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알버트코우의 사상에 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조지 알버트 코우의 생애

Ⅲ. 코우의 사상
1. 20세기초의 시대적 상황
2. 코우의 사상적 배경
① 주일학교운동에 대한 반발
② 호레이스 부쉬넬
③ 자유주의 신학
④ 사회복음운동
⑤ 진보주의 교육과 철학
3. 코우의 종교교육사상
① 인간관, 교육 목적
② 교육 내용, 교육방법
③ 교사의 정의 및 역할


Ⅳ. 평가
1. 공헌점
2. 한계점

본문내용

기독교 종교교육의 세계적인 학술지이다.
또한 수많은 학자들이 코우의 학문에 영향을 받고 이어 받았는데, 윌리엄 바워는 조지 코우의 교육신학을 커리큘럼에 강하게 응용 실시하였으며, 시카고 대학의 기독교 교육 교수였던 어네스트 쉐이브는 “종교교육에 대한 기능적 접근”을 통하여 코우의 자연주의적 종교관을 이어받았으며, 물론 쉐이브보다 더 앞어서 책을 내놓았던 조지 코우의 수제자이자 진보적 종교교육학의 마지막 대변자인 해리슨 엘리옷은 이미 신정통주의 사상으로 물들기 시작한 당시의 신학 혁명의 와중에서도 코우에 의해 제창된 인간 가능적인, 교육에 의한 구원을 끝내 방어했다. 은준관, 『교육신학』, 대한기독교서회, 1999, P. 147.
교회교육 측면의 측면에서는, 당시 낙후된 주일학교 교육적 기능의 전문화를 위해 교회교육 지도자로서 일할 ‘전문직제’를 제정해서 대학원 수준에서 훈련받고 사역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주일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던 통일공과의 약점을 보완해서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계단공과를 개발해서 자료를 공급했다.
2. 한계점
코우의 종교교육 이론은 신학적으로 제한성을 지니고 있었다. 즉 신의 내재성, 역사적 예수의 이상적 인격, 인간의 가능성, 교육목표로서 ‘하나님의 민주주의 실현’등의 강조는 기독교 신학적 관점에서 볼 때 이들의 교육이 기독교교육이라 일컫기보다 오히려 “윤리교육”에 가깝고, 종교적이라기보다 “교육적”이라고 볼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고용수, 『현대기독교교육사상, 사상사 2』,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사, 2004, P. 20.
또한 코우의 연구는 사회화와 가르침간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 변혁을 강조하는 데 신경을 쓴 나머지 전통의 가치를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었다. 김도일, 『교육인가 신앙공동체인가?』,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P. 92.
그룸과 같은 학자들은 코우가 사회생활을 강조하기 때문에 가르침보다는 사회화를 더 강조했을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혹자는 코우를 자유주의적 학자로 몰아붙이며 그에게는 하나님께 대한 뜨거운 헌신이 전혀 없었던 것처럼 매도하지만 사실 그는 중국 선교사로 지원할 정도로 마음이 뜨거운 사람이었으며, 목회실습에 전력을 다하며 학문과 실천의 괴리를 견디지 못하여 항상 현장으로 달려가던 순수한 청년 정신을 지녔던 믿음의 사람이었다. 알버트 코우, 김도일 역, 『종교교육사회론』, 그루터기하우스, 2004.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12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1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