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어의 교재에 제시된 미래 형태
2) ‘-겠-’으로 한국어의 미래 시제 표현을 설명하는 것이 더 유리한 이유
2) ‘-겠-’으로 한국어의 미래 시제 표현을 설명하는 것이 더 유리한 이유
본문내용
는 미래적 의미인지, 아니면 이미 일어난 현재의 일에서 거슬러 올라가 과거에 아마 어떠한 일이 있었기에 현재가 일어났다고 반추하는 것인지 외국인 학습자 입장에서는 헷갈릴 수 있다. 비록 ‘-(ㅇ)ㄹ것이다’는 추측, 계획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가진, 이것 역시나 효율적인 표현법이지만 헷갈릴 수 있고 다양한 예문을 접해야만 완벽하게 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쓰임새가 다양하게 확장중인 ‘-겠-’이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효과적인 미래 시제 교육 및 설명이 될 수 있다.
출처 및 참고문헌
김제열(2003). 한국어교육에서 시간 표현 요소의 문법적 기술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 14(1), 한국어교육협회.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1998), 말이 트이는 한국어I,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출처 및 참고문헌
김제열(2003). 한국어교육에서 시간 표현 요소의 문법적 기술 방법 연구, 『한국어교육』 14(1), 한국어교육협회.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1998), 말이 트이는 한국어I,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한국어 교육실습 최종보고서(실습계획+수업관찰+실습교안+평가)
[국어맞춤법과 표준어] 현행 한글 맞춤법에 대한 고민
한국어 교수 학습법 적용 사례 - 직접교수법을 활용하여 -
[학습지도안] -전신반응교수법 적용 사례
한국어 개별 문법 항목에 대한 교육은 그것의 의미, 형태 통사적 정보, 담화화용적인 기능까...
(으)ㄴ, -던 (시제 중심으로 비교 분석 조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시제 교육 방안 연구 - ‘-았’‘-는’...
[한국어 문법 교육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교육 방안 연구 - 담화표지 ‘아니’를 ...
한국어문법교육론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