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영적 리더십의 특징들
1) 영적 리더십은 하나님의 리더십이다
2) 영적 리더십은 깊은 영성이 요구된다
3) 영적 리더십은 관계성에서 발휘되어진다
4) 영적 리더십은 삶 전체에 요구되어지는 전인적인 것이다
3. 21세기 한국 교회를 위한 영적 리더십
1) 비전의 리더십
2) 목자의 리더십
3) 종의 리더십
4) 멘토링 리더십
4. 나가는 말
2. 영적 리더십의 특징들
1) 영적 리더십은 하나님의 리더십이다
2) 영적 리더십은 깊은 영성이 요구된다
3) 영적 리더십은 관계성에서 발휘되어진다
4) 영적 리더십은 삶 전체에 요구되어지는 전인적인 것이다
3. 21세기 한국 교회를 위한 영적 리더십
1) 비전의 리더십
2) 목자의 리더십
3) 종의 리더십
4) 멘토링 리더십
4. 나가는 말
본문내용
한다. (재) Kouzes Posner, edts., Christian Refections on Leadership Challenge(San Francisco: Jossey-Bass, 2004).
왜냐하면 현대인들은 세상에 대한 고민(돈, 섹스, 스트레스, 유혹, 탈진, 알코올등)과 신앙의 삶을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 가와 인격성숙(분노, 슬픔, 비난, 동정심등)에 대해 삶의 모델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1) 멘토링 리더십의 기초는 인격(Character)이다.
영적인 지도자가 사역을 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것은 인격을 갖추는 일이다. 그래서 헨리 마틴(Henry Martin)은 “지상에서 최대의 사업은 내 자신의 영혼을 성화시키는 일임을 내게 가르치소서”라고 기도했다. 인격을 가다듬는 데에는 상식(Common sense)과 진실성(Integrity)이 필요하다. (재) Robert Clinton, 62.
상식이란, 인간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도덕적 소양을 의미한다. 그리고 진실성이 없이 인격은 성숙할 수 없다.
영적 지도자는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을 섬길 수 있도록 하는 일이 사명이기 때문에 그들의 언어와 행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성품이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믿음으로 서 있는 이 은혜에 들어감을 얻었으며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 하느니라 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롬 5:2-4).
(2) 멘토링 리더십의 동기는 사랑(Love)이다.
예수님께서 공생애 동안 무리를 불쌍히 여기시며 그들의 영혼을 사랑하신 모습을 통해서 우리는 사랑의 사역을 깨달을 수 있다.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은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의 절정이었다. 바울 역시 성도들의 영혼을 사랑하여 자신을 낮추어 그들을 사랑하는 목자의 심정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영적 지도자들에게 있어서 어떤 의무를 실천하는 것보다도 더 중요한 관심사는 성도들의 영혼을 사랑하는 것이다. (재) Aubrey Malphurs, Being Leaders (Grand Rapids: Baker Books, 2003), 41-43.
고린도 후서 5장 14절에서 15절은 이렇게 기록한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 다시는 저희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오직 저희를 대신하여 죽었다가 다시 사신 자를 위하여 살게 하려 함이니라”
(3) 멘토링 리더십의 결과는 성장(Growth)이다.
영적지도자는 영적인 진보를 이뤄 가야 하며, 자신 뿐 아니라 성도들 또한 영적인 진보를 이루도록 도와야 한다. 디모데전서 4장 15절에서 16절은 이렇게 기록한다. ‘이 모든 일에 전심전력하여 너의 진보를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게 하라 네가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삼가 이 일을 계속하라 이것을 행함으로 네 자신과 네게 돕는 자를 구원하리라’
4. 나가는 말
현대 교회는 지도자의 정체성의 혼란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지도자는 분명한 자기 정체성을 지니고 있어야 다른 사람들을 잘 이끌 수 있다. 또한 그리스도를 통하여 얻은 새로운 신분의 정체성과 그 가치를 분명하게 인식하여야 세상으로부터 오는 온갖 유혹을 이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모든 지도자들이 자기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사명감을 철저하게 인식하여 목회자가 지도자로서 참된 리더십을 발휘하여 아름다운 열매를 맺기를 바란다.
