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 학교 운동 - 배경 위기 성장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주일 학교 운동 - 배경 위기 성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일학교운동의 탄생 배경
2. 주일학교 개척자 Raikes
3. 최초의 주일 학교
4. 주일학교 위기 극복
1) 민중교육자 존 웨슬리(John Wesley, 1703-1791)
2) 재정지원가 윌리엄 폭스(William Fox)
3) 소피아 쿡(Sophia Cooke)
5. 주일학교운동의 성장
1) 미국의 주일학교
2) 미시시피 대계곡 전도운동
3) 변경지역

Ⅲ. 결론

본문내용

법에 의해 금지되었다. 그러나 윌리엄 엘리엇에 의해 시작된 것처럼 농장학교가 있었다. 반교육법은 노예 반란에 더 엄격하게 되었다. 주일학교는 1831년 버지니아 주에서 사우샘프턴 반란에 최소한 부분적으로 비난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1859년 하퍼의 페리에 존 브라운이 습격한 후 생겨났다.(John Brown\'s raid on Harper\'s Ferry) 반란의 리더인 내트 터너(Nat Turner)는 주일학교에서 읽는 것을 배웠다. 북부에서 온 주일학교 전도사는 남부 사람들에 의해 의심 받고 노예 폐지의 대리인으로 불렸다. 1850년대 후반까지 연합회와 관련된 개인들은 노예제도에 대하여 더 공공연히 말하였다. 그러나 기업, 주일학교연합은 노예제도에 거의 대처하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 무관심은 대체적으로 주일학교에 반영되었다. 한 예외는 1859년 오하이오 주의 오벌린의 주일학교 아이들이 벌인 시민적 불복종 사건이다. 이 행동은 탈출한 노예를 도와주어서 체포된 그들의 주일학교교장을 지지한 것이었다.
국가의 역사의 아주 초기에, 많은 사람들은 종교적 자유에 관계가 있었다. 제임스 매디슨(James Madison)의 노력과 침례교와 같은 일부 종교 단체의 지원을 통해, 헌법은 첫 개정에 권리장전을 포함하였다. 첫 개정은 이 문장을 포함한다. \"의회는 종교의 기관 존중하거나 자유를 금지하는 법률을 만들지 아니하여야한다.\" 계속해서, 이것의 의미는 큰 논쟁의 문제였다. 그러나 \"분리의 벽\"이 교회와 주 사이에서 나타났다. 교회는 공교육의 관리와 책임을 덜어 주었다. 주일학교를 통해, 교회들은 미국 교육에 실용적인 영향을 남겼다.
미국에서의 주일학교 성장은 영국에서 일어난 것과 비슷했다. 1832년 까지 8,268개의 주일학교가 미국 주일학교연합과 제휴하였다. 주일학교는 27개 주와 콜롬비아 지역에 확산되었다. 주일학교연합 학교의 수는 1875년까지 거의 65,000까지 늘어났다(27개 주와 콜롬비아 지역). 1889년에는 최소 10만 명이 미국주일학교에 등록하였다고 한다. 만약 그 주장이 사실이라면, 미국에서 주일학교 등록자수는 그 당시 총인구의 6분의 1에 달하는 것이었다.
Ⅲ. 결론
주일학교 창시자인 로버트 레이크스는 기독교교육을 사회 개혁을 위한 도구로서 그리고 소양교육으로서 사용함으로 큰 공헌을 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 아이들에게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강화를 통하여 적절한 행동들을 가르쳐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주었다.
그 밖에 주일학교는 교회 안팎에 영적 각성을 불려 일으켰으며 모든 계층들에게 무상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자극이 되었다. 또 상류층과 중류층에게 다른 계층에 대한 그들의 책임을 각성시켰으며 성인들에게 교육에 대한 강성과 자극을 주었다. 주일학교는 세계 선교에 필요한 종교적인 서적을 출판하였으며 기독교 문서운동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하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Op.cit., pp.111-112. 참조.
미국의 주일 학교는 영국에서의 출발정신과는 달리 부흥전도운동과 성서중심 교육을 특징으로 삼고 일어났다. 그리고 평신도들에 의하여 주도 되었다. 미국 초기의 주일학교 교육은 초기 이주민 대상이었기 때문에 철저한 종교적 신앙이 바탕이 되었다. Ibid., p.122. 참조.
영국이든 미국이든 주일학교의 특색은 \"교육\" 행위이기 전에 \"영적 운동\"이었으며, \"문화 창조\"의 행위였다는 사실이다. 황문찬, Op.cit., p.2. 참조.
초기 개척자들은 그 당시의 사회의 모습에 대한 개혁을 위해 열정을 쏟아 부었다. 시대의 요구에 먼저 앞장서서 해결하고자 한 것이다. 이 모습을 통해 우리가 이 세대를 향해 어떤 마음을 품고 나아가고 있는 지에 대해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예전에는 교회학교가 세상의 문화를 주도해 갔지만 요즘에는 대중 매체의 발달로 역전된 상황을 본다. 많은 어린 영혼들이 하나님 나라에 함께 참여하게 하기 위해 다시 한 번 더 영적 운동과 문화 창조를 통해 주일학교를 재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
※ 참고 문헌
1.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기독교 교육사. 서울: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1999.
2. 웨슬리 윌리스. 유화자 역. 주일학교 200년사. 서울:생명의말씀사, 1981.
3. 김폴린. 한국 기독교 교육의 역사 서울:대한기독서회, 1992.
4. 황문찬. 주일교회학교란. 서울:종로서적, 1991.
5. 로버트 W. 린, 엘리오트 라이트. 신서균 역. 주일학교역사. 서울:기독교문서선교회, 1993.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6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