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소년들의 학업성취
I. 개인적 요인
1. 지적 특성
2. 정의적 특성
3. 태도적 특성
II. 외부적 요인
1.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2. 부모의 특성
3. 동년배 집단
* 참고문헌
I. 개인적 요인
1. 지적 특성
2. 정의적 특성
3. 태도적 특성
II. 외부적 요인
1.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
2. 부모의 특성
3. 동년배 집단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육방식으로 권위적인 부모 또는 민주적인 부모를 들 수 있는데, 이들은 독재적인 부모보다 학교생활과 학업을 중요하게 여겼으며, 자녀교육이나 학교의 자원봉사활동 등에 더 많이 참여하였고, 교사와의 면담시간을 충분히 가졌으며, 자녀의 과제를 돕거나 대화를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동년배 집단
동년배 집단은 청소년들과 학교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학업수행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청소년들은 또래관계의 질에 따라 성취동기, 학교생활 참여도, 소속감, 문화 반영도 등이 좌우된다. 학교에는 나름대로의 독특한 문화를 갖는 동년배 집단들이 존재한다. Cohen(1983)은 고등학생들 사이의 동년배 집단이 세 개의 하위문화를 갖는 집단으로 구분됨을 발견하였는데 재미추구 하위문화, 학구적 학위 문화, 비행청소년 하위문화가 그것이다. 재미추구 하위문화 집단은 학업수행을 거부하지는 않지만 체육활동이나 과외활동을 더 중요시한다. 이 집단의 대다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지만학문적 성공이나 지적 영역의 확장을 위한 것은 아니다. 학구적 하위문화 집단은 학업을 중요시하고 지적 성취를 위해 노력한다. 이 집단의 학생들은 그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고 학문적 성공을 지향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비행청소년 하위문화 집단은 교칙과 사회적 규범에 반항하는 청소년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학업수행이나 대학 진학에 관심이 없다. 비행청소년이나 일탈된 청소년을 제외하고 모두가 대학에 진학하기를 원하지만 모든 학생들이 지적 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아니 며 소위 학구적 하위문화 집단에 속하는 학생들만이 대학 진학 이후에도 그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또래집단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청소년들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높고, 학교활동 참여도가 높으며, 소속감이 강하여 바람직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의 학교체제에 반항하는 비행 하위문화 집단이나 교육을 거부하는 또래집단의 문화를 받아들인 청소년의 경우 학교를 중도탈락하거나 진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영숙 외, 2009).
현대사회의 청소년 사회화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인 학교는 잎서 밝혔듯이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음에도 학교는 청소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중요한 삶의 공간이다. 따라서 청소년문제의 해결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기관이다. 학교와 교사는 문제를 가진 청소년 개개인이 적합한 교육과 상담, 치료 등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3) 동년배 집단
동년배 집단은 청소년들과 학교에서 상호작용을 하며 학업수행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청소년들은 또래관계의 질에 따라 성취동기, 학교생활 참여도, 소속감, 문화 반영도 등이 좌우된다. 학교에는 나름대로의 독특한 문화를 갖는 동년배 집단들이 존재한다. Cohen(1983)은 고등학생들 사이의 동년배 집단이 세 개의 하위문화를 갖는 집단으로 구분됨을 발견하였는데 재미추구 하위문화, 학구적 학위 문화, 비행청소년 하위문화가 그것이다. 재미추구 하위문화 집단은 학업수행을 거부하지는 않지만 체육활동이나 과외활동을 더 중요시한다. 이 집단의 대다수 학생들이 대학에 진학하지만학문적 성공이나 지적 영역의 확장을 위한 것은 아니다. 학구적 하위문화 집단은 학업을 중요시하고 지적 성취를 위해 노력한다. 이 집단의 학생들은 그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대학에 진학하고 학문적 성공을 지향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비행청소년 하위문화 집단은 교칙과 사회적 규범에 반항하는 청소년들로 구성되며, 이들은 학업수행이나 대학 진학에 관심이 없다. 비행청소년이나 일탈된 청소년을 제외하고 모두가 대학에 진학하기를 원하지만 모든 학생들이 지적 성취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아니 며 소위 학구적 하위문화 집단에 속하는 학생들만이 대학 진학 이후에도 그들의 지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열심히 노력한다. 또래집단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청소년들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높고, 학교활동 참여도가 높으며, 소속감이 강하여 바람직한 학교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의 학교체제에 반항하는 비행 하위문화 집단이나 교육을 거부하는 또래집단의 문화를 받아들인 청소년의 경우 학교를 중도탈락하거나 진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영숙 외, 2009).
현대사회의 청소년 사회화를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인 학교는 잎서 밝혔듯이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음에도 학교는 청소년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중요한 삶의 공간이다. 따라서 청소년문제의 해결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기관이다. 학교와 교사는 문제를 가진 청소년 개개인이 적합한 교육과 상담, 치료 등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논문계획서]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자아존중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청소년비행][비행청소년][청소년문제][비행]청소년비행의 원인, 청소년비행의 원인이론, 청...
학업문제의 이해와 지도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효과적인 개입에 대한 고찰 (Review on Adolescent Suic...
청소년비행의 영향요인-공부(학업)관련 요인(원인)
리틀맘 - 10대 어린 엄마들
청소년 정신건강에 대하여 설명
[청소년심리및상담] 청소년의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으며 이 중 가장 영...
[청소년 학업] 청소년기 학업스트레스,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