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장. 서론
1. 연구의 선택 동기
2. 연구 방법과 범위
제 Ⅱ장. 본론
1. 사회적 심리현상에 대한 이론
1)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복고 현상
2) 경제 위기로 인한 향수
3) 과거의 촌스러움을 통한 색다른 재미 발견
2. 복고 현상에 대한 선행 연구
1) ‘응답하라 1997’에 열광하는 이유?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 게 해
2) 복고의 의미를 통해 알아본 복고영화 열풍
3) 21C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복고적 성향
-1980년 이후 복고적 성향을 중심으로-
3.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복고 열풍
1) 1990년대 복고+사투리, 인기 비결 맞제?
2) 대한민국은 복고 열풍 ‘추억 돋네’
3) 복고 패션의 유행
제 Ⅲ장. 결론
- 복고 열풍의 전망과 유의할 점
참고문헌
1. 연구의 선택 동기
2. 연구 방법과 범위
제 Ⅱ장. 본론
1. 사회적 심리현상에 대한 이론
1)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복고 현상
2) 경제 위기로 인한 향수
3) 과거의 촌스러움을 통한 색다른 재미 발견
2. 복고 현상에 대한 선행 연구
1) ‘응답하라 1997’에 열광하는 이유?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 게 해
2) 복고의 의미를 통해 알아본 복고영화 열풍
3) 21C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복고적 성향
-1980년 이후 복고적 성향을 중심으로-
3.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복고 열풍
1) 1990년대 복고+사투리, 인기 비결 맞제?
2) 대한민국은 복고 열풍 ‘추억 돋네’
3) 복고 패션의 유행
제 Ⅲ장. 결론
- 복고 열풍의 전망과 유의할 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행은 돌고 도는 듯하다. 떡볶이 코트부터 빵모자, 체크무늬, 멜빵바지까지 90년대 흔히 보였던 옷, 모자가 최근에 자주 보이기 시작했다.
먼저 일명 ‘떡볶이 코트’라 불리는 더플코트는 교복을 입은 학생들에게 특히 많은 사랑을 받았다. 21세기 노스페이스 바람막이가 신드롬을 일으켰다면 1990년대에는 더플코트가 대세였다. 더플코트는 후드가 달린 형태의 싱글코트로, 단추를 채우는 대신 끈으로 여미도록 돼 있는 것을 말한다. 단추 부분이 떡볶이 떡과 비슷한 모양이라고 해서 '떡볶이 코트'라고도 불린다. 더플코트는 데일리 룩에는 물론 교복과 같은 정장에도 깔끔하게 어울려 지금까지도 겨울 아이템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출처: SBS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상속자들' 방송화면 캡처,
KBS '예쁜 남자‘ 방송 화면 캡쳐,
TOPIC/SplashNews)
두 번째로 베레모는 챙이 없고 둥글납작한 모자를 뜻한다. '빵모자' '화가모자' 등 그 별명도 다양하다. 이는 1960년대 영화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보니 앤 클라이드)'의 여주인공 보니가 착용하고 나오면서 일명 '보니룩'으로 유명세를 탔다.
(출처: 송지은 트위터, SM타운 웨이보, 머니투데이DB, 지아 웨이보)
세 번째로 2013 F/W 시즌을 강타한 메가트렌드 '체크' 역시 '유행은 돌고 돈다.'는 말의 좋은 예다. 특히 1990년대에는 체크 셔츠를 허리에 묶거나 치마처럼 늘어뜨려 연출하는 스타일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당시 그룹 듀스, 서태지와 아이들, 김원준 등이 이러한 스타일링을 즐기면서 체크 패턴의 유행을 선도했다. 한동안 체크는 '촌스러움의 대명사'였지만 이제는 오히려 트렌디한 패션의 요소로 자리 잡았다.
(출처: 머니투데이DB)
마지막으로 오버롤 팬츠, 일명 '멜빵바지'는 앞뒤를 연결하는 어깨 끈과 가슴 받이가 있는 바지를 칭한다. 오랫동안 아동복 또는 작업복 이미지로 인식되면서 쉽사리 입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복고 열풍에 힘입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는 아이템이다. 특히 최근에는 루즈 핏 오버롤·숏 오버롤 데님 팬츠·오버롤 스커트 등 복고에 트렌드가 접목되어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어 개성에 따라 독특하게 연출할 수 있다.
(출처: 코어콘텐츠미디어, 머니투데이DB)
(출처: 네이버 블로그)
제 Ⅲ장. 결론
유행이란 그 시대의 가려진 감성들을 고스란히 드러내준다. 복고풍은 저렇게 살았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이 때문에 『복고풍이 유행하는 이유- [패션으로 본 세상] 유행의 이면 』(김소희 말콤브릿지 대표, 머니투데이, 2006) 인용
마케팅업계에선 한 장의 손뜨게 니트처럼 보다 따뜻한 감성을 전달하는 마케팅 기법인 ‘웜(warm) 마케팅’이 성공적인 결과를 내고 있다. 최근 이런 모습을 보면 이 복고 열풍은 한동안 더 이어질 전망이다. 이런 복고를 통해 기성세대와 신세대간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현상은 바람직하다. 기성세대는 복고를 통해 자신의 과거를 추억하며 그 것에서 행복감을 찾고, 신세대는 이런 기성세대의 문화에 호기심을 가지고 알아가며 기성세대에 대해 알아가며 한발 더 다가갈 수 있다.
