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지지가 약물남용 청소년들의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Drug-Abusing Teenagers Coping Skills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적 지지가 약물남용 청소년들의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Drug-Abusing Teenagers Coping Skills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제 2 절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약물남용에 관한 이론
1. 사회학습이론
2. 선택적 상호작용이론

제 2 절 약물남용청소년들의 대처기술

제 3 절 약물남용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
1. 사회적 지지
2. 부모의 지지
3. 친구의 지지
4. 전문가의 지지

제 4 절 사회적 지지가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

제 5 절 연구의 분석틀
1. 연구의 이론적 틀
2. 연구가설

제 3 장 조사방법

본문내용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주관적인 경제 수준도 중(中)에서 하(下)가 대부분이었다. 대부분의 약물남용청소년들이 재학 중이었지만, 학교에 다니고 있지 않는 약물남용청소년들의 경우 중학교 중퇴가 가장 많았다. 약물남용에 관한 프로그램이나 상담을 받은 경험이 많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을 한 경우 학교교사와 상담을 많이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경우 술과 카페인이 지난 6개월 동안 가장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의 경우 역시 술과 담배, 카페인을 사용한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담배의 경우 본인 보다 친구가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기침약의 경우 본인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개월 동안 약물 사용과 관련하여 기침약과 카페인을 제외하고 친한 친구가 더 많이 사용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라 대처기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간에는 대처기술의 차이가 없었고, 연령은 15세 이하에서 정서 중심적 대처기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이었으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경우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이 높고, 학교에 잘 다니고 있을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 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약물남용청소년들의 경우 부모, 학교 등의 주변 환경이 약물남용청소년들의 대처기술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약물남용청소년들의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알코올 중독자 부모의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사회적 지지를 높게 인지한 청소년일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와 함께 알코올 중독자가 아닌 부모의 지지를 비교해 보려고 하였으나 약물남용청소년들의 부모 모두 알코올 중독자로 나타나 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약물남용청소년들의 부모들이 모두 알코올 중독자로 나타났다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부모의 알코올 중독은 청소년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며, 특히 약물남용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부모가 알코올 중독자인지 알코올 중독자가 아닌지의 여부가 약물남용청소년들의 약물남용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약물을 사용하는 가장 친한 친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와 대처기술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의 경우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정(+)의 관계로 나타나 약물 사용하는 가장 친한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 중심적 대처기술의 경우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가 부(-)의 관계로 나타나 가장 친한 친구로부터 정서적 지지와 정보적 지지를 낮게 인식할수록 정서 중심적 대처기술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가장 친한 친구와의 사회적 지지 인식과 대처 기 술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정보적 지지가 정(+)의 관계로 나타나 정보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을 많이 사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가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와 약물을 사용하는 친구를 둔 경우 모두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을 대표하는 F값이 p>.05인 것으로 나타나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청소년들에게는 친구의 지지보다는 부모의 지지가 청소년의 적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친구의 지지는 청소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부모의 지지와 다양한 지지의 원천에 따른 지지가 동시에 고려되었을 때 친구의 지지 영향력이 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청소년들에게 있어 부모의 지지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의 사회적 지지가 문제 중심적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학생에게 미치는 전문가들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낮게 지각되어 대처기술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약물남용청소년들을 관리해야 하는 학교, 지역사회 상황에서 전문가들이 약물남용청소년들에게 많은 관심과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전문가의 지지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약물남용청소년들이 어려움을 경험하게 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들이 매우 적으며, 또한 전문가들에게 도움을 요청하더라도 약물남용청소년들에게 효 과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보다는 상담에만 중점을 주고 있기 때문에 약물남용청소년들이 전문가의 지지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약물남용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 약물남용실태와 현황만을 파악하는 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그렇기에 이후에는 약물남용청소년들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개별화되고 체계적인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약물남용청소년들의 약물남용을 예방하는데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을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그 욕구에 맞는 약물교육프로그램 및 상담에 관한 서비스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에서 약물남용청소년들을 위한 약물남용프로그램이나 상담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약물남용청소년들이 방치된 상태에 있다. 상담이 이루어진다고 할지라도 약물남용과 관련한 전문가가 아닌 학교교사와의 상담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에게 전문적인 도움을 줄 수 없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학교 및 지역사회에 약물예방에 관한 전문 가들이 투입되어야 할 것이며, 사회복지사 이외에도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 즉, 임상심리사, 상담가, 의사, 학교교사와의 연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를 위하여, 약물남용예방과 관련된 다른 전문가들과 상호작용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학교사회복지사들, 그리고 약물과 알코올을 전문적으로 상담을 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 전문가들이 학교에 투입되어 약물 남용청소년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