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들어가는 말
제2장 설교자와 설교의 종류
1. 설교자
1) 설교자의 정의
2) 교회와 회중의 틀로서의 설교자
3) 설교의 결정요인으로서의 설교자.
4) 설교자의 자격
5) 설교자를 의미하는 낱말들
2. 설교의 종류
1) 설교의 형식에 따른 분류
2) 설교의 내용에 따른 분류
제3장 설교의 구성요소
1. 설교의 서론
2. 설교의 본론
3. 설교의 결론
제4장 효과적인 설교형식의 조건
1. 이 시대에 대한 이해
2. 청중에 대한 이해
3. 형식과 내용의 상관관계
4. 형식을 풍성하게 하는 요소들
제5장 기타 설교의 유형들
1. 대화설교
2. 찬송설교
3. 역할설교
4. 스킷드라마 설교
5. 영상설교
제6장 나가는 말
제2장 설교자와 설교의 종류
1. 설교자
1) 설교자의 정의
2) 교회와 회중의 틀로서의 설교자
3) 설교의 결정요인으로서의 설교자.
4) 설교자의 자격
5) 설교자를 의미하는 낱말들
2. 설교의 종류
1) 설교의 형식에 따른 분류
2) 설교의 내용에 따른 분류
제3장 설교의 구성요소
1. 설교의 서론
2. 설교의 본론
3. 설교의 결론
제4장 효과적인 설교형식의 조건
1. 이 시대에 대한 이해
2. 청중에 대한 이해
3. 형식과 내용의 상관관계
4. 형식을 풍성하게 하는 요소들
제5장 기타 설교의 유형들
1. 대화설교
2. 찬송설교
3. 역할설교
4. 스킷드라마 설교
5. 영상설교
제6장 나가는 말
본문내용
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스킷드라마 작성 시 유의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한 가지 주제를 정하되 그 소재는 경험적 맥락에서 회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것으로 한 다.
②스킷 드라마가 설교에서 어떤 역할을 차지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③설교에서 역할 배정에 맞게 대본을 작성하라. 설교의 도입 부분에서 갈등까지를 드라마 로 처리하고 설교자가 이어 갈등의 해결과 종결까지를 드라마로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이 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④감동과 재미 그리고 메시지를 항상 생각하라.
⑤무대가 교회이고 설교의 한 부분임을 기억하여 장면전환, 소품, 음악, 배우의 수, 언어사용 등을 결정하라. 정인교, 330-331.
5. 영상설교
설교의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고안된 설교방식으로 설교로 설교의 패러다임이 오늘날 시대변화와 문화수준에 맞추어서 듣는 설교에서 보는 전환 된 설교유형이다. 이 설교방식은 엄밀히 신학적 검증 없이 매체의 편리함과 전달효과를 우선적으로 설교에 수용한 것으로 예를 들어 구도자 중심의 집회의 축제 성을 살리기 위해 매체를 도입하여 설교에 연결한다든지, 특별한 주제를 다루면서 설교의 효과를 배가시킬 목적으로 그 주제와 관련된 영화의 일부분을 삽입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민장배, 244.
이러한 설교는 신학적인 검증이 먼저 있어야 하며, 오늘의 영화가 하나님의 말씀을 운반하는 도구가 되는 거룩 성을 갖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부정적인 견해가 많다.
우선 먼저 생각할 것은 매체가 내용이해에 순기능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움직이는 동영사이 설교와 함께 깔릴 경우 쉼 없이 변하는 동영상은 회중으로 하여금 화면에 집중하게 하기 때문에 그들이 생각할 수 있는 여유를 빼앗아 버린다.
둘째로는 미디어 자체가 흡인력과 메시지가 주는 힘 사이의 구별의 문제다. 즉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분위기 때문에 감동되는 것과 메시지 내용 때문에 감동되는 것은 엄격히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다양한 화면을 화상을 통해 설교 중에 보여 줄 경우 과연 이것이 설교의 집중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가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로 설교에 동원되는 미디어들은 그 자체로 설교의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보조수단에 불과할 뿐이며 ‘효과’와 관련된 기능만을 가질 뿐이다.
즉 성서에 실린 내용을 전달하는 보조수단으로 기능해야 하는 매체들이 성서의 상황과 메시지를 이미지화함으로써 다양한 감관을 자극하고 그것을 통해서 전달효과를 극대화 시킨다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서 왜곡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위험성을 우리는 경계해야 한다.
