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검사] 영아기 및 아동기 지능검사 스탠포드-비네(Stanford-Binet) 검사 웩슬러(Wechsler) 검사 카프만(Kaufman 카우프만) 검사(K-ABC)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능검사] 영아기 및 아동기 지능검사 스탠포드-비네(Stanford-Binet) 검사 웩슬러(Wechsler) 검사 카프만(Kaufman 카우프만) 검사(K-ABC)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지능검사

I. 영아기 지능검사

II. 아동기 지능검사
1. 스탠포드-비네(Stanford-Binet) 검사
2. 웩슬러(Wechsler) 검사
3. 카프만(Kaufman) 검사(K-ABC)

*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비율 지능지수라는 개념 대신에 정규분포곡선에 바탕을 둔 편차 지능지수를 산출하였다. 편차 지능지수는 현재 Stanford-Binet 검사를 포함한 대부분 지능검사에서 채택하고 있다.
이후 아동용 지능검사로는 Wechsler가 개발한 두 가지의 지능검사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는 6-1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지능검사(WISC-III)와 3~8세 아동을 대상으로 한 유아용 지능경사(WPPSI-R)로 우리나라에서 모두 표준화되어 있다(한국교육개발원, 1987;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
(3) 카프만(Kaufman) 검사(K-ABC)
2~12세 아동을 대상으로 새로이 개발된 Kaufman 아동용 지능검사(K-ABC)는 정보처리적 관점을 토대로 아동의 지능과 습득도를 측정하고 있다.
주된 관심은 지적 처리 특성, 즉 아동이 이미 알고 있는 지식내용보다는 아동이 문제에 대해 얼마나 정확한 해결책을 산출해내는가에 있다. 검사는 세 가지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즉, (1) 순차적인 형태로 문제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연속적인 처리속도 (2) 많은 양의 정보를 종합 조직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검사하는 동시적인 처리검사 (3) 첫 번째와 두 번째 척도의 조합, 즉 지적 처리구성이다.
또한 K-ABC검사는 아동이 가정과 학교에서 습득한 지식을 평가하는 성취검사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K-ABC의 대다수 항목들은 아동간의 지적 처리 차이가 타당하게 평가될 수 있도록 내용이 중립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의는 아동의 선수학습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게다가 검사 시행에서 아동의 최대 수행을 얻기 위해 다른 검사들과는 달리 검사 실시에서 아동이 반응하도록 단서나 도움을 주는 상당한 융통성을 허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검사가 표준화되어 있다(문수백 변창진, 1997).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2.28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2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