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매스미디어와 민주주의
1) 매스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2) 매스미디어와 정치권력의 관계
2. 매스미디어의 정치적 효과
1) 의견의 형성과 변화
2) 여론 형성에 대한 효과
3) 정치적 참여에 대한 효과
3. 매스미디어와 선거
1) 매스미디어와 대중설득
2) 선거와 매스미디어
3) 매스미디어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
4. 매스미디어와 정치 메시지
1) 선거보도
2) 정치광고
3) TV 토론
4) 인터넷과 선거운동
1) 매스미디어의 정치적 역할
2) 매스미디어와 정치권력의 관계
2. 매스미디어의 정치적 효과
1) 의견의 형성과 변화
2) 여론 형성에 대한 효과
3) 정치적 참여에 대한 효과
3. 매스미디어와 선거
1) 매스미디어와 대중설득
2) 선거와 매스미디어
3) 매스미디어가 선거에 미치는 영향
4. 매스미디어와 정치 메시지
1) 선거보도
2) 정치광고
3) TV 토론
4) 인터넷과 선거운동
본문내용
후보자들의 정책과 비전을 견주로 이를 평가할 수 있다는 데에서 매우 유용한 미디어 정치 과정이다. TV토론은 각 후보자들이 무료로 미디어를 이용, 자신들의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대 후보와 직접적으로 경쟁할 수 있는 미디어 이벤트로 후보자와 유권자 두 측면에서 매우 큰 이점을 가진다. 유권자는 토론을 통해 선거와 후보자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 후보자들의 비교를 통해 선택의 합리성을 증대시킨다. 한편 후보자 또한 자신이 가진 지도자로서의 능력과 자질을 유권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릴 수 있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중개되는 방송의 특성상 후보자의 정치적인 이념보다는 이미지를 어필하여 유권자에게 소구하며, 후보자의 상황대처 능력,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을 부각시켜 유권자의 합리적인 판단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TV 토론이 정책 보다는 개인의 이미지가 크게 작용한다는 사례는 1960년 미국 텔레비전 정치토론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존 F. 케네디와 닉슨의 대결을 들 수 있다. 준수한 외모에 젊고, 자신감이 넘치며, 카메라 앞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났던 케네디후보가 몸이 불편했던 데다 메이크업도 하지 않았던 닉슨 부통령을 앞도 한 것이다. 텔레비전을 통해 두 후보의 토론을 지켜봤던 후보자들은 케네디의 활약을 높게 평가한 반면, 라디오로 청취했던 유권자들은 닉슨이 우세했다고 평가했다는 결과(Croteau & Hoynes, 2003) Croteau, D., & Hoynes, W. (2003). Media Society: Industries, Images, and Audiences(3rd ed.),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는 TV토론에서 개인의 외모와 같은 이미지가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했는지 가늠하게 한다.
미국의 TV토론은 동등시간의 원칙에 의해 1970년 잠시 중단되었지만 1975년 연방통신위원회의 결정으로 다시 부활되었으며, 1992년에는 처음으로 생방송토크쇼를 진행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 최초 전국 동시 지방선거를 시작으로 1997년 15대 대통령선거에서 본격화되었다. 이는 사회자 질문에 의한 토론과 후보 질문에 의한 토론형식이 차용되었다. 2002년 16대 대선에는 일대일 토론형식과 시민이 질문자로 참여하는 타운홀 방식이 도입되었다. 텔레비전 토론의 방식이 형식적인 공정성에 치중하면서 내용에 소홀했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대중 집회와 조직 동원 중심의 선거가 중심이었던 고비용의 선거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미디어 선거로 이동하게 하는데 기여했으며, 매스미디어를 통해 후보자의 정보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평가하게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1997년 대통령 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출범하여 주요 언론사 및 학계, 대한변협, 시민단체 등이 추천하는 11인 및 원내교섭단체가 1인식 추천하는 인사로 구성되어있으며, 보다 공정하고 전문적인 방식으로 토론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4) 인터넷과 선거운동
온라인 인구의 확산은 인터넷 매개 선거캠페인을 활성화시켰다. 특히 선거 후보자들의 메시지들과 지지자들의 메시지들이 동영상으로 만들어진 이용자제작콘텐츠(UCC, User Creative Contents)는 빠르게 확산되었다.