또한 다매체를 설교에 이용함에 있어서 예배가 갖는 거룩한 분위기가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도 반드시 지적되어야만 한다. 물론 예배가 갖는 축제적인 성격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원의 기쁨을 드러내는 축제와 매체에 의존한 ‘종교적 쇼’와 같은 인상을 풍길 수 있는 축제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정인교, 333-336.
제6장 나가는 말
시대의 흐름의 변화에 따라 설교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설교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수직적인 권위주의의 분위기에서 수평적인 이동과 함께 논리적인 명제와 조직적이고 분석적인 합리주의 보다는 감성적이고 경험적인 회화적 설교언어의 변화로 설교자와 회중과 함께 떠나는 여행형식과 같은 설교를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분명히 설교자가 더 이상 권위의 대상이 아닌 회중의 한 사람으로서 회중들과의 같은 눈높이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자로 서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의 설교자는 회중들의 요구와 하나님께서 회중들에게 요구하는 것 사이의 간격을 어떻게 좁힐 것인가에 대한 간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것은 설교가 신적 차원과 인간적인 차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먼저 설교는 본문접맥성에서 찾아야 하며, 둘째로는 회중 적합성에서 찾고, 셋째로는 설교에 신앙 고백적 성격이 나타나야 한다는데 있다. 마지막으로는 감정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수사학의 장치, 구어체의 자연스러움, 상투적인 표현과 단어의 배제등과 같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회중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오늘날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들에게 대한 인식을 회중들에게 전달하여 회중들의 요구와 관심을 하나님의 관점에 맞추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위와 같은 설교의 요소들이 다 갖추었다고 하여도 설교의 주인은 설교자가 아닌 하나님이시라는 것 명심해야 하며, 말씀이 스스로 말씀되게 하며, 말씀을 말씀으로 푸는 기본적인 사항이 전제 되어야 한다.
이제 마지막으로 설교자는 더 이상 하나님의 말씀의 전달자로서만 그 임무와 역할을 다했다고 말 할 수 없는 것이다. 그 말씀과 삶의 일치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말씀의 전달자로서 인격체를 갖춘 자만이 생명력 있는 설교자가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국내 도서
그리스도교 대 편찬 위원회, 그리스도교 대사전 ,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1991.
민장배, 예배학, 대전: 세화출판사.
정성구, 설교학 사전, 총신대학교 출판부, 1991.
정인교, 설교학 총론,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2009.
정장복, 설교학 사전,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4.
정장복, 설교학 서설, 엠마오 서적, 1992.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1999.
정창균, 고정을 넘어서는 설교, 서울: 합동신학대 출판부.2002.
황성철, 주제: 21세기 설교문화 한국교회. 서울: 새한기획출판부, 제2권 1호, 1997.
2. 번역도서
Long. Tomas, G, The withness of preaching, Louisville: Wesminster John Knox press, 1898. 토마스롱 저, 정장복김운용 역.
후레드 크레독 저, 김영일 역, 설교. 열린 세계로서의 귀납적 설교 방식, 서울: 도서출판 컨골디아사. 2001
Richard Stauffer, carlvin et Sermon,칼빈의 설교학, 박건택 역, 서울: 나비, 1990.
①한 가지 주제를 정하되 그 소재는 경험적 맥락에서 회중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것으로 한 다.
②스킷 드라마가 설교에서 어떤 역할을 차지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③설교에서 역할 배정에 맞게 대본을 작성하라. 설교의 도입 부분에서 갈등까지를 드라마 로 처리하고 설교자가 이어 갈등의 해결과 종결까지를 드라마로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이 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④감동과 재미 그리고 메시지를 항상 생각하라.
⑤무대가 교회이고 설교의 한 부분임을 기억하여 장면전환, 소품, 음악, 배우의 수, 언어사용 등을 결정하라. 정인교, 330-331.
5. 영상설교
설교의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고안된 설교방식으로 설교로 설교의 패러다임이 오늘날 시대변화와 문화수준에 맞추어서 듣는 설교에서 보는 전환 된 설교유형이다. 이 설교방식은 엄밀히 신학적 검증 없이 매체의 편리함과 전달효과를 우선적으로 설교에 수용한 것으로 예를 들어 구도자 중심의 집회의 축제 성을 살리기 위해 매체를 도입하여 설교에 연결한다든지, 특별한 주제를 다루면서 설교의 효과를 배가시킬 목적으로 그 주제와 관련된 영화의 일부분을 삽입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민장배, 244.
이러한 설교는 신학적인 검증이 먼저 있어야 하며, 오늘의 영화가 하나님의 말씀을 운반하는 도구가 되는 거룩 성을 갖고 있는가 하는 문제에 부정적인 견해가 많다.
