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서 기억에 남는다. 그래서 나는 기억에 남는 선생님들의 장점을 살려서 다가가기 쉽지만 그렇다고 만만하게 보이지는 않는 선생님이 되고 싶었는데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해 알아보다 보니 어쩌면 나의 교직관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과 비슷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었다.
3. 초등교과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
초등학교 교과서 도덕 3학년 2학기에는 ‘약속과 규칙’이라는 단원이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사례들이 나오는데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는 상황들이 제시되고 있다. 첫 번째 일화인 수철이의 고민에서 수철이는 친구들과 중요한 협동과제를 하기로 한 상황에서 집에 갑자기 손님이 오게 되어 어머니를 도와드려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 때에 수철이가 어떻게 해야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해답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이 때에 수철이가 둘 중에 어느 것을 택하든지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사람에게는 각자에게 더 중요한 가치가 있고 그것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어떤 것을 택하더라도 수철이가 취해야 할 행동이다. 친구들과의 약속이 깨뜨릴 수 없는 약속이고 중요한 일이라면, 엄마에게 어떠한 상황인지 차분하게 설명해 드려야 하며, 양해를 구한 뒤에 친구들에게 간다면 엄마와 수철이, 친구들 모두 잘 해결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엄마가 하실 일이 너무 바빠서 친구들에게 못 가게 되고 엄마를 도와드려야 한다면 친구들에게 연락을 취해 사과를 하고 수철이가 해야 할 몫을 따로 맡아야 할 것이다. 여기서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택하는 방법이 아닌, 자신의 가치에 따라 최선의 선택을 하되, 어떻게 하면 어느 한 쪽에 기울어지지 않는 선택을 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런데 조금 생각해 보아야 할 사례가 조금 뒤에 나오게 된다. 약속을 지킨 안창호 선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일제시대에 안창호 선생이 일본순사에게 붙잡힐 것을 알면서도 약속을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섰다가 체포되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를 읽고 아이들이 약속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때의 안창호 선생의 행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각으로 보면 만용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내가 이 단원을 가르친다면 약속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큰 궁극적 목적을 위해 적절한 판단이 필요했다고 덧붙여 가르치고 싶은 생각이 든다.
3. 초등교과에 적용해 보면 어떨까..?
초등학교 교과서 도덕 3학년 2학기에는 ‘약속과 규칙’이라는 단원이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사례들이 나오는데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는 상황들이 제시되고 있다. 첫 번째 일화인 수철이의 고민에서 수철이는 친구들과 중요한 협동과제를 하기로 한 상황에서 집에 갑자기 손님이 오게 되어 어머니를 도와드려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이 때에 수철이가 어떻게 해야 현명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해답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다고 생각한다. 이 때에 수철이가 둘 중에 어느 것을 택하든지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사람에게는 각자에게 더 중요한 가치가 있고 그것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어떤 것을 택하더라도 수철이가 취해야 할 행동이다. 친구들과의 약속이 깨뜨릴 수 없는 약속이고 중요한 일이라면, 엄마에게 어떠한 상황인지 차분하게 설명해 드려야 하며, 양해를 구한 뒤에 친구들에게 간다면 엄마와 수철이, 친구들 모두 잘 해결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엄마가 하실 일이 너무 바빠서 친구들에게 못 가게 되고 엄마를 도와드려야 한다면 친구들에게 연락을 취해 사과를 하고 수철이가 해야 할 몫을 따로 맡아야 할 것이다. 여기서 아이들에게 가르쳐야 하는 것은 곤란한 상황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상황을 택하는 방법이 아닌, 자신의 가치에 따라 최선의 선택을 하되, 어떻게 하면 어느 한 쪽에 기울어지지 않는 선택을 하는가 하는 것이다. 그런데 조금 생각해 보아야 할 사례가 조금 뒤에 나오게 된다. 약속을 지킨 안창호 선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일제시대에 안창호 선생이 일본순사에게 붙잡힐 것을 알면서도 약속을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섰다가 체포되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를 읽고 아이들이 약속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 때의 안창호 선생의 행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각으로 보면 만용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내가 이 단원을 가르친다면 약속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큰 궁극적 목적을 위해 적절한 판단이 필요했다고 덧붙여 가르치고 싶은 생각이 든다.
추천자료
초등학교2학년 바른생활 교과 목표, 초등학교2학년 바른생활 교과 내용체계와 학습내용, 초등...
초등학교 3학년 도덕과(도덕교육)의 목표와 실태, 초등학교 3학년 도덕과(도덕교육)의 내용체...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덕 윤리학과 초등도덕교과에의 적용
[초등도덕교육] 아리스토텔레스와 덕 교육
도덕교육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행복이란 무엇인가 - 초등교과 - 약속과 규칙
[초등 도덕 교육] 아리스토텔레스 (생애 철학 사례 분석)
[초등도덕교육론]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와 도덕교육 - 중용의 원리와 습관화를 중심으로
덕의 윤리를 통한 행복에의 도달 - 아리스토텔레스와 나딩스의 윤리학 이론을 중심으로 - 3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