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덕목 설정 이유 - 절제(節制)
2. 이야기
3. 발문 및 수업에의 적용
4. 느낀 점
2. 이야기
3. 발문 및 수업에의 적용
4. 느낀 점
본문내용
자라 하나같이 자기가 원하는 것만 하려하고, 그리고 그 원하는 걸 적당한 선에서 끊을 줄 모른다. 자기 스스로 참고 조절할 수 있는 ‘절제’의 미덕을 잊어가는 것 같다. 사실 나부터 절제의 덕목을 가슴에 더 깊이 새겨야 할 것이다. 덕목이 정해지고 나자 두 번째 고비가 찾아왔다. 과연 절제와 관련된 어떤 이야기를 선택해야할 것인가를 또 고민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뭔가 거창한 이야깃거리를 찾아오고 싶어 한참을 헤맸다. 하지만 이야기는 ‘절제’ 란 덕목의 중요성을 가장 쉽고 가장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 이다. 이 이야기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이야기다. 매우 단순하고 짧은 이야기이지만 이 상징적인 이야기는 ‘절제’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야기를 통해 덕목을 가르치는 것은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아동들은 따분한 교과서를 벗어나 재밌고 유익한 이야기를 듣고, 교사의 자연스러운 발문에 따라 그 이야기를 곱씹어보면서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뜻을 깨닫고 한 단계 높은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 나가서도 이러한 이야기 교육법을 활용하여 일거양득의 수업을 하고 싶다.
이야기를 통해 덕목을 가르치는 것은 매우 효율적일 것이다. 아동들은 따분한 교과서를 벗어나 재밌고 유익한 이야기를 듣고, 교사의 자연스러운 발문에 따라 그 이야기를 곱씹어보면서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뜻을 깨닫고 한 단계 높은 도덕성을 함양할 수 있다. 학교 현장에 나가서도 이러한 이야기 교육법을 활용하여 일거양득의 수업을 하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