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자극으로서의 강화물
1. 추동감소
2. 유인동기
3. 뇌자극 주기
II. 행동으로서의 강화물
III. 강화자로서의 강화물
IV. 정보로서의 강화물
V. 무엇이 강화인가
* 참고문헌
1. 추동감소
2. 유인동기
3. 뇌자극 주기
II. 행동으로서의 강화물
III. 강화자로서의 강화물
IV. 정보로서의 강화물
V. 무엇이 강화인가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도 학습을 촉진시키고 응고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듯하다.
IV. 정보로서의 강화물
강화 이론을 인간 행동에 적용할 때의 한 가지 어려움은 많은 상황에서 먹이, 물, 금별과 같은 명백한 강화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컴퓨터 미로 학습에서의 결과는 단순히 목표 상자에 이르는 길을 추적하는 것이다. 운동 기능 과제에서, 결과는 그 기능이 더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우리는 정보가 강화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 옳게 해냈어. " 또는 "아니야, 하지 못했어. "이다. 강화물이 유인물로 작용하거나 강화자로 작용하는 상황에서조차도 강화물은 그 반응이 옳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생리적 귀환은 강화의 정보적 역할에 관한 한 예이다. 신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서 이마의 근육 긴장과 같은 일반적으로 탐지되지 않는 미묘한 신체 반응이 관찰된다. 생리적 귀환(biofeedback)에서는 이러한 신체 반응이 소리와 같은 외적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근육 긴장의 변화는 소리의 고저나 강약에서의 증감으로 변환된다. 그 목표는 소리를 통제하여 근육 긴장도 통제하는 것을 학습하는 것이다. 그 소리는 다르게는 인식될 수 없는 근육 긴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V. 무엇이 강화인가
강화에 관한 몇 가지 이론들을 개관하였다. 비록 어떤 이론이 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더라도 많은 이론가들은 강화가 복합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받아들인다. 어떤 경우에는 강화물은 유기체가 생존을 위해 학습해야 할 중요한 자극이다. 다른 경우에는 강화물은 특정 행동에 대한 유인으로서 잘 기술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는 반응이 옳았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이다. 강화물은 쾌, 불쾌라는 정적 반응을 유발하고, 세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특정한 형태의 신경 활동을 자극하는 사상들이다. 따라서 우리의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은 없는 듯하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IV. 정보로서의 강화물
강화 이론을 인간 행동에 적용할 때의 한 가지 어려움은 많은 상황에서 먹이, 물, 금별과 같은 명백한 강화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컴퓨터 미로 학습에서의 결과는 단순히 목표 상자에 이르는 길을 추적하는 것이다. 운동 기능 과제에서, 결과는 그 기능이 더 정확하게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우리는 정보가 강화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 옳게 해냈어. " 또는 "아니야, 하지 못했어. "이다. 강화물이 유인물로 작용하거나 강화자로 작용하는 상황에서조차도 강화물은 그 반응이 옳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생리적 귀환은 강화의 정보적 역할에 관한 한 예이다. 신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서 이마의 근육 긴장과 같은 일반적으로 탐지되지 않는 미묘한 신체 반응이 관찰된다. 생리적 귀환(biofeedback)에서는 이러한 신체 반응이 소리와 같은 외적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근육 긴장의 변화는 소리의 고저나 강약에서의 증감으로 변환된다. 그 목표는 소리를 통제하여 근육 긴장도 통제하는 것을 학습하는 것이다. 그 소리는 다르게는 인식될 수 없는 근육 긴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V. 무엇이 강화인가
강화에 관한 몇 가지 이론들을 개관하였다. 비록 어떤 이론이 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더라도 많은 이론가들은 강화가 복합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받아들인다. 어떤 경우에는 강화물은 유기체가 생존을 위해 학습해야 할 중요한 자극이다. 다른 경우에는 강화물은 특정 행동에 대한 유인으로서 잘 기술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는 반응이 옳았는지의 여부에 관한 정보이다. 강화물은 쾌, 불쾌라는 정적 반응을 유발하고, 세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특정한 형태의 신경 활동을 자극하는 사상들이다. 따라서 우리의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은 없는 듯하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학습이론 - 고전적 조건형성, 조작적 조건형성, 사회학습이론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의의와 중요성, 조작적조건화이론(스키너학습이론)원리와 ...
[교육학 개론] 스키너(R.F. Skinner)의 강화이론
행동주의 이론 설명
행동주의 이론 - 스키너 강화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의 강화 및 조건형성★
[행동주의이론] 파블로프(Pavlov), 왓슨(Watson)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스키너(Skinner)의 ...
[학습이론(Learning Theory)] 고전적 조건형성(고전적 조건화), 조작적 조건형성(조작적 조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