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교육프로그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서론

2.평신도교육프로그램
1.평신도교육의 목적
2.평신도교육의 방법
3.교육시설의 활용 방안
4.교육프로그램 구상
5.교육프로그램 내용
6.보조교재의 활용
7.전문강사의 활용
8.평신도지도자의 활용방안

3. 결론

본문내용

님과 인격적인 대면을 할 수 있도록 도우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ibid,p.182
반면, 이러한 교재가 가지는 약점, 즉 교리적인 내용의 취약함을 보완해주어야 한다. 만일 우리가 교회의 교리적인 자산과 선교 단체의 복음적인 자산을 상호보완키겨 활용할 수만 있다면 대단히 바람직한 훈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ibid.,p.185.
7. 전문강사의 활용
평신도 교육은 단순히 신앙적 열정을 깨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들에게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영성과 전문성이 함께 교육될 때, 시대를 바로 이해할 수 있으며, 하나님의 비젼을 잘 감당할 수 있다. 따라서 성직자를 통한 각종의 성경공부 프로그램이나 교회관련 프로그램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전문강사를 초빙하여 그외의 다양한 평신도 사역에 필요한 부분들을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나님께서 각인에게 주신 은사들을 적극 활용하여, 온전한 지체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8. 평신도 지도자 활용방안
평신도 교육은 평신도의 지도자를 양육하는데 있다. '평신도' 지도자들을 소규모 모임들을 이끌면서 교회의 바람직한 모습을 만들고 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설명하고 있는 여상기는 경건주의/ 모라비아니즘/감리교의 성공사례를 들어 평신도 지도자들에 대하여 다음의 몇가지 측면으로 서술하고 있다.
) 여상기, 「21세기 목회경영과 평신도 사역」(경기: 크리스천 헤럴드, 1999). pp.238-239
1) 세 운동은 평신도 지도자들을 대폭 활용하였으며, 폭넓은 책임있는 역할을 부여했다.
2) 또한 '평신도' 지도자들을 위한 구조적인 조치를 취했으며, 또 그것에 대하여 신학적인 정당성을 부여했다.
3) 평신도의 리더쉽은 최소한 두 가지 면에서 이들 운동의 생명력을 이루는 핵심점이었다. 첫째, 안수받지 않은 지도자들은 생생한 영적인 체험과 그리스도교 사역이 성직자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보여 줌으로써 각 운동을 넓게 확신시키는 데 커다란 역할을 했다. 둘째, 운동에 필요한 지도자들의 범위를 성직자 집단 밖으로 확대함으로써 진정한 쇄신에 필요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주었다.
4) 평신도 리더쉽은 또한 이 세 가지 운동을 둘러싸고 전개되어 온 논쟁과 반대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교회에서 '권위있는' 지도자로 인정되지 않은 사람들에게 지도력을 부여한다는 것이 그 주된 이유였다. 이는 특히 웨슬레의 '평신도'설교자들이 해당되는 경우였다.
5) 평신도 리더쉽은 신학적/구조적으로 세포조직 또는 '작은 교회'조직의 활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경건한 모임'/신도반/속회 같은 조직에는 지도자가 필요했고, 또한 실제로 그러한 모임들을 통해 지도자들이 배출되기도 했다. 게다가 그런 모임들에게서는 누구나 지도자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취시키는 그리스도교 신앙에 대한 이해가 북돋워지곤 했다.
스나이더는 제도적 교회와 갱신운동을 동시적으로 수용하고 그것들을 중개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중개의 모형은 1)개개인의 신생경험 2)성령에 의한 공동의 갱신 3) 교회의 선교를 위한 새로운 비전 4)밴드와 속회와 같은 작은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구조개혁 5)하나님 나라의 의를 실현하는 선교와 헌신 등 다섯 차원의 개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 Howard A. Snyder, Sign of the spirit, p.273
이러한 역사적인 사실들을 우리에게 교회쇄신과 발전을 위해 평신도 지도자들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주고 있다. 따라서 평신도 교육을 통해 배출된 평신도 지도자들을 각종의 모임활동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회는 그에게 권한을 위임해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안의 작은교회로서의 그룹들의 모임을 활성화하고, 더 나아가 그룹들을 평신도 지도자들에게 자유롭게 인도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활동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함께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목회자가 감당할 수 없는 전문적인 분야의 선교활동은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이들에게 적극적으로 위임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겠다. 이럴 때 개인의 경험에서 하나님 나라 선교로 향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 나라의 임제에서 출발하여 증언과 섬김을 위해 12제자 공동체(작은무리공동체)를 선택하셨던 예수 그리스도
) 은준관, ibid.,p.426
의 뜻을 준행하는 교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 론
이상에서 평신도 교육프로그램을 구상함에 있어서 평신도 교육의 목적과 평신도 교육의 방법 및 교육시설 활용방안, 교육프로그램, 보조교재의 활용방안 등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한국교회의 변화와 성장을 야기한 이는 목회자요 그것을 실천한 이는 평신도이다. 성서의 가르침에 따르면 목회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는 확연히 구분되어 있다. 교회는 더욱 자기중심적이며, 성직자 중심적이거나 몇몇의 평신도 대표자 중심적이 되어가고 있다. 교회안의 대부분의 평신도는 헌신의 정도에 비해 구경꾼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심광섭;1994) 이제는 보이는 교회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평신도가 새로운 교회, 끊임없이 개혁하는 교회의 주체가 되는 평신도중심의 교회가 되어야 한다.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비젼을 가지고 삶의 현장가운데 그 비젼을 실현해 나가는 중차대한 사명이 평신도들에게 있다. 그들만이 시들어 가고 있는 교회의 희망이다. 평신도 교육은 평신도들에게 그러한 의식을 심어주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본 교육프로그램의 구상에 있어서 연령별을 중심으로 하여 많은 것들을 생각해 보았다. 이러한 교육프로그램들은 단순히 교회와 세계, 성직자와 평신도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했던 과거의 교회교육의 불완전함을 말씀/봉사/선교/교제라는 몸된 그리스도안의 온전한 지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들을 통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하고자 한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교육프로그램 구상은 주변여건(재정/장소)이 여의치 못한 지역교회에서는 활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으며, 절대적으로 교역자들의 의식변화가 선행되어야 하는 전제를 가지고 있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0.2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4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