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오디션 프로그램과 그의 부작용
Ⅲ. 오디션 프로그램과 정의(正義)
Ⅳ. 나가는 말
Ⅱ. 오디션 프로그램과 그의 부작용
Ⅲ. 오디션 프로그램과 정의(正義)
Ⅳ. 나가는 말
본문내용
수 있다. 노직은 자유로운 경쟁 시장에서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자유로운 분배가 이루어지는 상황을 이상적인 상황으로 생각한다. 제작진을 국가라고 생각할 때, 국가의 인위적인 재분배는 부정의를 야기한다. 프로그램 분량이 오디션 공정성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을 때, 인위적으로 특정 참가자를 지지하거나 나쁜 이미지로 만들 수 있는 인위적인 분량 분배는 부정의를 야기할 수 이다고볼 수 있다.
3. 왈쩌가 바라보는 오디션 프로그램
왈쩌는 영역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각각의 사회적 가치 혹은 일련의 가치는 오직 어떤 분배적 기준 혹은 방식만이 적합한 분배 영역을 구성한다는 입장에서 오디션 프로그램만의 분배 양식이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볼 것이다. 가령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이라고 했을 때, 누가 우승자가 되어야 하는가는 그 프로그램 내지는 그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는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바대로 분배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즉, 가창력과 같은 조건에 가장 잘 부합하는 사람이 경쟁을 통해 최종적으로 우승자가 되어야 공정한 경쟁이었다고 볼 것이다.
Ⅳ. 결론
이상 현재 한국 사회에서 큰 트렌드로 자리 잡은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디션 프로그램과 정의의 문제를 연관시켜보면서, 진정한 경쟁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사회정의론자들의 평가 내지는 의견을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주제를 선택하게 된 계기는 서론에서도 언급했지만 한 시청자로서 부정의하다고 느꼈던 것이 시작이 되었다. 지금은 워낙 오디션 프로그램의 양이 넘쳐나면서 내용은 변질되고 원래 의도를 찾아보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오디션 프로그램과 정의를 함께 논하는 것이 현재는 무의미해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사회가 무한 경쟁 사회로 들어오면서 참된 경쟁의 의미와 공정한 경쟁의 의미마저 변질되는 것이 우려되어 재미있는 사례를 함께 생각하게 된 것이다. 재미난 주제이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토론학습에서도 이와 같은 주제를 선정하면 재미있는 토론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본다. 한 하기 사회정의론을 수강하고, 이 글을 마치면서 생각해보니, 사회 정의의 문제는 어둡고 칙칙한 문제가 아니라, 생활 속에서 우리의 옆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때문에 정의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럴 수도 있지 뭐, 왜 이렇게 예민하게 받아들여?’하는 반응이 아니라, 좀 더 민감하게 정의의 문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 민감성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3. 왈쩌가 바라보는 오디션 프로그램
왈쩌는 영역의 자율성을 강조한다. 각각의 사회적 가치 혹은 일련의 가치는 오직 어떤 분배적 기준 혹은 방식만이 적합한 분배 영역을 구성한다는 입장에서 오디션 프로그램만의 분배 양식이 무엇인지를 먼저 살펴볼 것이다. 가령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이라고 했을 때, 누가 우승자가 되어야 하는가는 그 프로그램 내지는 그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있는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바대로 분배되어야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즉, 가창력과 같은 조건에 가장 잘 부합하는 사람이 경쟁을 통해 최종적으로 우승자가 되어야 공정한 경쟁이었다고 볼 것이다.
Ⅳ. 결론
이상 현재 한국 사회에서 큰 트렌드로 자리 잡은 오디션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디션 프로그램과 정의의 문제를 연관시켜보면서, 진정한 경쟁이 될 수 있는가하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사회정의론자들의 평가 내지는 의견을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주제를 선택하게 된 계기는 서론에서도 언급했지만 한 시청자로서 부정의하다고 느꼈던 것이 시작이 되었다. 지금은 워낙 오디션 프로그램의 양이 넘쳐나면서 내용은 변질되고 원래 의도를 찾아보기 어려워졌기 때문에 오디션 프로그램과 정의를 함께 논하는 것이 현재는 무의미해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 사회가 무한 경쟁 사회로 들어오면서 참된 경쟁의 의미와 공정한 경쟁의 의미마저 변질되는 것이 우려되어 재미있는 사례를 함께 생각하게 된 것이다. 재미난 주제이기 때문에 중고등학교 토론학습에서도 이와 같은 주제를 선정하면 재미있는 토론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본다. 한 하기 사회정의론을 수강하고, 이 글을 마치면서 생각해보니, 사회 정의의 문제는 어둡고 칙칙한 문제가 아니라, 생활 속에서 우리의 옆에 항상 존재하고 있는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때문에 정의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럴 수도 있지 뭐, 왜 이렇게 예민하게 받아들여?’하는 반응이 아니라, 좀 더 민감하게 정의의 문제를 받아들일 수 있는 민감성을 키워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