세련되고 완벽하게 살고 싶어서 너무 애써서 잠시 쉬고 싶어졌다. 진정으로 과거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할 만큼 사람들은 어리석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위 칼럼 재인용
복고풍이 제공하는 따뜻함이란 유머를 가미할 때 가장 성공적이다. 친숙하고 미숙한 과거란, 그것을 뚫어 볼 수 있는 현재의 ‘영리함’, 이를 즐기는 능숙함을 수반할 때에만 의미가 있다. 즉, 『대한민국은 복고 열풍 ‘추억 돋네’』(박형재 기자, MDN, 2012)
인기가 있으니 너도나도 복고를 찾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상술로 무분별하게 90년대를 남발하는 속에서 첫 사랑의 기억이나 아련한 추억들은 퇴색되기 마련이다. 추억을 떠올리고 감동을 주는 복고 문화와 그것을 아름답게 추억하는 사람들이 있을 때 비로소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 잡는다.
복고라는 주제로 기성세대와 신세대가 서로를 이해하기에 한발 더 다가서고 팍팍한 현실에서 벗어나 지금보다 행복했던 과거를 추억하는 일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옛말이 있듯이 너무 지나치게 과거를 쫓아가면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한다. 복고 열풍으로 인해 계속 과거만 쫓는다면 과거가 계속 반복이 될 뿐 발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과거를 추억하며 그 당시를 떠올리는 것은 좋지만 복고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미래의 발전을 위해서 복고와 더불어 새로운 발전도 필요하다.
따라서 지나치게 복고를 강조하면서 과거만을 쫓아갈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를 적절하게 복합시켜서 새로운 트렌드로 발전해 나갈 것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학위 논문>
이안나 『영화 <써니>를 통해본 복고영화 제작의 가능성』(학위논문, 2013)
박성운 『21C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복고적 성향 -1980년 이후 복고적 성향 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2006)
<신문 기사, 칼럼>
『대한민국은 복고 열풍 ‘추억 돋네’』(박형재 기자, MDN 뉴스, 2012)
『복고풍이 유행하는 이유- [패션으로 본 세상] 유행의 이면 (1)』(김소희 말콤브릿지 대표, 머니투데이, 2006)
『‘응답하라 1997’에 열광하는 이유?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게 해』(전은경 기자, 코리안 스피릿, 2012) 인용
『[SS탐사 - ‘응답하라’ 신드롬 ] 1990년대 복고+사투리, 인기비결 맞제? (종합)』(hanna@media.sportsseoul.com, 스포츠 서울 닷컴, 2013) 인용
<사전>
『산업안전대사전』(최상복, 도서출판 골드, 2004) 인용
『두산백과』인용
『실험심리학용어사전』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2008, 시그마프레스㈜) 인용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학지사) 인용
<사진>
SBS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상속자들' 방송화면
KBS '예쁜 남자‘ 방송 화면
TOPIC/SplashNews
송지은 트위터
SM타운 웨이보
지아 웨이보
머니투데이DB
코어콘텐츠미디어
네이버 블로그
tvN
인터넷 커뮤니티
먼저 일명 ‘떡볶이 코트’라 불리는 더플코트는 교복을 입은 학생들에게 특히 많은 사랑을 받았다. 21세기 노스페이스 바람막이가 신드롬을 일으켰다면 1990년대에는 더플코트가 대세였다. 더플코트는 후드가 달린 형태의 싱글코트로, 단추를 채우는 대신 끈으로 여미도록 돼 있는 것을 말한다. 단추 부분이 떡볶이 떡과 비슷한 모양이라고 해서 '떡볶이 코트'라고도 불린다. 더플코트는 데일리 룩에는 물론 교복과 같은 정장에도 깔끔하게 어울려 지금까지도 겨울 아이템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출처: SBS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상속자들' 방송화면 캡처,
KBS '예쁜 남자‘ 방송 화면 캡쳐,
TOPIC/SplashNews)
두 번째로 베레모는 챙이 없고 둥글납작한 모자를 뜻한다. '빵모자' '화가모자' 등 그 별명도 다양하다. 이는 1960년대 영화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보니 앤 클라이드)'의 여주인공 보니가 착용하고 나오면서 일명 '보니룩'으로 유명세를 탔다.
(출처: 송지은 트위터, SM타운 웨이보, 머니투데이DB, 지아 웨이보)
세 번째로 2013 F/W 시즌을 강타한 메가트렌드 '체크' 역시 '유행은 돌고 돈다.'는 말의 좋은 예다. 특히 1990년대에는 체크 셔츠를 허리에 묶거나 치마처럼 늘어뜨려 연출하는 스타일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당시 그룹 듀스, 서태지와 아이들, 김원준 등이 이러한 스타일링을 즐기면서 체크 패턴의 유행을 선도했다. 한동안 체크는 '촌스러움의 대명사'였지만 이제는 오히려 트렌디한 패션의 요소로 자리 잡았다.
