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덕목의 의미
2. 교과서 요약
3. 교과서 분석
2. 교과서 요약
3. 교과서 분석
본문내용
페이지나 바자회 같은 것들은 학생들이 자주 접한 소재이니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그 행동의 주체가 주로 어른인 것은 좋지 않은 것 같다. 또래 학생들이 주체로 등장하는 내용이었다면 좀 더 효과적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 2차시의 마지막에는 동시를 등장시켜 정의적 측면을 좀 더 극대화 하고자 한 것 같으나, 사실 동시는 교사나 학생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소재라고 생각한다.
3차시
- 교과서에는 우리 고장을 위해 힘써주시는 분들의 사진이 네 컷 들어있다. 이 사진을 보고 어른들께 감사 편지를 보내는 것이 주된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고향을 위해 일하고자 하는 마음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건 오히려 2차시 정의적 영역에 맞는 것 같다.
- 실천적 영역에는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들이 우리 고장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다.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을 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만 아이들의 수준에서 부담이 될 수 있으니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해준 후 다른 방안을 생각해 보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실천 계획서를 적게 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수업이 되지 않을까?
- 2차시의 마지막에는 동시를 등장시켜 정의적 측면을 좀 더 극대화 하고자 한 것 같으나, 사실 동시는 교사나 학생 모두에게 부담스러운 소재라고 생각한다.
3차시
- 교과서에는 우리 고장을 위해 힘써주시는 분들의 사진이 네 컷 들어있다. 이 사진을 보고 어른들께 감사 편지를 보내는 것이 주된 활동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고향을 위해 일하고자 하는 마음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건 오히려 2차시 정의적 영역에 맞는 것 같다.
- 실천적 영역에는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들이 우리 고장을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낫지 않을까 싶다. 아이들이 스스로 생각을 해 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겠지만 아이들의 수준에서 부담이 될 수 있으니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해준 후 다른 방안을 생각해 보게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실천 계획서를 적게 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수업이 되지 않을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