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에서 미래를 표현하는 표지로 ‘-겠-’으로 설명하는 것이 유리한지 ‘-(으)ㄹ것이다’로 설명하는 것이 유리한지 그 이유는 ]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에서 미래를 표현하는 표지로 ‘-겠-’으로 설명하는 것이 유리한지 ‘-(으)ㄹ것이다’로 설명하는 것이 유리한지 그 이유는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어의 교재에 제시된 미래 형태

2) ‘-겠-’으로 한국어의 미래 시제 표현을 설명하는 것이 더 유리한 이유

본문내용

는 미래적 의미인지, 아니면 이미 일어난 현재의 일에서 거슬러 올라가 과거에 아마 어떠한 일이 있었기에 현재가 일어났다고 반추하는 것인지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헷갈릴 수 있다. 비록 ‘-(ㅇ)ㄹ것이다’는 추측, 계획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 이것 역시나 효율적인 표현법이지만 헷갈릴 수 있고 다양한 예문을 접해야만 완벽하게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쓰임새가 다양하게 확장중인 ‘-겠-’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효과적인 미래 시제 교육 및 설명이 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제열(2003). 한국어교육에서 시간 표현 요소의 문법적 기술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 14(1), 한국어교육협회.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1998), 말이 트이는 한국어I,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가격3,7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9.02.27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