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교 전달론 - 실천신학 개론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교 전달론 - 실천신학 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편안하며 자연스럽고 온유한 표정이다. 성도들을 사랑하고 설교하는 것에 대한 기쁨을 느끼는 가득한 표정으로 설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얼굴 표정도 다른 비언어적 요소와 같이 설교의 내용의 변화에 따라 적절히 바꾸어져야 한다.
(5) 제스처
설교 때에 내용과 목소리의 변화에 따라 제스처는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손과 팔의 움직임은 청중의 시선을 모아주기 때문에 때로는 고의적으로 굵으면서도 단호하고 편안하면서도 절도 있게 움직일 필요도 있다. 다른 비언어적 요소와 마찬가지로 자연스러운 것이 가장 중요하고 너무 단조로운 것 보단 내용에 맞추어서 제스처를 좀 더 다양하게 하는 것이 좋다.
3) 전달방식
(1) 원고 낭독 형
원고를 충분히 준비해서 설교 시간에 철저히 원고에 의지하면서 거의 원고를 읽어주는 형이다. 이 방식은 설교 전과 설교 중에 설교자에게 안정감을 주고, 설교하려는 내용을 적절한 단어로 분명하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단어와 내용의 나열로 지루하거나 이해에 혼란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설교하는 도중에 원고에 집착하게 되므로 비언어적 부분의 효과를 크게 기대할 수 없고, 청중과 시선을 교환하기 어려우며 청중의 반응을 충분히 파악하고 거기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어렵고, 필요에 따라 역사하시는 성령님을 크게 경험할 수 없다. 대표적인 설교자로는 조나단 에드워즈가 있다.
(2) 즉석 형
충분히 준비는 하지만 전혀 원고 작성 없이 자유롭게 설교하는 형이다. 이 방식은 원고 낭독 형의 장단점을 반대로 갖는다. 대표적인 설교자는 찰스 스펄전이 있다.
(3) 암기 형
설교를 준비한 후 그것을 철저히 암기해서 설교하는 형이다. 이 방법은 기억이 실패하지 않는 한 원고 낭독 형이 가지는 장단점을 대부분 그대로 갖는다. 하지만 설교 원고에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청중과 시선교환을 교환하면서 설교할 수 있고 비언어적 부분의 효과를 잘 살릴 수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준비를 위한 많은 시간과 노력에 비해 효과는 그렇게 높지 않다고 할 수 있다.
(4) 아웃라인 또는 숙지 형
설교를 숙지한 후 아웃라인을 가지고 설교하는 형이다. 이 방법은 자연스럽고 청중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한 설교 시간에 성령의 역사에 따라서 준비한 내용을 뺄 수도 있고 준비되지 않은 내용도 추가될 수 있다.
나오는 말
우리는 지금까지 이상 몇 가지 전달 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모든 방식에 장단점이 있다. 또한 어느 방식이 절대적으로 옳다고도 할 수 없다. 자신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들은 설교 전달이라는 것 자체가 방법론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설교학이라는 범주에서 설교 전달의 주 목적은 설교가 가지는 본질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가에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설교자는 끊임없이 영성으로 하나님과 대화하면서 어떤 것이 성경적이고 하나님이 원하시는 방법인지, 계속하여 연구하고 노력하고 가다듬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