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사회과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민주주의 교육의 지향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등사회과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민주주의 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사회의 민주주의
1. 민주주의의 이상과 현실
2. 한국 민주주의의 과제인 민주화
3. 사회 교과서 내용 분석
Ⅲ. 초등사회과교육에서의 민주주의 교육
1. 일상민주주의
2. 정치적 판단력 증진을 위한 교육
3. 민주시민성교육
Ⅳ. 결론

본문내용

지식 자체에 한정한 제한이 있으나 지식에서 가치에 이르는 내재화과정은 지식과 지식의 구조화를 통해 지적기능을 함양하고 과정에의 참여를 통해 참여 기능을 함양함으로써 비판력과 협동력이라는 인식의 틀을 형성하여 문제에 대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공동체에 기여하려는 의식을 갖춘 민주시민성을 함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 맞추어 민주주의 본질적 개념을 민주주의의 이념, 제도와 절차, 생활양식으로 나누어 구성하고 민주시민성교육과정을 통하여 민주주의 가치를 내재화하고자 하였다. 앞의 책. p.418
이는 민주주의에 대한 지식과 기능의 습득이 가치 · 태도가 변화되도록 하는 내재화 과정을 거쳐 일상생활에서 민주적인 생각과 태도를 함양하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Ⅳ. 결론
사회과교육은 민주적인 소양을 가진 시민을 기르는데 목적이 있다. 민주적인 소양을 가진 사람은 불합리한 것에 대한 문제 제기와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는 등 사회에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이런 사람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본질적 개념을 민주주의의 이념, 제도와 절차, 생활 양식으로 나누어 개념 구성을 하고, 이러한 내용을 민주시민성교육과정을 통하여 민주주의의 가치를 내재화 시켜야 한다. 그래서 학교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비민주적인 문제에 대해 문제 제기를 할 수 있는 기회 제공과 그로 인해 피해를 입고 있는 사람들이 존재함을 알도록 하고, 약자라고 생각되는 모든 사람들을 동등하게 대할 수 있는 태도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를 일으킨 당사자들과 그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두 경청할 수 있는 태도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아이디어를 내면서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존중하고 타당한 방법인지를 검증할 수 있는 자세를 갖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사회적으로 이슈화되는 사건뿐 아니라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문제 상황을 통해 서로의 입장을 들어보고,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타당한 방법을 모색하도록 하여 비판력과 의사결정력이 포함된 정치적 판단력이 신장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민주주의를 포장해서 좋은 점만을 부각시켜 교육이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 민주주의가 지닌 약점을 보여주어야 한다. 대중 매체에 의해 국민의 이익에 반하는 정책이 제시되었을 경우 민주시민으로 그에 반대하는 의견을 확실히 표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민주주의를 이상화시켜 학습한 후 직접 현실 상황에서 민주주의를 실현하려 할 때는 혼란이 심해지게 되므로 민주주의의 약점을 인식하고 개선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민주주의에 참여하는 시민도 중요하지만, 민주주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가진 시민도 필요하다. 따라서 교사는 좋은 점만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문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점이나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가르쳐야 한다. 그것이 초등사회과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민주주의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 문헌 】
나정원(1994), 한국 민주주의의 성격과 과제, 사회과교육, 18, 50~77
이상인(2008), 민주화 이후 한국 민주주의의 과제: 일상의 민주주의와 민주적 시민성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0, 1, 95~126
이혜경(1992). 사회과 민주주의 구성 개념의 적절성 문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청주
장원순(2007), 초등사회과교육에서 정치적 판단력 증진을 위한 민주시민교육 접근법, 사회과교육, 46, 1, 107~125
추정훈(2004), 민주시민성 교육과정 속에서의 민주주의 교육, 시민교육연구, 36, 2, 399~421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9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