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교과서 84,85쪽에서 제시된 이야기나 이 제재와 맞는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들이 담긴 동화나 공익광고를 찾아서 아이들에게 제시한다.
② 제시된 이야기를 보고 아이들이 경험했던 일들을 떠올려 보게 한 후 모둠별로 친구들에게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의 경험을 이야기 하게 한다.
③ 본격적으로 교과서에 나온 단원을 공부하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아이들에게 타인 배려가 굉장히 어렵고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에서 남을 존중해 주고, 다른 사람을 나와 똑같이 소중한 존재로 인정해 주는 것이라고 하고, 봉사는 대가를 바라지 않고 기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알려준다.
④ 그럼 우리가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를 해야 하는 이유를 아이들에게 발문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을 배려할 때 가져야 할 태도와 마음가짐에 대해 말하게 한다.(이때, 내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를 했을 때의 느낌과 다른 사람으로부터 그 배려와 봉사를 받았을 때의 느낌을 말해보도록 한다.)
⑤ 학습활동을 통해서 타인 배려와 봉사의 의미와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중요성을 되새긴다.
⑥ 지금까지의 내용을 살피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의 중요성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해보고, 아이들이 실제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보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진다.
⑦ 타인 배려와 봉사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⑧ 자기 생활의 반성과 타인에 대해 배려하고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는다.
▶ 덕 윤리를 적용해야 하는 이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기능에 있어 이성과 사유만이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참된 기능이라고 하였다. 이는 이 제재의 덕목인 ‘타인배려’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하는 행동이 물질적인 것 못지않게 정신적인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제재에서는 무엇보다 이러한 이성적인 측면에서 많은 고민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또한 아이들에게 이러한 타인배려와 봉사가 일시적인 발휘가 아니라 계속적인 실천과 반복을 통해 “덕”을 쌓음으로써 아이들의 삶에 있어서 행복이라는 최고의 선에 이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즉, 아이들이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러한 타인배려와 봉사를 반복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인간답게 살아가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행복한 삶으로의 연장에서 이 제재를 덕 윤리로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② 제시된 이야기를 보고 아이들이 경험했던 일들을 떠올려 보게 한 후 모둠별로 친구들에게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의 경험을 이야기 하게 한다.
③ 본격적으로 교과서에 나온 단원을 공부하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에 대한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알아본다. 아이들에게 타인 배려가 굉장히 어렵고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에서 남을 존중해 주고, 다른 사람을 나와 똑같이 소중한 존재로 인정해 주는 것이라고 하고, 봉사는 대가를 바라지 않고 기쁜 마음으로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것이라고 알려준다.
④ 그럼 우리가 살아가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를 해야 하는 이유를 아이들에게 발문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을 배려할 때 가져야 할 태도와 마음가짐에 대해 말하게 한다.(이때, 내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를 했을 때의 느낌과 다른 사람으로부터 그 배려와 봉사를 받았을 때의 느낌을 말해보도록 한다.)
⑤ 학습활동을 통해서 타인 배려와 봉사의 의미와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중요성을 되새긴다.
⑥ 지금까지의 내용을 살피면서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의 중요성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해보고, 아이들이 실제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들을 생각해보고 발표하는 시간을 가진다.
⑦ 타인 배려와 봉사활동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다.
⑧ 자기 생활의 반성과 타인에 대해 배려하고 실천하려는 의지를 갖는다.
▶ 덕 윤리를 적용해야 하는 이유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기능에 있어 이성과 사유만이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참된 기능이라고 하였다. 이는 이 제재의 덕목인 ‘타인배려’가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와 봉사하는 행동이 물질적인 것 못지않게 정신적인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제재에서는 무엇보다 이러한 이성적인 측면에서 많은 고민이 요구된다고 보았다. 또한 아이들에게 이러한 타인배려와 봉사가 일시적인 발휘가 아니라 계속적인 실천과 반복을 통해 “덕”을 쌓음으로써 아이들의 삶에 있어서 행복이라는 최고의 선에 이를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즉, 아이들이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이러한 타인배려와 봉사를 반복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인간답게 살아가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으므로 행복한 삶으로의 연장에서 이 제재를 덕 윤리로 적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