(출처: 머니투데이DB)
마지막으로 오버롤 팬츠, 일명 '멜빵바지'는 앞뒤를 연결하는 어깨 끈과 가슴 받이가 있는 바지를 칭한다. 오랫동안 아동복 또는 작업복 이미지로 인식되면서 쉽사리 입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복고 열풍에 힘입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는 아이템이다. 특히 최근에는 루즈 핏 오버롤·숏 오버롤 데님 팬츠·오버롤 스커트 등 복고에 트렌드가 접목되어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어 개성에 따라 독특하게 연출할 수 있다.
(출처: 코어콘텐츠미디어, 머니투데이DB)
(출처: 네이버 블로그)
제 Ⅲ장. 결론
유행이란 그 시대의 가려진 감성들을 고스란히 드러내준다. 복고풍은 저렇게 살았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이 때문에 『복고풍이 유행하는 이유- [패션으로 본 세상] 유행의 이면 』(김소희 말콤브릿지 대표, 머니투데이, 2006) 인용
마케팅업계에선 한 장의 손뜨게 니트처럼 보다 따뜻한 감성을 전달하는 마케팅 기법인 ‘웜(warm) 마케팅’이 성공적인 결과를 내고 있다. 최근 이런 모습을 보면 이 복고 열풍은 한동안 더 이어질 전망이다. 이런 복고를 통해 기성세대와 신세대간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현상은 바람직하다. 기성세대는 복고를 통해 자신의 과거를 추억하며 그 것에서 행복감을 찾고, 신세대는 이런 기성세대의 문화에 호기심을 가지고 알아가며 기성세대에 대해 알아가며 한발 더 다가갈 수 있다.
세련되고 완벽하게 살고 싶어서 너무 애써서 잠시 쉬고 싶어졌다. 진정으로 과거로 돌아가고 싶다고 생각할 만큼 사람들은 어리석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위 칼럼 재인용
복고풍이 제공하는 따뜻함이란 유머를 가미할 때 가장 성공적이다. 친숙하고 미숙한 과거란, 그것을 뚫어 볼 수 있는 현재의 ‘영리함’, 이를 즐기는 능숙함을 수반할 때에만 의미가 있다. 즉, 『대한민국은 복고 열풍 ‘추억 돋네’』(박형재 기자, MDN, 2012)
인기가 있으니 너도나도 복고를 찾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상술로 무분별하게 90년대를 남발하는 속에서 첫 사랑의 기억이나 아련한 추억들은 퇴색되기 마련이다. 추억을 떠올리고 감동을 주는 복고 문화와 그것을 아름답게 추억하는 사람들이 있을 때 비로소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 잡는다.
복고라는 주제로 기성세대와 신세대가 서로를 이해하기에 한발 더 다가서고 팍팍한 현실에서 벗어나 지금보다 행복했던 과거를 추억하는 일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옛말이 있듯이 너무 지나치게 과거를 쫓아가면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한다. 복고 열풍으로 인해 계속 과거만 쫓는다면 과거가 계속 반복이 될 뿐 발전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과거를 추억하며 그 당시를 떠올리는 것은 좋지만 복고만을 주장할 것이 아니라 미래의 발전을 위해서 복고와 더불어 새로운 발전도 필요하다.
따라서 지나치게 복고를 강조하면서 과거만을 쫓아갈 것이 아니라 과거와 현재를 적절하게 복합시켜서 새로운 트렌드로 발전해 나갈 것을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학위 논문>
이안나 『영화 <써니>를 통해본 복고영화 제작의 가능성』(학위논문, 2013)
박성운 『21C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복고적 성향 -1980년 이후 복고적 성향 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2006)
<신문 기사, 칼럼>
『대한민국은 복고 열풍 ‘추억 돋네’』(박형재 기자, MDN 뉴스, 2012)
『복고풍이 유행하는 이유- [패션으로 본 세상] 유행의 이면 (1)』(김소희 말콤브릿지 대표, 머니투데이, 2006)
『‘응답하라 1997’에 열광하는 이유? 행복했던 기억을 떠올리게 해』(전은경 기자, 코리안 스피릿, 2012) 인용
『[SS탐사 - ‘응답하라’ 신드롬 ] 1990년대 복고+사투리, 인기비결 맞제? (종합)』(hanna@media.sportsseoul.com, 스포츠 서울 닷컴, 2013) 인용
<사전>
『산업안전대사전』(최상복, 도서출판 골드, 2004) 인용
『두산백과』인용
『실험심리학용어사전』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2008, 시그마프레스㈜) 인용
『교육심리학용어사전』 (한국교육심리학회, 2000, 학지사) 인용
<사진>
SBS '왕관을 쓰려는 자, 그 무게를 견뎌라-상속자들' 방송화면
KBS '예쁜 남자‘ 방송 화면
TOPIC/SplashNews
송지은 트위터
SM타운 웨이보
지아 웨이보
머니투데이DB
코어콘텐츠미디어
네이버 블로그
tvN
인터넷 커뮤니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