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발달 상태를 보이는 승윤의 경우를 넣은 것은 아이들의 생각이나 생각을 표현하는 언어가 한 단계에 정확하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단계에 걸쳐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내가 수업시간에 교수님과의 대화를 통해 느낀 것은 그동안 행동이면의 생각이나 내 행동의 배경에 대해 깊게 생각하고 그것을 논리적으로 정리해보았던 경험이 정말로 부족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대답만을 자꾸 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딜레마 토론들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의 체계를 잡아보고 행동 뒤에 얼마나 논리적인 생각들이 있는지를 스스로 느끼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교사는 이러한 가치를 직접 지도하기보다는 도덕발달을 이끄는 촉진제의 역할로서, 도덕성 발달 단계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발문을 던지도록 하였다.
교사는 이러한 가치를 직접 지도하기보다는 도덕발달을 이끄는 촉진제의 역할로서, 도덕성 발달 단계를 끌어올릴 수 있는 발문을 던지도록 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