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화학요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1. 항암화학요법
1.1.1. 정의
1.1.2. 목표
1.1.3. 종류
1.1.4. 최적의 조건
1.1.5. 항암화학요법의 금기
1.1.6. 효과 판정 기준
1.1.7. 항암화학요법제
1.1.8. 세포실상이론
1.2. 항암요법제 투여
1.2.1. 투여계획표
1.2.2. 투약경로
1.2.3. 용량계산
1.2.4. 주입 시 안전간호
1.2.5. 장기간 주입을 위한 기구
1.3. 부작용과 간호
1.3.1. 위장관장애
1.3.2. 골수 억제
1.3.3. 피부 독작용
1.3.4. 생식기계
1.3.5. 비뇨기계
1.3.6. 심장,호흡기계
1.3.7. 신경계
1.3.8. 전신영향

본문내용

도록 함
(3) 구내염
· 정의: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한 감염으로 입 안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
· 치료가 끝난 후 2~3주에 걸쳐 발생하나 더 오래 지속되기도 함
· 치료
- 식사 때마다 나쁜 맛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을 마시거나 차가운 음식, 향신료 등을 이용
- 점막 항상성 유지, 수분공급, 감염예방, 청결을 돕기 위해 생리식염수 함수 함수: 수분을 함유하고 있음
· 예방
- 구강위생에 대한 대상자교육
- 구강점막재생을 이한 고단백식이
- 1500cc 이상의 수분섭취
(4) 변비
· 변비를 유발하는 가장 흔한 약제: vincristine
· 간호
- 수분과 섬유소가 함유된 음식 섭취
- 규칙적인 운동과 적절한 배변습관 가지도록 교육
- 처방에 따라 배변완화제를 투여
2) 골수억제
· 항암화학요법제의 독작용으로 골수기능 저하
·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혈액의 성분을 저하시켜 이러한 혈액들이 하는 기능을 못하게 됨으로써 부작용 발생
· 항암화학요법 후 혈액세포 수가 가장 낮은 지점인 최저점 주의
- 치료 후 7~10일 사이에 발생
- 감염에 가장 민감한 시기
(1) 빈혈
· 적혈구의 감소로 일어남
· 일반적으로 경증이지만 심할 경우 농축 적혈구(packed RBC)를 수혈한다.
· 예방할 때 적혈구 생산을 자극하는 당단백질 호르몬인 Erythropoietin Erythropoietin: 적혈구 생산을 자극하는 당단백질호르몬
사용
(2) 감염
· 백혈구의 감소로 일어남
- 백혈구감소증은 절대호중구 수치가 중요한 지표
· 간호
- 백혈구가 2,000/㎣이하일 때는 대상자를 격리시킴
-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G-CSF)와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GM-CSF)는 골수를 자극하여 호중구 감소증이 있는 기간을 줄임
- 모든 의료인은 감염관리 방법을 잘 지켜야하며, 대상자에게 침습적 처치를 할 때 무균술을 철저하게 지켜야 함
- 간호사는 대상자의 감염증상파악하고 대상자와 가족을 교육함
(3) 출혈
· 혈소판 수가 20,000/㎣이하이면 출혈위험이 높으므로 약물을 중단하고 혈소판 수혈
· 간호
- 대소변에 출혈증상이 있으면 즉시 보고해야함
- 칼이나 예리한 도구를 다룰 때 주의하고 변비로 인한 출혈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함
- 항암화학요법제 투여 시 정기적으로 전혈구 검사 실시
- 혈소판 수치가 10.000/㎣이하로 저하되면 뇌출혈과 심한 위장출혈이 초래하고 이런 대상자에게는 근육주사와 Valsalva maneuver 발살바조작 valsalva maneuver: 심호흡 뒤에 입과 콧구멍을 막고 숨을 내뱉으려고 배에 힘을 주는 조작을 말함
를 금지
3) 피부독작용
· 부작용
- 항암화학요법제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탈모증상 나타남(∵모낭은 세포분열이 빠름)
▶탈모는 보통 치료 후 2~3주경에 발생
- 발진, 색소침착, 광선 민감증, 손톱과 발톱의 비정상적인 성장
· 간호
- 대상자에게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남을 말하여 정서적으로 지지
- 탈모가 예상될 때에는 미리 머리를 잘라 가발을 쓰거나 스카프를 이용하도록 권장
- 항암화학요법제를 투여하는 동안 두피의 온도를 23~24˚c로 떨어트리는 두피 저온법을 적용하여 탈모의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
4) 생식기계
· 남성들은 비정상적인 정액생산과 불임이 올 수 있음
· 일시적 도는 영구적 불임은 여성이 남성보다 적게 나타남
· 약제의 종류, 용량, 투여기간은 불임에 대항 영향을 경정하는 중요한 변수
· 간호
- 항암화학요법제를 장기 투여하며 불임과 조기폐경이 올수 있음을 대상자에게 미리 알림
- 치료가 끝난 2년 후에 임신할 것을 권고
- 치료 전에 남성은 정자냉동보존을 이용하며, 여성은 난자를 채취하여 보관
5) 비뇨기계
· 항암화학요법이 빠르게 암세포를 용해시키면 요산 요산 kuric acid: 퓨린 유도체로서 탄소, 산소, 수소, 질소 등으로 이루어진 유기화합물
생산과 배설이 증가
· 순환혈액 중 세포 내 물질이 배출되면 혈청 칼륨치와 인산치가 증가하고 혈청 칼슘치는 감소
· Cisplatin 등의 일부 항암화학요법제는 신장에 손상을 줄 수 있다.
· 출혈성방광염은 화학법제의 대사산물로 인한 염증자극으로 방광점막이 손상되어 발생
· 간호
- 혈뇨, 핍뇨, 야간뇨, 배뇨장애의 증상이 없는지 확인
- 요상결석을 예방: 적절한 수분섭취, 소변의 알칼리화, 혈청 요산을 감소시키는 약물투여
6) 심장, 호흡기계
· 장기간 항암화학요법은 하였을 때 호흡기능 감소하며, 만성적인 문제로 남음
· Doxorubicin과 daunorubicin은 신근 독성을 유발
· 간호
- 항암화학요법 시작하기 전에 심장기능을 평가하고 치료동안 심부전 징후가 없는지 사정
- 폐기능검사를 통해 폐기능의 변화를 파악
7) 신경계
· 신경계의 영향은 보통 가역적
· 말초신경병, 반사기전상실, 청각신경 손상으로 인한 청력상실, 마비성장폐색이 발생할 수 있음
(∵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 뇌신경 또는 직·간접으로 손상)
· 간호
- 대상자가 활동과 휴식을 균형 있게 함
- 적절하게 영양을 섭취하도록 함
- 필요시 물리요법 상담을 받도록 함
8) 전신영향
· 주요 부작용 중 하나가 피로
- 피로의 정도는 대상자의 활동수준, 영양불량, 스트레스, 수면부족, 빈혈, 저산소증, 감염,발열, 통증, 항암치료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짐
· 간호
- 대상자가 균형 잡힌 활동과 휴식을 하도록 교육
- 적절하게 영양을 섭취하도록 교육
- 필요시 물리요법 상담을 받도록 함
참고자료
- 국가암정보센터. 항암화학요법.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20401010000에서 검색
- 김금순(2016). 성인간호학Ⅰ. 파주: 수문사
- 사단법인 대한암협회. 항암화학요법. http://www.kcscancer.org/에서 검색
-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외(2013). 성인간호학 상권. 서울: 현문사
- 사단법인 대한암협회. 항암화학요법. http://www.kcscancer.org/에서 검색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