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철학] - 대학에 진학한 이유 교육의 개념을 보는 견해 공통점과 차이점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철학] - 대학에 진학한 이유 교육의 개념을 보는 견해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려는 일로 규정한다는 점, 또한 그 목적이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그 결과로 교육이 무가치한 목적을 추구하게 될지도 모르는 큰 단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이달우 교수님께서는 이러한 교육의 방향성을 사회화 과정에서 찾고 있으시다. 이는 뒤르켐의 교육관을 반영시킨 것이다. 교육을 체계적인 사회화로 정의하여 기존의 사회질서를 유지하고 국가를 존속시키는 사회의 하나의 수단이자 목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사회화가 바탕이 되어야 사회개혁이나 사회계층등의 진보적인 기능들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화 기능을 가장 기본적인 정의에 포함 하셨다고 보시는것 같다.
교수님께서는 까마귀 모형의 교육관으로 교육을 정의하셨다. 공작새를 부러워하는 까마귀의 우화에서처럼 까마귀가 여러 새의 깃털을 모았던 것과 같은 방법으로 여러 학자들의 개념에서 중요한 것들을 모아 더 좋은 개념을 탄생시키고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아직은 교육학을 제대로 시작한지 3개월이 조금 지났기에 많은 깃털을 모으지는 못했지만 남은 기간 동안 대학에서 ‘학문’을 통해 교수님들과 많은 학자들의 멋진 깃털을 모아 나만의 새로운 교육관을 만드는데 힘쓰고 싶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9.02.07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