550cc 으로 정상범위(정상 540~600cc)이내에 있다.
- 대상자는 더 이상 설사를 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정상적인 (검갈색의 덩어리진 대변) 대변 양상을 보인다.
- V/S check 결과날짜
혈압
체온
맥박
호흡
2019.01.15
128/70
36.7
98
20
2019.01.16
120/80
36.2
86
20
2019.01.17
119/88
36.3
72
20
- 대상자는 더 이상 입술 갈라짐이 없다.
- 대상자는 더 이상 갈증을 호소하지 않는다.
- 대상자는 복부 불편감이 완화되었다고 말했다.
- 혈청 BUN, Cr검사 결과 BUN 20mg/dl, Cr 1.0mg/dl로 정상범위(BUN 6-26mg/dl, Cr 0.8-1.2mg/dl)이내에 있다.
- routine CBC검사 결과
항목
2019/01/14
기준치
단위
Hemogolbin
12.8
11-15
g/dl
Hct
40.2
38-50
%
Ⅲ. 결론 및 실습후기
1. 결론
이00님은 2018년 8월 CKD 진단 후 NI 이** 교수님 f/u 중인 분으로 최근 일주일 사이에 (daily로 소주 5병씩) 과음 후 상기 증상 있어 내원하셨다. 구토와 설사를 많이 하여 영양 상태와 체액균형이 많이 불균형한 상태로 삼시 세끼를 위에 자극이 없는 미음을 드시게 했고 대상자분 옆에 물을 놔두어 언제든지 수분을 섭취할 수 있도록 격려했다. 그리고 지속적인 설사와 구토의 양상을 확인하고 CBC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를 수행한 결과 설사와 구토를 하지 않으셨고 체액균형과 영양상태도 많은 호전을 보였다.
2. 참고문헌
- 조경숙, 김희경 외 8명 (2013년), 성인간호학Ⅰ, 현문사
- 김근순, 고가경, 김미원 공저 (2014년),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서원미디어
- 성미혜 저 (2015년), 비판적 사고 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3. 실습후기
실습이 이제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열심히 선생님들 액팅 하시는 것 따라다니고 모르는 것을 질문도 많이 했던 것 같다. 그리고 선생님들도 질문에 대한 답을 잘해주셔서 많이 배우고 가는 것 같다. 특히 수액교환 하는 것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셔서 나중에 가서도 도움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앞으로도 여러 실습을 많이 나갈 것인데 내가 성인실습을 했던 것처럼 과제도 하고 공부도 하면 아무런 문제 없이 잘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습을 내 나름대로 만족스럽게 마칠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이렇게 배운 것이 꼭 언젠가는 쓰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니 뿌듯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case study) 골절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 추간판탈출증 HIVD 성인간호학 A+ case study
알콜성 간질환 케이스 스터디 A+ (Alcoholic Liver Disease, CASE STUDY, 사례연구)
Alcoholic cirrhosis of liver → H.E. d/t dehydration CASE STUDY (간경화 케이스, 간질환 ...
COPD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사례연구, 간호...
아동건강간호학, 아동간호학케이스, 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케이스A+++, case study, 아동...
급성췌장염 케이스스터디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