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천신학개론 - 제자의 정의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천신학개론 - 제자의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문제제기 및 연구 목적
B.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제자의 정의
A. 제자의 어원에 대한 연구
1. 일반적인 제자의 의미
2. 마데테스(Μαθητης)
B. 제자의 성경적 의미
1. 구약 성경에서의 제자의 의미
2. 신약 성경에서의 제자의 의미

Ⅲ. 제자의 삶
A. 제자는 배우는 사람이다
B. 예수 그리스도의 주재권
C. 순결한 삶
D. 경건의 시간과 기도
E. 성경의 중요성
F. 전도의 삶
G. 교회생활
H. 그리스도인의 교제
I. 제자는 섬기는 사람이다
J. 드리는 삶
K. 성령의 열매

Ⅳ.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부름 받았습니다.
모든 신자는 다른 신자들과 정기적으로 교제하기를 힘써야 합니다(요한 일서 1:3 참조). 교제에는 필히 모든 신자들의 연합을 위한 헌신적인 노력이 있어야 합니다. 물론 조직체로서가 아니라 진정한 형제로서의 하나됨이어야 합니다. 바울은 “평안의 매는 줄로 성령의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키라”(에베소서 4:3)고 말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각 그리스도인에게는 성령의 하나되게 하신 것을 힘써 지켜야 할 책임이 있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몸은 이미 절대로 파괴되지 않는 영원한 영적 일치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날마다 하나가 되기 위해서는 날마다 노력해야 합니다. 각 그리스도인은 자신이 이 하나됨을 유지하기 위해 힘쓰고 있는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시편 기자는 신자들이 연합하여 함께 사는 것을 보고 무척 기뻐하였습니다(시편 133:1 참조). 어디든지 연합이 있는 곳에서는 그리스도의 복음이 계속 흥왕 합니다.
I. 제자는 섬기는 사람이다 Ibid , p22
제자의 삶에 있어서 또 하나의 필수요소는 다른 사람을 섬기는 것입니다. 섬김은 예수님의 사역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예수께서는 이렇게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인자의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마가복음 10:45).
성경은 하나님의 종의 특징과 그 본보기를 보여 줍니다. 먼저 종의 특징으로는 주인의 부름에 즉각 응하는 태도와 겸손을 들 수 있는데, 가장 훌륭한 본보기는 예수님입니다. 참된 그리스도인 지도자는 자기가 인도하고 있는 사람들을 기꺼이 섬기는 사람입니다.
J. 드리는 삶 Ibid , p22-23
제자의 삶에 있어야 할 또 하나의 필수요소는 드리는 것입니다. 제자는 자신의 소유를 주님의 일에 드리고 있어야 합니다. 신구약 성경 모두 헌금에 대해서는 아주 조금 밖에 언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구약에서 하나님께서는 자기 백성에게 십일조 즉 수입의 10%를 요구하셨습니다. 그런데 이 요구에 이어 흥미있는 말씀이 나옵니다. 하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것입니다. “내가 너희를 위하여 황충을 금하여 너희 토지 소산을 멸하지 않게 하며”(말라기 3:11). 황충이란 당신의 돈을 불필요하게 빼앗아가는 것들이라 믿습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변속장치가 갑자기 고장이 난다든지, 에어콘이 타버린다든지 하는 것입니다. 이 황충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의 적인 사탄이라 생각합니다. 우리 돈을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데 쓰지 않으면, 사탄으로 하여금 그 돈을 사용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입니다.
K. 성령의 열매 Ibid , p23-24
제자의 삶에 있어야 할 필수요소 중 마지막으로 제자는 성령의 열매를 나타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오직 성령의 열매는 사랑과 희락과 화평과 오래참음과 자비와 양선과 충성과 온유와 절제니…”(갈라디아서 5:22-23). 이러한 열매들은 예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 및 성령의 내적인 역사의 결과입니다.
제자가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이러한 특징을 삶에서 보여 준다면, 사람들은 매력을 느껴 구세주께로 나아오게 될 것입니다. 이로써 그는 자신이 주님의 제자인 것을 증명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의 목표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매력적인 삶을 살아 사람들을 구주께로 인도하는 것이다. 우리는 자신의 힘만으로는 삶 속에서 성령의 열매를 맺을 수가 없다. 오직 내주하시는 성령과의 동행을 통해서만 나타나는 것이다.
Ⅳ. 결론
제자란 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받거나 받은 사람일 뿐만 아니라, 예수님의 제자로서 예수님의 가르침과 부르심에 순종하는 삶은 모든 삶의 중심에 예수님께서 자리하는 것이다. “예수님을 닮아가는 사람”, “예수님과 같아지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제자로서의 배움은 자기 자신의 판단을 포기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예수님을 따르도록 인도하는 하나님의 말씀에 자신을 내어 맡김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배우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스승의 뒤를 따르며 자기 삶의 방향까지 바꾸어 스승의 삶과 인격을 그대로 본받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의 삶이 그리스도를 따르고 마음을 열고 가르침을 받으려는 태도를 가지고 예수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인정하며, 모든 순결치 못한 행실과 습관들을 벗어 버리고 말씀을 통하여 죄로부터 분리되는 순결한 삶을 살아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매일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묵상하며, 이 말씀을 어떻게 삶에 적용할지를 생각하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가져야한다.
복음증거와 전도를 제일의 중요성을 두지 않는 그리스도인은 제자라고 할 수 없다. 교회생활과 그리스도인들의 교제속에서 섬기는 사람으로 나아가야한다. 하나님께 자신의 소유를 주님의 일에 드리고 있어야한다.
마지막으로 삶 속에서 9가지 성령의 열매를 나타내는 사람이 되어야한다.
우리는 연약하지만 약할 때 강함 주시는 주님의 은혜를 의지하여서 날마다 예수님의 제자가 되도록 기도하고 노력해야한다. 오늘날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모든 자들이 참된 제자의 모습이 되기 원하며, 우리의 삶이 되길 소망한다.
참고 문헌
A. 학위 논문
문진석. “마가복음의 제자도” 미간행신학석사학위 논문, 대전침례 신학대학원 2006
장승현. “누가복음에 나타난 제자도” 미간행신학석사학위논문, 호서대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04
B. 한국어 서적
이희승. 「국어대사전」, 서울 : 민중서림, 1982
C. 번역서
W. E. Wine, The Interpretation of Biblical Languaga, 「원어연구해설」, vol. 4, 벧엘성서출판부 옮김 서울: 벧엘성서간행사, 1986
Michael J. Wilkins, Following the Master, 「제자도」, 이억부 옮김, 서울: 은성, 1995
프랜시스 M. “제자의 삶”, 코스그로브 저, 서울 : 네비게이토출판사, 2001
D. 영문 및 외국 서적
K. H. Rengstorf, \"μαθτ\" TDNT Ⅱ, ed. Gerhard Kittel and Gerhard Friedrich, trans. G. W. Bromiley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1964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