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의 정치발전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브라질의 정치발전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1. Gabriel A. Almond, S. Verba의 ‘시민문화론’
2. Guillermo O' Donnell의 ‘관료적 권위주의 이론’
3. S. P. Huntington 정치적 제도화

Ⅲ. 브라질의 정치발전 과정
1. 브라질 식민지배와 공화정 시작
2. 바르가스 등장
1) 10월 혁명
2) 브라질 정치의 기본 대립구조와 제도 형성
3. 군부 정권 등장
1) 군부 개입
2) 군부정권 퇴진
4. 문민정부 등장

Ⅳ. 이론을 통한 브라질 정치발전 분석
1. 시민문화론을 통한 분석
2. B-A체제이론을 통한 분석
3. S. P. Huntington 정치적 제도화를 통한 분석

Ⅴ. 결론

본문내용

.
참고문헌
김윤중, “브라질 군부 권위주의체제 붕과과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4.
김현창, "브라질의 권력구조와 정치과정의 특성",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1991.
문병주,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의 해체와 민주화과정 :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사례를 중심
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0.
민준기, “정치발전의이해-민주화의물결”, 「법문사」, 1993.
박보윤,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의 민주화 이행과정 비교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교학과,
2007.
박은미, “관료적 권위주의의 위기징후들에 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1984.
심명순, “관료적 권위주의체제의 형성과 전개”, 「고시계」 31집8호, 1986.
양동훈, “군부와 민주화 :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비교분석”, 라틴아메리카연구3, 한국라틴아메
리카학회, 1990.
오삼교, “브라질 민주화의 전개와 과제”, 기억과전망 제6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4.
이극찬, “정치학”, 「법문사」, 2010.
이영조,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하에서의 국가자율성의 한계”, 「한국정치학회보」 26집2호, 1992.
이영조, “관료적 권위주의 체제하에서의 국가자율성의 한계-군정기 브라질의 농업 개혁정책
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6권 2호, 1993.
임두빈, “리더십의 변화와 브라질의 부상”, 이베로아메리카 제14권 2호,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2012.
장성호, “위기의 제3세계 정치론”, 「학문사」, 2003.
전기원, “시민사회, 시민문화 그리고 합의민주주의”, 「21세기정치학회보」 7권2호, 1997.
정진영, “브라질의 민주화와 개혁”, 「라틴아메리카연구」 8권, 1995.
정진영, “브라질의 정치제도와 정치적 불안정”, 「라틴아메리카연구」 10권1호, 1997.
조이환, “브라질 민주화 시대연구, 1930-1964”, 「포르투칼-브라질연구」 제1권 제1호, 2004.
최영수, “브라질 과두정치 체제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3권 4호 통권51호, 2009.
최진태, "브라질 룰라정부의 집권과 개혁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2011.
최충민, “한국 정당의 제도화 수준에 관한 비교 연구”, 「학위논문(박사)」, 2008.
최항순, “발전행정론”, 「신원문화사」, 2006
한상진, “제 3세계정치체제와 관료적 권위주의”, 「한울」, 1984.
Guillermo O' Donnell, “Modernization and Bureaucratic-Authoritarianism”,
「Duke University Press-The Hispanic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55 No.3」, 1975.
Samuel. P. Huntington지음 강문구, 이재영옮김, “제 3의 물결”, 「인간사랑」, 2011.
[네이버 지식백과], 브라질,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5279&cid=40942&categoryId=34129
[네이버 학생백과], 브라질의 삼바와 축구,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717365&cid=43050&categoryId=43050
[네이버 학생백과], 참여형정치문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43367&cid=47333&categoryId=47333
부록) 헌팅턴의 ‘제도화 수준 평가기준’ 분석틀 <표-2>는 최충민, “한국정당의 제도화 수준에 관한 비교연구 :S.Huntington의 정당의 제도화 이론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학위논문(박사)」, 2009 pp22-28의 내용을 표로 재구성 한 자료이며, 김호진, “한국정치제제론”, 「서울: 박영사」, 1997, 김영태, “한국 정당정치의 제도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이진복, “한국의 정치발전과 정치자금제도의 연구”, 「동아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1, Samuel P. Huntington,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y",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 Press」, 1973 재인용.
적응성-경직성
적응성이란 정치적 환경변화에 신축성 있게 대응하면서 계획적으로 정당이 존속하는 것을 의미한다.(김호진, 1997: 478)
한 조직이나 절차의 적응성이 강하면 강할수록 제도화 수준은 높아지고, 그 조직과 절차는 보다 고도환 된다. 반대로 적응성이 약하고 경직성이 강하면 강할수록 제도화 수준은 낮아진다.(김영태, 1994: 18-21)
적응성은 후천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의 특성으로 대개 환경적인 도전과 연륜에서 오는 기능이다.(S. Huntington, 1973: 13-17)
복합성-단순성
복합성은 구조적인 분화를 지칭한다. 즉, 위계적 및 기능적인 면에 있어서 하급단위의 증식과 분화에 관한 척도이다.(이진복, 2001: 10)
한 조직이 복합적일수록 그 조직은 고도로 제도환 된다. 복합성은 위계적인 면에 있어서나 기능적인 면에서 조직의 하위단위체를 증가 시키고, 또 조직의 하위단위체를 여러 가지 분리된 형태로 분화 시키는 것 모두를 의미한다.
자율성-종속성
자율성은 정당이 통치자 또는 여러 정치세력으로부터의 간섭을 배제하고 대외적으로 독자성을 행사하는 경우와 일반당원이나 지방조직과 같은 정당의 하위단위가 중앙당 또는 당간부와의 관계에서 산대적인 자율성을 행유하는 당내민주주의의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김호진, 1997: 478)
자율성은 이해와 가치가 다른 타 기관 및 사회세력으로부터의 독립성의 정도이다. 한영환, “발전행정론”, 「아세아 문화사」, 2000. 10. 10.
응집성-분열성
응집성은 파벌주의와 분파성을 지양하고 통합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김호진, 1997: 478-479)
조직은 통합되고 응집되면 될수록 고도로 제도화되고 반대로 분열성이 클수록 그 조직의 제도화는 미약하다. 헌팅턴은 “협동과 규율은 전쟁에 있어서나 정치에 있어서나 모두 결정적으로 필요하다”고 지적하였다.
  • 가격1,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9.03.0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4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