인터넷은 다른 캠페인 매체에 비해 매우 저렴하면서도 텍스트, 음성,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특성에 이용자들 간의 참여와 대화가 가능한 상호작용성을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선거캠페인에서 그 활용도가 매우 크다. 특히 후보자들은 새롭게 변화하는 시대의 트랜드에 뒤떨어진 이미지를 피하고 미래지향적이고 진취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기도 한다.
인터넷을 선거에 잘 활용한 예는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미국대통령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여론의 중심축이 기존 매체에서 인터넷으로 옮겨갔음을 여실히 보여준 역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오바마 측은 소셜네크워크사이트(SNS, Social Network Site)에 자신의 정책을 업로드하여 직접적으로 유권자와 소통을 했으며, 정치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결국 정치헌금모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방적 네트워크와 상호작용성을 가진 인터넷을 매개로 참여민주주의를 달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림] 버락 오바마(Barack Obama)의 2012년 대선 온라인캠프(좌)와 트위터(우)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16대 총선에서 인터넷을 매개로 한 선거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낙천과 낙선운동이 수행되었으며, 당시 473개에 이르는 시민단체가 총선연대 홈페이지로 결집되었다. 가장 높이 평가받는 인터넷 선거캠페인은 2002년 16대 대선이다. 특히 노무현 후보의 경우 노사모 등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특히 20대와 30대를 중심으로 게시판을 통한 토론과 인터넷의 정치관련 사이트 및 온라인 정치인 팬클럽의 등장은 당시 대선에서의 인터넷 열풍을 이끌었다. 2007년 17대 대선에서는 이용자제작콘텐츠, UCC가 등장했지만, 이들은 대부분 유권자들이 자발적으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후보자 측에서 동영상 형식을 빌려 만든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미약했다.
하지만 이후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를 통한 후보자 및 유권자들의 선거운동이 활발히 이어지며 인터넷을 매개로 한 선거운동은 더욱 다양해지고 발전되었다. 인터넷이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매체로 부상하면서 후보자가 효율적으로 자신을 알리기 위해 선거 운동에 인터넷을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를 개설해 후보자의 정책을 보기 쉽게 정리해 공개하기도 하고, 유세 현장을 인터넷 미디어로 생중계하기도 하며, 후보자의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 계정에 일상을 공개하여 유권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은 선거 운동의 시간이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유권자와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선거 운동의 진화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그림] 19대 대선 문재인 후보의 정책을 쇼핑할 수 있는 ‘문재인 1번가’ 홈페이지
(http://www.moon1st.com)
TV 토론이 정책 보다는 개인의 이미지가 크게 작용한다는 사례는 1960년 미국 텔레비전 정치토론의 효시라 할 수 있는 존 F. 케네디와 닉슨의 대결을 들 수 있다. 준수한 외모에 젊고, 자신감이 넘치며, 카메라 앞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뛰어났던 케네디후보가 몸이 불편했던 데다 메이크업도 하지 않았던 닉슨 부통령을 앞도 한 것이다. 텔레비전을 통해 두 후보의 토론을 지켜봤던 후보자들은 케네디의 활약을 높게 평가한 반면, 라디오로 청취했던 유권자들은 닉슨이 우세했다고 평가했다는 결과(Croteau & Hoynes, 2003) Croteau, D., & Hoynes, W. (2003). Media Society: Industries, Images, and Audiences(3rd ed.),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는 TV토론에서 개인의 외모와 같은 이미지가 얼마나 큰 영향력을 발휘했는지 가늠하게 한다.
미국의 TV토론은 동등시간의 원칙에 의해 1970년 잠시 중단되었지만 1975년 연방통신위원회의 결정으로 다시 부활되었으며, 1992년에는 처음으로 생방송토크쇼를 진행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 최초 전국 동시 지방선거를 시작으로 1997년 15대 대통령선거에서 본격화되었다. 이는 사회자 질문에 의한 토론과 후보 질문에 의한 토론형식이 차용되었다. 2002년 16대 대선에는 일대일 토론형식과 시민이 질문자로 참여하는 타운홀 방식이 도입되었다. 텔레비전 토론의 방식이 형식적인 공정성에 치중하면서 내용에 소홀했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대중 집회와 조직 동원 중심의 선거가 중심이었던 고비용의 선거에서 저비용 고효율의 미디어 선거로 이동하게 하는데 기여했으며, 매스미디어를 통해 후보자의 정보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평가하게 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는 1997년 대통령 선거방송토론위원회가 출범하여 주요 언론사 및 학계, 대한변협, 시민단체 등이 추천하는 11인 및 원내교섭단체가 1인식 추천하는 인사로 구성되어있으며, 보다 공정하고 전문적인 방식으로 토론회를 진행할 수 있도록 힘쓰고 있다.
