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I. 공식조직의 특징
1) 공식조직의 의의
2) 공식조직의 조건
3) 공식조직의 특징

II. 비공식조직의 특징
1) 비공식조직의 의의
2) 비공식조직의 특징
3) 비공식조직의 성립 원인
4) 비공식조직의 역할

III.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의 특징 비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통솔의 범위, 각 부서의 기능 등 많은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구도표는 어디까지나 관리 당국의 현상화된 기대에 지나지 않으며, 조직운영의 실제는 이와 맞지 않는 수가 얼마든지 있다. 그 이유는 기구도표는 구체적 인간을 표시할 수 없으며, 또 시일이 경과할수록 기구 도표와는 점점 거리가 먼 운영이 되는 수도 있기 때문이다.
4/ 공식조직은 능률의 논리에 따라서 구성된 것인데 대해, 비공식조직은 감정에 따라서 구성된 것이다. 전자는 합리성을 대표하고 후자는 비합리성을 대표한다. 대부분의 경우에 비공식조직에서는 능률이 그리 대단한 의의를 갖지 않으며 오히려 구성원들은 상호간의 친근성, 감정의 소 때문에 모인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성적인 것보다는 감정적인 것이 더 지배하는 것이다.
5/ 공식조직의 테두리는 조직 전체, 즉 전체적인 질서라고 할 수 있는데, 비공식조직은 공식조직 안에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질서라고 할 수 있다. 공식조직은 계층제의 정점으로부터 저변에 이르는 전체조직이 인식대상인 데 대해, 비공식조직은 그 속의 일부만을 점하면서 산재해 있는 것이다. 하나의 공식조직에 여러 개의 비공식조직이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상을 요약하면 비공식조직은 불가시적이며 살아있는 조직으로서, 정에 의해 구성된 부분질서라고 부를 수 있다. 이에 대해 공식조직은 인위적이고 가시적이며 문서화되고, 능률실현을 위하여 구성된 전체질서라고 부를 수 있다.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의 이상과 같은 구별은 사회학에서의 제1차 집단(Primary Group)과 제2차 집단(Secondary Group)의 구별과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의미에서 비공식조직은 정적(affective) '다기능적(diffuse) '특수적(Particularistic)인 조직인 데 대하여, 공식조직은 정중립적이며 단기능적)이고 보편적인 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정적이니 정중립적이니 하는 말은 합리적이냐, 감정중심이냐의 구별과 같다. 다기능적이라는 것은 비공식조직이 조직원을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는 뜻이고, 반면에 공식조직이 단기능적이라는 것은 한 가지 기능만 한다든가 전문화되어 있다는 것과 같은 뜻이다. 또 특수적이라는 것은 비공식조직에서는 상대방의 여하에 따라서 각각 달리 행동 한다는 것이고, 이에 대해 보편적이라는 것은 공식조직은 상대방의 여하에 상관없이 언제나 꼭 같이 취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09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5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