참고 문헌
한국 복음주의 실천신학회, 「21세기 실천신학 개론」.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2006.
왜냐하면 현대인들은 세상에 대한 고민(돈, 섹스, 스트레스, 유혹, 탈진, 알코올등)과 신앙의 삶을 어떻게 나누어야 하는 가와 인격성숙(분노, 슬픔, 비난, 동정심등)에 대해 삶의 모델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1) 멘토링 리더십의 기초는 인격(Character)이다.
영적인 지도자가 사역을 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것은 인격을 갖추는 일이다. 그래서 헨리 마틴(Henry Martin)은 “지상에서 최대의 사업은 내 자신의 영혼을 성화시키는 일임을 내게 가르치소서”라고 기도했다. 인격을 가다듬는 데에는 상식(Common sense)과 진실성(Integrity)이 필요하다. (재) Robert Clinton, 62.
상식이란, 인간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도덕적 소양을 의미한다. 그리고 진실성이 없이 인격은 성숙할 수 없다.
영적 지도자는 사람들로 하여금 하나님을 알고 하나님을 섬길 수 있도록 하는 일이 사명이기 때문에 그들의 언어와 행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성품이 자연스럽게 나타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로 말미암아 우리가 믿음으로 서 있는 이 은혜에 들어감을 얻었으며 하나님의 영광을 바라고 즐거워 하느니라 다만 이뿐 아니라 우리가 환난 중에 즐거워하나니 이는 환난은 인내를 인내는 연단을 연단은 소망을 이루는 줄 앎이로다” (롬 5:2-4).
(2) 멘토링 리더십의 동기는 사랑(Love)이다.
예수님께서 공생애 동안 무리를 불쌍히 여기시며 그들의 영혼을 사랑하신 모습을 통해서 우리는 사랑의 사역을 깨달을 수 있다.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은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의 절정이었다. 바울 역시 성도들의 영혼을 사랑하여 자신을 낮추어 그들을 사랑하는 목자의 심정을 가진 사람이었다. 그러므로 영적 지도자들에게 있어서 어떤 의무를 실천하는 것보다도 더 중요한 관심사는 성도들의 영혼을 사랑하는 것이다. (재) Aubrey Malphurs, Being Leaders (Grand Rapids: Baker Books, 2003), 41-43.
고린도 후서 5장 14절에서 15절은 이렇게 기록한다. “그리스도의 사랑이 우리를 강권하시는도다 우리가 생각건대 한 사람이 모든 사람을 대신하여 죽었은즉 모든 사람이 죽은 것이라 다시는 저희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오직 저희를 대신하여 죽었다가 다시 사신 자를 위하여 살게 하려 함이니라”
(3) 멘토링 리더십의 결과는 성장(Growth)이다.
영적지도자는 영적인 진보를 이뤄 가야 하며, 자신 뿐 아니라 성도들 또한 영적인 진보를 이루도록 도와야 한다. 디모데전서 4장 15절에서 16절은 이렇게 기록한다. ‘이 모든 일에 전심전력하여 너의 진보를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게 하라 네가 네 자신과 가르침을 삼가 이 일을 계속하라 이것을 행함으로 네 자신과 네게 돕는 자를 구원하리라’
4. 나가는 말
현대 교회는 지도자의 정체성의 혼란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지도자는 분명한 자기 정체성을 지니고 있어야 다른 사람들을 잘 이끌 수 있다. 또한 그리스도를 통하여 얻은 새로운 신분의 정체성과 그 가치를 분명하게 인식하여야 세상으로부터 오는 온갖 유혹을 이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모든 지도자들이 자기의 정체성 확립을 통한 사명감을 철저하게 인식하여 목회자가 지도자로서 참된 리더십을 발휘하여 아름다운 열매를 맺기를 바란다.
참고 문헌
한국 복음주의 실천신학회, 「21세기 실천신학 개론」.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200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