4) 인터넷과 선거운동
온라인 인구의 확산은 인터넷 매개 선거캠페인을 활성화시켰다. 특히 선거 후보자들의 메시지들과 지지자들의 메시지들이 동영상으로 만들어진 이용자제작콘텐츠(UCC, User Creative Contents)는 빠르게 확산되었다.
인터넷은 다른 캠페인 매체에 비해 매우 저렴하면서도 텍스트, 음성,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특성에 이용자들 간의 참여와 대화가 가능한 상호작용성을 특성을 갖기 때문에 선거캠페인에서 그 활용도가 매우 크다. 특히 후보자들은 새롭게 변화하는 시대의 트랜드에 뒤떨어진 이미지를 피하고 미래지향적이고 진취적인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인터넷을 활용하기도 한다.
인터넷을 선거에 잘 활용한 예는 버락 오바마(Barack Obama) 미국대통령을 꼽을 수 있다. 이는 여론의 중심축이 기존 매체에서 인터넷으로 옮겨갔음을 여실히 보여준 역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오바마 측은 소셜네크워크사이트(SNS, Social Network Site)에 자신의 정책을 업로드하여 직접적으로 유권자와 소통을 했으며, 정치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참여를 독려하고 결국 정치헌금모금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개방적 네트워크와 상호작용성을 가진 인터넷을 매개로 참여민주주의를 달성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림] 버락 오바마(Barack Obama)의 2012년 대선 온라인캠프(좌)와 트위터(우)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16대 총선에서 인터넷을 매개로 한 선거운동이 본격화되었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낙천과 낙선운동이 수행되었으며, 당시 473개에 이르는 시민단체가 총선연대 홈페이지로 결집되었다. 가장 높이 평가받는 인터넷 선거캠페인은 2002년 16대 대선이다. 특히 노무현 후보의 경우 노사모 등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특히 20대와 30대를 중심으로 게시판을 통한 토론과 인터넷의 정치관련 사이트 및 온라인 정치인 팬클럽의 등장은 당시 대선에서의 인터넷 열풍을 이끌었다. 2007년 17대 대선에서는 이용자제작콘텐츠, UCC가 등장했지만, 이들은 대부분 유권자들이 자발적으로 제작한 것이 아니라 후보자 측에서 동영상 형식을 빌려 만든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미약했다.
하지만 이후 트위터 등의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를 통한 후보자 및 유권자들의 선거운동이 활발히 이어지며 인터넷을 매개로 한 선거운동은 더욱 다양해지고 발전되었다. 인터넷이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매체로 부상하면서 후보자가 효율적으로 자신을 알리기 위해 선거 운동에 인터넷을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 사이트를 개설해 후보자의 정책을 보기 쉽게 정리해 공개하기도 하고, 유세 현장을 인터넷 미디어로 생중계하기도 하며, 후보자의 소셜 네트워크 미디어 계정에 일상을 공개하여 유권자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도 한다. 이러한 방식은 선거 운동의 시간이나 공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유권자와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선거 운동의 진화라고 평가되기도 한다.
[그림] 19대 대선 문재인 후보의 정책을 쇼핑할 수 있는 ‘문재인 1번가’ 홈페이지
(http://www.moon1st.com)
추천자료
[사회과학] 정치와 언론
매스미디어가 대학생 정치의식에 미치는 영향
[정치커뮤니케이션]미디어 정치 민주주의
전자정부의 등장배경, 미디어정치의 전개, 미디어정치의 양면성, 인터넷과 정치과정의 변화, ...
[한국의 정치][인터넷과 정치][미디어정치][인터넷정치][인터넷을 통한 정치참여][한국정치]...
[정치]인터넷정치, 사이버정치, 미디어정치, 정치광고의 변화, 현상과 인터넷정치, 사이버정...
한일양국의 매스미디어와 정치
[미디어와 정치 관계][미디어정치 의의][미디어정치 쟁점][미디어정치 평가][미디어정치 시사...
[미디어정치][미디어][정치]미디어와 정치의 관계, 미디어정치의 정의, 미디어정치의 의의, ...
[미디어저널리즘][미디어정치][TV저널리즘]미디어저널리즘의 기능, 미디어저널리즘의 이론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