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운 과거의 기억
과거의 기억은 아름답다고 하던가. 아픈 기억도 언제 그랬냐는 듯 저 먼발치에 있고 헤어진 여친들은 별로 만나고 싶지는 않지만 아름다운 추억들이 살아 숨 쉬는 듯하다. 어릴 적 힘들었던 사건들이 경험이라고 웃으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지금, 내 기억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조작된 기억들로 그렇게 보일지도 모른다. 과연, 지금 기억하고 있는 것들이 모두 실제로 있었던 일이었을까? 로프터스의 이론처럼 지어낸 기억이거나 어쩜 누구에게 세뇌당한 기억일수도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주변의 아주 작은 자극으로도 기억을 왜곡한다는 것이 로프터스 교수의 결론이다. 아주 작은 단서 하나를 가지고도 그럴 듯한 기억을 꾸며내어, 자신이 경험했다고 확신하는 많은 기억이 사실은 스스로 조작해낸 가짜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술자리나 친구와의 대화에서 나온 어떤 이야기 소스에 의해 뒤죽박죽 섞인 내 기억이 조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면 그것은 누군가에겐 유리하게, 때론 불리하고 무서운 기억으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변의 아주 작은 자극의 효과. 이러한 로프터스의 이론이 100% 사실로 가정한다고 할 때, 나는 과연 교사가 되어 아이들에게 좋은 자극의 효과를 줄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 스키너가 조금 가까워졌어요.
수많은 윤리학자들이 있고 철학가들이 있다. 그것은 암묵적으로 실생활과 너무 멀다. 관심을 두지 않는 이상 대중들과 접할 수 있는 철학자나 윤리학자들은 거의 없다. 이런 과제나 수업시간을 통해서만 이렇게 실생활과 연관되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책과 그 저자를 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스키너, 행동주의 심리학, 조작적 조건화, 강화, 처벌, 반응... 이러한 지식들의 나열이 큰 의미가 있을까? 물론 누군가에겐 중요하고 학문을 알아가는 단계에서 필요하겠지만 ‘나’라고 하는 사람에겐 없는 것이 ‘솔직한’ 답이다.
어찌됐던 이번 과제를 통해서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보여주신 자료 외의 것을 정리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흥미로운 실험들과 그것이 나라는 사람의 경험과 연관되어 나에 대해 한 번 더 돌아볼 수 있게 해준 계기가 된 것 같다.
※ 참고문헌 : [내 인생의 탐나는 심리학50] 톰 버틀러 보던, 이정은 옮김, 흐름출판.
[자유와 존엄을 넘어] B. F. 스키너, 정명진 옮김, 부글북스.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로렌 슬레이터, 조증열 옮김, 에코의 서재.
과거의 기억은 아름답다고 하던가. 아픈 기억도 언제 그랬냐는 듯 저 먼발치에 있고 헤어진 여친들은 별로 만나고 싶지는 않지만 아름다운 추억들이 살아 숨 쉬는 듯하다. 어릴 적 힘들었던 사건들이 경험이라고 웃으면서 이야기할 수 있는 지금, 내 기억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조작된 기억들로 그렇게 보일지도 모른다. 과연, 지금 기억하고 있는 것들이 모두 실제로 있었던 일이었을까? 로프터스의 이론처럼 지어낸 기억이거나 어쩜 누구에게 세뇌당한 기억일수도 있을 것이다. 사람들은 주변의 아주 작은 자극으로도 기억을 왜곡한다는 것이 로프터스 교수의 결론이다. 아주 작은 단서 하나를 가지고도 그럴 듯한 기억을 꾸며내어, 자신이 경험했다고 확신하는 많은 기억이 사실은 스스로 조작해낸 가짜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술자리나 친구와의 대화에서 나온 어떤 이야기 소스에 의해 뒤죽박죽 섞인 내 기억이 조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면 그것은 누군가에겐 유리하게, 때론 불리하고 무서운 기억으로 조작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주변의 아주 작은 자극의 효과. 이러한 로프터스의 이론이 100% 사실로 가정한다고 할 때, 나는 과연 교사가 되어 아이들에게 좋은 자극의 효과를 줄 수 있는가에 대해 생각해 볼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
◎ 스키너가 조금 가까워졌어요.
수많은 윤리학자들이 있고 철학가들이 있다. 그것은 암묵적으로 실생활과 너무 멀다. 관심을 두지 않는 이상 대중들과 접할 수 있는 철학자나 윤리학자들은 거의 없다. 이런 과제나 수업시간을 통해서만 이렇게 실생활과 연관되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책과 그 저자를 알아갈 수 있다는 것이 안타깝다. 스키너, 행동주의 심리학, 조작적 조건화, 강화, 처벌, 반응... 이러한 지식들의 나열이 큰 의미가 있을까? 물론 누군가에겐 중요하고 학문을 알아가는 단계에서 필요하겠지만 ‘나’라고 하는 사람에겐 없는 것이 ‘솔직한’ 답이다.
어찌됐던 이번 과제를 통해서 교수님께서 수업시간에 보여주신 자료 외의 것을 정리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흥미로운 실험들과 그것이 나라는 사람의 경험과 연관되어 나에 대해 한 번 더 돌아볼 수 있게 해준 계기가 된 것 같다.
※ 참고문헌 : [내 인생의 탐나는 심리학50] 톰 버틀러 보던, 이정은 옮김, 흐름출판.
[자유와 존엄을 넘어] B. F. 스키너, 정명진 옮김, 부글북스.
[스키너의 심리상자 열기] 로렌 슬레이터, 조증열 옮김, 에코의 서재.
추천자료
[상담심리] 현실치료의 개요, 개념, 요법, 절차, 치료사례, 평가, 견해 등등 정리 [A+레포트]
스키너(skinner)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에서 강화와 벌을 유아에게 어떻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
[사회복지실천론] 학습이론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학습이론의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적용 및 한계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학습의 강화원리 정적강화 및 부적강화를 적용하여 보고 자신의 실제 적...
초등도덕교육-리코나와 루스낵의 통합적 인격교육
리코나와 루스낵의 통합적 인격교육
스키너(B F Skinner)와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대하여
공리주의 - 경험사례와 교육적용방안 - 공리주의의 사상적 배경 쾌락 행위 규칙 공리주의 문...
스키너와 반듀라의 이론을 통한 아동의 올바른 도덕성 함양과 행동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