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유도표지에 관한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선유도표지에 관한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1. 시선유도표지
1-1. 설치장소
1-2. 구조 - 형상

● 2. 시선유도표지 국내외 비교

● 3. 시선유도표지 현황
3-1. 기준 현황
3-2. 시설설치현황

● 4. 시선유도표지 지역 선정 : 영종대교
4-1. 영종대교 시선유도표지 현황

● 5. 시선유도표지 문제점

● 6. 시선유도표지 개선 방안
6-1. 형상 개선
6-2. 색상 개선
6-3. 시인성 개선

● 7. 참고문헌

본문내용

설치하여 정면을 보고 달릴 때에 잘 보이게 한다. 단, 곡선반경이 짧아 반사성능이 약할 경우에는 주행조사를 실시하여 설치각도를 조정한다.
독일은 독일도로교통령에 따라 설치되고, 설치 장소는 도로의 진행방향 변경으로 인해 시각적 유도의 개선이 필요한 지점에 설치한다. 모양은 사각 모양, 규격은 12X105 cm, 백색 기둥에 흰색 사선 띠를 두른 모양을 하고 있다. 운전자의 우측 표지에 흑색 사선 내에 가로세로 4X18cm백색 반사체를 두고, 좌측에는 직경 6cm 원형 반사체를 2개 붙여서 둔다.
일본의 시선유도 표지의 반사체의 크기는 10cm이고, 원형반사체이다. 반사체의 지주는 6cm로 독일과 우리나라 등 여러 나라에 비하여 비교적 얇은 편으로 멀리 있는 운전자의 경우 다른 나라보다 지주를 발견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유럽 국가의 경우 다른 곳보다 곡선부 전반부 부분에 시선 유도 표지를 집중적으로 설치하여 곡선부에 진입 할 때에 확실히 주의를 주게 만들었다. 그리고 색상은 흰색 바탕에 검은색, 검은색 바탕에 흰색을 혼용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태의 시선 유도 표지를 사용하여 적절한 곳에 적절한 모양을 배치하여 효율성을 높인다.
3. 시선유도표지 현황
3-1. 기준 현황
기존에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선유도시설의 설계 기준은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에 대한 연구를 통해「도로안전시설설치 및 관리지침 - 시선유도시설 편(건설교통부, 1995)」과 「도로설계기준(건설교통부, 2001)」을 만들어 규정을 정하고 있다. 현재는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정립된「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시선유도시설 편(건설교통부, 2002)」룰 발간하여 시선유도표지에 대한 국가 표준화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3-2. 시설설치현황
설치되는 시설유도표지반사체의 종류는 재귀반사지, 합성수지 등이 주종을 이루며, 국내에서 설치되어 있는 표준형 시선유도표지 재귀반사기의 형상은 원형으로서 그 크기는 지름 100mm이다.
- 국내 설치 개수
국내에 설치된 시선유도표지의 개수는 전체적으로 약 415,000개 정도이며, 그 중 지름100mm의 표준형 시선유도표지가 390,300개 정도로 월등히 많다.
- 도로에 따른 설치 현황
고속도로 : 고속도로의 경우 재귀반사지의 반사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설치 장소는 도로 옆 방호울타리와 중앙분리대의 옆면이다. 그 형상은 전체적으로 통일성을 가지고 있다.
국도 : 국도의 경우엔 재귀반사지, 합성수지, 유리알이 모두 사용되고 있으며 그 모양이나 형상에 있어 뚜렷한 통일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4.시선유도표지 지역선정: 영동대교
4-1. 영종대교 시선유도표지 현황
5.시선유도표지 문제점
우리나라 시선유도표지의 과도한 설치로 인한 운전자의 판단혼란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이 표는 시선유도표지 및 안전표지에 따라 사고가 얼마나 좌지우지되는지를 알 수 있는 표이다.
교통안전시설은 무조건 교통안전에 도움이 된다는 맹신과 관행적, 무계획적, 대중적 업무 처리로 투자대비 효과는 미비하다. 행정안전부(2008년)는 교통안전시설의 예산낭비, 기준미달 설치의 원인으로 지자체의 특정업체 몰아주기, 소규모 분할발주에 의한 수의계약을 지목했다.
다른 문제점으로는 시선유도표지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시선유도표지가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 일어난 사례로 영동대교100중 추돌사고를 예로 들 수 있다. 안개가 많이 일어나 시선유도표지가 더욱 절실히 필요한 상황에서 표지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않아 과속으로 인해 이러한 사고가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6.시선유도표지 개선방안
우선 개선을 위한 개념 정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현행 시선유도표지의 구조 형식 및 재료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통일된 표준화된 형상의 개발과 일관성 있는 적용이 필요하다. 통일되지 않은 형상을 개선방안으로 내세웠을 때 오히려 자동차 운전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둘째로, 유지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시설설치도 중요하지만 설치된 시설의 유지 관리 또한 중요함을 인식해야 한다. 시설이 유지가 되지 않는다면 운전자들의 판단에 혼란을 줄 수 있다.
셋째로, 새로운 시설을 만들기 보다는 국제화를 고려하여 선진국의 기준개념을 고려하고, 국내에서 현재 일반적으로 적용 되고 있는 기존의 시설물형태를 살리는 방안으로 해야 한다.
6-1. 형상 개선
진행방향 진행 시 도로의 오른쪽 시선유도표지의 시각적 형상은 빗금표지 형상으로 하여 진행방향을 인식 하도록 하는 방안이며 화살표지 대용이다. 반대방향 진행 시 도로의 왼쪽시선 유도표지의 시각적 형상은 원형의 형상으로 하여 멈춤 주의의 의미를 인식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고 현행의 원형반사체를 고려하여 양방향 모두의 시선유도시설의 시각적 형상을 원형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있다. 단, 모든 방향에서 인지가 가능해야 하는 교차로에 설치하는 시선유도표지의 반사체는 띠 형식으로 적용한다.
6-2. 색상 개선
현 기준과 동일하게 적용노면표시를 보완하는 시설로서 고려함에 따라 설치되는 측의 노면표시색상과 동일하게 함이다. 도로 진행방향에서 오른쪽에는 흰색, 왼쪽에는 노란색을 적용한다.
6-3. 시인성 개선
다음 그림에 개선을 위한 설치기준이 제시되어 있다.
7. 참고문헌
경기연구원 공식블로그
엔지의 콘페이퍼 환경안전자료
행정안전부
천안논산고속도로, http://www.cneway.co.kr/sub/sub01/sub_0104_02_3.jsp,
2015.05.28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국토교통부, 2014.02
시선유도표지의 개선방안 연구, 노관섭
곡선부 안전표지 설치에 관한 연구, 서원호, 유신기술회보 11호
시선유도표지 설치기준 개선안, 한국도로공사, 2010.12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sdind/140107771408, 2015.05.29, 국도시선유도표지시설1 사진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safe9912/220366764456, 2015.05.29, 국도시선유도표지시설2 사진
네이버 로드뷰, 영종고속도로 시선유도표지사진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3.11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