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교육선교의 시작
3. 피어슨기념연합성경학교
4. 연희전문학교
5. 숭실전문학교
6. 나가며
2. 교육선교의 시작
3. 피어슨기념연합성경학교
4. 연희전문학교
5. 숭실전문학교
6. 나가며
본문내용
량에 심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교육공동체로 성장한 사례를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서정민, 앞의 책, 107-108.
이렇듯 언더우드의 철저한 에큐메니즘으로 말미암아 오늘의 연세가 있고 우리가 이 곳에서 공부하는 것이다.
끝으로, 언더우드가 조선기독교대학의 영문 표기를 정한 이야기로 본 발제를 마치고자 한다. 당시 조선은 영문으로 \'choson\', 혹은 \'chosun\'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언더우드는 굳이 조선을 \'chosen\', 즉 ‘선택된’이란 뜻을 가진 단어로 표기하였다. 이 곳에서 공부하는 모든 자,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자’라는 특별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원해서였던 것이다. 서정민, “언더우드:한국 기독교 고등교육의 꿈”,『연세의 발전과 한국사회』(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399.
※ 참고문헌
서정민,『언더우드家 이야기』, 서울: 살림출판사, 2005.
______,『한국교회의 역사』, 서울: 살림출판사, 2003.
______, “언더우드:한국 기독교 고등교육의 꿈”,『연세의 발전과 한국사회』,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신수일,『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사』, 서울: 쿰란출판사, 2008.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한국 기독교의 역사Ⅰ』, 서울: 기독교문사, 1989.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연세대학교백년사』,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85.
숭실대학교100년사편찬위원회,『숭실대학교100년사』, 서울: 숭실대학교출판부, 1997.
홍승표,「언더우드의 에큐메니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5.
이렇듯 언더우드의 철저한 에큐메니즘으로 말미암아 오늘의 연세가 있고 우리가 이 곳에서 공부하는 것이다.
끝으로, 언더우드가 조선기독교대학의 영문 표기를 정한 이야기로 본 발제를 마치고자 한다. 당시 조선은 영문으로 \'choson\', 혹은 \'chosun\'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언더우드는 굳이 조선을 \'chosen\', 즉 ‘선택된’이란 뜻을 가진 단어로 표기하였다. 이 곳에서 공부하는 모든 자, ‘하나님의 선택을 받은 자’라는 특별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원해서였던 것이다. 서정민, “언더우드:한국 기독교 고등교육의 꿈”,『연세의 발전과 한국사회』(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399.
※ 참고문헌
서정민,『언더우드家 이야기』, 서울: 살림출판사, 2005.
______,『한국교회의 역사』, 서울: 살림출판사, 2003.
______, “언더우드:한국 기독교 고등교육의 꿈”,『연세의 발전과 한국사회』,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신수일,『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사』, 서울: 쿰란출판사, 2008.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한국 기독교의 역사Ⅰ』, 서울: 기독교문사, 1989.
연세대학교백년사편찬위원회,『연세대학교백년사』,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85.
숭실대학교100년사편찬위원회,『숭실대학교100년사』, 서울: 숭실대학교출판부, 1997.
홍승표,「언더우드의 에큐메니즘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