우선 먼저 생각할 것은 매체가 내용이해에 순기능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움직이는 동영사이 설교와 함께 깔릴 경우 쉼 없이 변하는 동영상은 회중으로 하여금 화면에 집중하게 하기 때문에 그들이 생각할 수 있는 여유를 빼앗아 버린다.
둘째로는 미디어 자체가 흡인력과 메시지가 주는 힘 사이의 구별의 문제다. 즉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분위기 때문에 감동되는 것과 메시지 내용 때문에 감동되는 것은 엄격히 구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다양한 화면을 화상을 통해 설교 중에 보여 줄 경우 과연 이것이 설교의 집중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가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로 설교에 동원되는 미디어들은 그 자체로 설교의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보조수단에 불과할 뿐이며 ‘효과’와 관련된 기능만을 가질 뿐이다.
즉 성서에 실린 내용을 전달하는 보조수단으로 기능해야 하는 매체들이 성서의 상황과 메시지를 이미지화함으로써 다양한 감관을 자극하고 그것을 통해서 전달효과를 극대화 시킨다는 본래의 기능을 넘어서 왜곡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위험성을 우리는 경계해야 한다.
또한 다매체를 설교에 이용함에 있어서 예배가 갖는 거룩한 분위기가 훼손될 수 있다는 문제도 반드시 지적되어야만 한다. 물론 예배가 갖는 축제적인 성격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구원의 기쁨을 드러내는 축제와 매체에 의존한 ‘종교적 쇼’와 같은 인상을 풍길 수 있는 축제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정인교, 333-336.
제6장 나가는 말
시대의 흐름의 변화에 따라 설교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우리는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설교의 패러다임의 변화는 수직적인 권위주의의 분위기에서 수평적인 이동과 함께 논리적인 명제와 조직적이고 분석적인 합리주의 보다는 감성적이고 경험적인 회화적 설교언어의 변화로 설교자와 회중과 함께 떠나는 여행형식과 같은 설교를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분명히 설교자가 더 이상 권위의 대상이 아닌 회중의 한 사람으로서 회중들과의 같은 눈높이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하는 자로 서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오늘날의 설교자는 회중들의 요구와 하나님께서 회중들에게 요구하는 것 사이의 간격을 어떻게 좁힐 것인가에 대한 간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것은 설교가 신적 차원과 인간적인 차원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먼저 설교는 본문접맥성에서 찾아야 하며, 둘째로는 회중 적합성에서 찾고, 셋째로는 설교에 신앙 고백적 성격이 나타나야 한다는데 있다. 마지막으로는 감정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수사학의 장치, 구어체의 자연스러움, 상투적인 표현과 단어의 배제등과 같은 노력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회중들로 하여금 하나님께서 오늘날 우리에게 요구하는 것들에게 대한 인식을 회중들에게 전달하여 회중들의 요구와 관심을 하나님의 관점에 맞추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위와 같은 설교의 요소들이 다 갖추었다고 하여도 설교의 주인은 설교자가 아닌 하나님이시라는 것 명심해야 하며, 말씀이 스스로 말씀되게 하며, 말씀을 말씀으로 푸는 기본적인 사항이 전제 되어야 한다.
이제 마지막으로 설교자는 더 이상 하나님의 말씀의 전달자로서만 그 임무와 역할을 다했다고 말 할 수 없는 것이다. 그 말씀과 삶의 일치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말씀의 전달자로서 인격체를 갖춘 자만이 생명력 있는 설교자가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국내 도서
그리스도교 대 편찬 위원회, 그리스도교 대사전 ,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1991.
민장배, 예배학, 대전: 세화출판사.
정성구, 설교학 사전, 총신대학교 출판부, 1991.
정인교, 설교학 총론,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2009.
정장복, 설교학 사전,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4.
정장복, 설교학 서설, 엠마오 서적, 1992.
정장복, 예배학 개론,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1999.
정창균, 고정을 넘어서는 설교, 서울: 합동신학대 출판부.2002.
황성철, 주제: 21세기 설교문화 한국교회. 서울: 새한기획출판부, 제2권 1호, 1997.
2. 번역도서
Long. Tomas, G, The withness of preaching, Louisville: Wesminster John Knox press, 1898. 토마스롱 저, 정장복김운용 역.
후레드 크레독 저, 김영일 역, 설교. 열린 세계로서의 귀납적 설교 방식, 서울: 도서출판 컨골디아사. 2001
Richard Stauffer, carlvin et Sermon,칼빈의 설교학, 박건택 역, 서울: 나비, 199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