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생애 리더 애플 신념 및 명언 업적 성과 경영 리더십)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티브 잡스 (스티브 잡스 생애 리더 애플 신념 및 명언 업적 성과 경영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티브 잡스의 생애
2. 리더 선정이유
3. 애플로고의 탄생 및 기원
4. 신념 및 명언 철학
5. 업적 및 성과
6. 스티브잡스 식 경영
7. 스티브잡스의 리더십
8. 한국 CEO에 대한 시사점
9. 본받을 점

본문내용

펼치는 사람을 선호했다. 잡스의 공격적인 말투는 만약 진심으로 훌륭한 아이디어라고 확신하고 있다면 그와 논쟁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라는 일종이 테스트였다.
(7) 직원들이 최상의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해라.
“나의 일은 개발자들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고, 조직의 잡다한 일들을 처리하고 개발자들이 아무것에도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잡스는 항상 직원들이 최상의 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배려했다. 애플의 사원식당은 실리콘 밸리에서 구글과 함께 가장 맛이 뛰어난 곳으로 유명하다. 이는 잡스가 사내에 있는 카페테리아를 운영하는 회사를 내쫓고 그가 잘 아는 레스토랑의 요리사들을 직접 고용한 덕분이었다.
특히나 잡스의 자애로운 후원자로써의 면모는 픽사에 드러났다. 잡스는 자신이 나설 때와 나서지 않을 때를 잘 아는 사람이었다. 애플에서는 스스로가 제품을 개발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에 개발을 진두지휘했지만, 픽사에서는 영화제작에 일체 관여하지 않았다. 다만, 회사에 돈이 떨어지면 계속해서 자금을 제공해준다던가, 자신이 도와줄 수 있는 광고와 마케팅에 있어서는 솔선수범하여 도왔다. 잡스가 단순히 오만방자하고 무례하기만 했다면, 결코 직원들의 자발적인 충성심과 존경심을 얻지 못했을 것이다.
9. 본받을 점
(1) 돈이 아닌 품질에 집중하다.(Focus on Quality, Not Money)
잡스에게는 (삶의 목적)이 결코 돈에 대한 것은 아니었다. 22살 때 그는 아무것도 없었지만 23살 때 백만 달러를 벌었고 24살 때 천만 달러, 25살 때는 1억 달러를 벌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는 그의 행운에 불편해 했다. 그의 관심은 삶을 개선시키는 제품을 만들고 사람들의 생활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데 있었다. 그것이 살아가는 목적이었고 아침에 일어나게끔 하는 원동력이었다. 돈은 그가 생각하지 않고 관심두지 않은 단지 부수적인 것이었다.
“묘지에서 가장 부자가 되는 것은 관심 없다. 잠자리에 들면서 뭔가 훌륭한 것을 해냈다라는 것이 나에게는 관심사이다.”라고 잡스는 말했다.
→ 일반적 대학생들은 돈을 최우선시하면서 물질적 만족에 따라 일자리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잡스는 돈 그 자체보다도 품질에 집중하여 삶을 개선시키기 위한 제품을 만드는 데 열중했다. 이러한 점은 돈이라는 물질적 가치만을 쫓으려는 대학생들에게 반성을 불러일으키는 대목이다. 돈 그 자체를 중시할 것이 아니라, 삶의 목적과 품질 그리고 자신이 추구하는 바에 대한 집중과 열정이 중요시된다.
(2) 현재나 과거가 아닌 미래에 집중하다.(Focus on the Future, Not the Present or Even the Past.)
항상 비전을 갖고 잡스는 시대를 앞서 갔다. 기업들은 아무런 영감 없이 제품을 쏟아낼 뿐 너무나 자주 현재의 함정에 빠진다. 몇 가지 예를 든다. 1998년 플로피 디스크가 필요 없는 첫 아이맥 제품이 나왔을 때 다른 컴퓨터 제조업체들은 여전히 당시까지 플로피 디스크를 사용하는 제품을 만들었다. 키보드가 없는 아이 폰이 출시되었을 때 당시 가장 대중적인 스마트폰이었던 블랙베리는 키보드가 포함되어 있었다. 초창기 맥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모든 사람을 위한 컴퓨터를 현재는 아이패드로 이루고자 하였다. 이러한 모든 결정들에 대해 대중들의 반발이 있었지만 결국 사람들은 차츰 애플로 돌아왔고 이러한 앞선 생각으로부터 혜택을 받았다. 더 많은 기업들이 동일한 가치관을 갖는다면 세계는 더 혁신적이게 될 것이다.
→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미래에 대한 생각을 한 스티브잡스의 모습에서 대학생들이 추구해야 할 바를 알 수 있다. 현실에서 옳다고 생각하는 기존의 가치는 미래에 까지 옳은 것일 수는 없다. 기존의 고정관념을 과감히 타파하고 미래에 대한 혁신적인 생각들이 미래 발전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혁신과 변화라는 중요한 가치에 대해 대학생들은 인지할 필요가 있다.
(3) 사람들이 요구한 것이 아닌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보여주다.
Show People What They Want, Not What They Ask For
어떠한 제품도 그 혼자만의 아이디어가 아니었다. 그러나 그는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마지막 순간에만 말하는 사람이었다. 특정 소수 그룹에 의지할 때 발생하는 문제는 그들이 질문 받는 형태에 의존적이고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관련된 사람들이 당시에 이미 존재하는 제품에 근거하여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편견을 갖는다는 것이다. 비즈니스 공동체는 사람들이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해 더 집중해야 하며, 현재 여기보다는 미래에 더 집중해야 한다.
→ 잡스는 제품을 만들기에 앞서, 고객들이 의견을 듣는 ‘포커스 그룹’을 만들지 않았다. 즉, 사람들이 필요하다고 요구하는 제품을 만들기보다는 ‘지금까지 이러한 제품 없이 어떻게 살았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제품을 보여주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의 혁신적인 생각은 기존의 필요하다고 여기는 것에 대한 편견을 깨뜨리는 것이었다. 잡스의 혁신적인 면모는 기존의 관념에 안주하고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 경종을 울리는 것으로서, 창의력과 열정이 바탕이 된 대학생활을 영위해야 하는 바를 시사한다.
참고문헌
박영기, 정영운(2009). 리더십 유형의 분류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정책연구. 9(3), 81-101
강준만(2012), 탐욕을 예찬하는 박애 자본주의의 전도사-빌게이츠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 인물과 사상, 33-60
http://sunnysky.tistory.com/517
리더스북/김영한(기업인)저/스티브 잡스의 창조 카리스마
알마/유카리 이와타니 케인 저│이민아 역/스티브 잡스 이후의 애플
<스티브 잡스>, 월터 아이작슨 저, 민음사, 2011
, 스티브 잡스 어록, 조지 빔 엮음, 쌤 엔 파커스, 2011
, 윌리엄 사이먼 저, 민음사, 2005
스탠포드대학 졸업식 축사, 2005
https://ko.wikipedia.org/wiki/스티브_잡스
http://mktarcadia.com/1056
h쎄://www.multiwriter.co.kr/976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9.03.1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79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