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자의 주재권 - 실천신학개론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자의 주재권 - 실천신학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주재권(Lordship)이란 무엇인가?
2. 예수 그리스도가 왕 되신 이유
3. 인간 이해를 통한 주재권 이양
4. 삶의 주재권을 이렇게 이전하라.
5. 주재권을 인정하는 제자의 삶
6. 주재권의 증거-순종
7. 명예이전 완료
Ⅲ.결론

본문내용

순종하지도 않는다. 롬8:7
2) 우리의 삶의 새 주인
하나님은 그리스도와 함께 우리를 십자가에 못 박으셨다. 하나님은 우리의 자기중심의 삶을 처리하셨을 뿐 아니라 또한 우리에게 새로운 주인을 주셨다. 우리의 새로운 주인은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그 분은 우리의 중심에 살기 위해 오셨고 그 분은 우리 삶의 주이시다.
우리는 우리의 자아로부터 해방되기 위해서는 먼저 자아를 부인해야 한다. 만일 우리가 주님을 따르기를 원한다면 우리 중심의 보좌에서 자아를 내려놓아야 한다. 더 이상 내 인생의 주인은 내가 아니고 그리스도여야 한다. 다음으로는 그리스도 안에 있는 우리의 신분을 믿어야 한다. 또한 그리스도께 온전히 순종하며 우리의 새 주인임을 인정해야 한다.
그리스도께 순종한다는 것은 우리 자신을 그 분께 모두 드리고 매일 매일 그분을 따르는 것을 말한다.
4)주재 권의 점검
① 우선 순위.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그리하면 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더하시리라\"(마 6:33).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일에 최우선이 되셔야 하며, 우리의 삶 속에서 자유롭게 역사하셔야 한다.
② 몸.
우리는 값으로 산 바된 자들이며, 그 구매 대상에는 우리가 거하고 있는 몸도 포함된다(고전 6:19-20). 우리 몸은 그분의 성전이다.
③ 소유물.
하나님은 우리에게 주신 모든 것의 주인이시다. 우리의 모든 소유, 재능, 시간 등 모든 것은 주님께서 우리에게 맡기신 그의 소유이다.
④ 대인 관계.
주님께서는 우리에게 서로를 사랑하라고 말씀하셨다. 서로를 사랑한다는 것은 우리가 예수님의 제자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도께서 행하셨듯이 우리도 주님을 닮아서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고 보살펴줄 줄 알아야 한다.
⑤ 직장, 가정 및 학교 생활.
우리는 어디에 있든지 무엇을 하든지 모든 일에 있어서 주님께 순종하고 주님께 의지하며 나아가야 한다.
⑥ 언어와 생각.
우리의 삶에 있어서 언어와 생각은 늘 주님께서 주인이 되셔야 한다. 주님은 우리의 언어와 생각을 통하여서 말씀하고자 하신다. 하나님은 우리의 마음을 다 알고 계시고 살피시기 때문에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올바르지 못한 생각을 가져서는 안 된다.
Ⅲ. 결론
우리는 살아가면서 모든 인생을 주님께 내어드리고 주님을 주인으로 모셔야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우리의 주재권을 모두 그리스도께 맡기고 따라가며 살아가야 한다.
제자의 주재권이라는 것은 자신의 모든 것을 포기하고 내려놓음으로써 오직 주님만을 따르며 나아가는 것이다. 주님께서는 제자의 주인 되시는 분이시고 항상 함께 하시기 때문에 주님을 주로 모시고 살아가는 인생에서는 먼저 우리의 자아를 버리고 주님을 날마다 순종하고 주님을 인정하고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먼저 구할 수 있는 제자로서 살아가야 한다.
◆ 참고 문헌
1. 데이빗 왓슨, 문동학 역.「제자도」.서울: 두란노. 1991.
2. 프랜시스 코스그로브. 「제자의 삶」.서울: 네비게이토 출판사. 2010.
3. 옥한흠. 「작은 예수가 되라」.서울: 도서출판 국제제자훈련원. 2006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