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태아기 정신건강
I. 임신과 출산
II. 태아기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부모의 정서상태
2. 모의 약물복용
3. 모의 영양상태
4. 기타 요인
III. 태교
* 참고문헌
I. 임신과 출산
II. 태아기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부모의 정서상태
2. 모의 약물복용
3. 모의 영양상태
4. 기타 요인
III. 태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잘 알려진 풍진은 태아에게 정신지체, 신체장애, 청각장애, 심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후천성 면역 결핍증, B형간염, 당뇨, 매독이 나 임 질 등도 태아의 발달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첫 아이의 출산이 늦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태아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III. 태교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에서는 엄마의 뱃속에 열 달 동안 있는 아기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였다면 서양에서는 아기가 태어나야지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로 여겼다. 이는 나이계산법을 보면 잘 알 수 있는데,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아이에게 1살이라고 하지만 서양에서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서양에서는 태교란 거의 고려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의학이 발달하면서 서양에서도 태아가 산모의 건강과 정서상태, 외부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태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태교는 산모의 정서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의 전통태교에서는 임신 3개월이 되면 아이의 기품이 형성되므로 기품 있는 주옥, 명향 등을 가까이 하고, 6개월이 되면 심성이 형성되므로 고운 말만 들으며, 선현의 명언을 외우고, 시를 읽거나 붓글씨를 쓰며, 품위 있는 음악을 듣고, 매화나 난초의 은근한 향을 맡으라고 하였다(임창재, 2009 : 29). 태교의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들이 있으나 한국의 전통적인 태교에서는 늘 바른 말 고운 말을 쓰고, 좋은 것을 먹으며 몸가짐을 바르게 하도록 했는데, 이는 임부와 태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하여 출산 이후에도 이러한 관계가 지속적인 영향을 주어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하도록 이끌기 위한 것일 것이다. 족, 태교 그 자체보다는 태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고, 부모로서의 마음가짐과 자세를 갖추도록 일찍이 준비하며, 생명체를 존중하는 자세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7
성인의 건강관리 / 임완지 저, 광림북하우스, 2016
웰니스 건강관리 / 조현철 박상규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4
III. 태교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에서는 엄마의 뱃속에 열 달 동안 있는 아기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였다면 서양에서는 아기가 태어나야지만 비로소 하나의 인격체로 여겼다. 이는 나이계산법을 보면 잘 알 수 있는데, 우리는 태어나자마자 아이에게 1살이라고 하지만 서양에서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서양에서는 태교란 거의 고려대상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의학이 발달하면서 서양에서도 태아가 산모의 건강과 정서상태, 외부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태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태교는 산모의 정서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국의 전통태교에서는 임신 3개월이 되면 아이의 기품이 형성되므로 기품 있는 주옥, 명향 등을 가까이 하고, 6개월이 되면 심성이 형성되므로 고운 말만 들으며, 선현의 명언을 외우고, 시를 읽거나 붓글씨를 쓰며, 품위 있는 음악을 듣고, 매화나 난초의 은근한 향을 맡으라고 하였다(임창재, 2009 : 29). 태교의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들이 있으나 한국의 전통적인 태교에서는 늘 바른 말 고운 말을 쓰고, 좋은 것을 먹으며 몸가짐을 바르게 하도록 했는데, 이는 임부와 태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형성하여 출산 이후에도 이러한 관계가 지속적인 영향을 주어 자녀의 건강한 성장을 하도록 이끌기 위한 것일 것이다. 족, 태교 그 자체보다는 태아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고, 부모로서의 마음가짐과 자세를 갖추도록 일찍이 준비하며, 생명체를 존중하는 자세에 더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학습목표에 맞춘 보건관리 / 박웅섭, 보문각, 2009
건강교육과 보건학의 이해 / 권봉안 저, 한미의학, 2015
공중보건학 / 김낙상 저, 에듀팩토리, 2016
알기 쉬운 공중보건학 / 이련리, 조갑연 외 4명 저, 효일, 2017
최신공중보건학 / 정희곤, 강갑연 외 2명 저, 광문각, 2017
성인의 건강관리 / 임완지 저, 광림북하우스, 2016
웰니스 건강관리 / 조현철 박상규 저, 라이프사이언스, 2014
추천자료
태교어드바이스
인간의 성장과 발달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
의료
아동발달 레포트
정신건강 정리 (인격장애, 태아기~노년기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태아기의 정신건강 - 태아기의 개념과 발달 및 태아기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태교의 중요성) 본인이 생각하는 태교(胎敎)의 중요성을 태내발달(胎內發達)에 영향을 미치...
[생활주기영양학 A형]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하여 임신 저해요소, 임신부의 생체변화와 이...
[정신건강] 인간발달 각 단계(태아기~노년기)의 발달적 특성과 그 시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
인간의 발달과 성장을 생애발달과정(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