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인지언어학과 한국어
1장 인지언어학의 이해
1.1 인지언어학의 특징
1.1.1 변형문법과 인지언어학
1.1.2 인지과학과 인지언어학
1.1.3 원형이론
1.2 인지언어학의 방법
1.2.1 언어형식과 의미구조
1.2.2 파악방식의 중요성
2부 공간과 인지
2장 공간이론
2.1 공간개념
2.1.1정지개념
2.1.2 이동개념
2.2 공간개념의 추상화
2.2.1 임자씨의 추상화
2.2.2 풀이씨의 추상화
2.3 공간이론
3장 인지와 은유
3.1 언어와 인지의 관련성
3.2 인지
3.2.1 개념과 인지
3.2.2 범주화
3.3 은유
3.3.1 은유의 접근 방식
3.3.2 공간론적 은유
3.3.3 비공간론적 은유
4장 공간의 인지론적 해석
4.1 지각의 주관성
4.2 시선정지
4.3 시선이동
4.3.1 시선이동 1
4.3.2 시선이동 2
4.4 확장의미
4.4.1 추상화
4.4.2 비유법
5장 월의 원형․도식․확대 관계
5.1 상태변화월 원형
5.1.1 월의 의미구조
5.1.2 상태변화월의 원형
5.1.3 파생움직씨월의 의미구조
5.2 월의 도식과 확대
6장 매김 소유표현 연구
6.1 매김 소유와 풀이 소유
6.2 매김 소유
6.2.1 자유 소유표현
6.2.2 합성 소유표현
6.3 매김 소유표현의 도식
6.3.1 장소도식
6.3.2 매김도식
6.3.3 소유도식
6.3.4 행위도식
7장 풀이 소유월의 도식 연구
7.1 상태소유월 도식
7.1.1 장소도식
7.1.2 매김도식
7.1.3 소유도식
7.1.4 상태도식의 관련성
7.2 이동풀이 소유월 도식
7.2.1 이동도식
7.2.2 이동도식의 특징
8장 조건월의 인지론적 해석
8.1 배경의 인지론적 설정
8.1.1 배경의 설정 근거
8.1.2 배경의 정도성
8.2 조건월의 해석
8.2.1 시간적 배경
8.2.2 논리적 배경
8.2.3 가정적 배경
1장 인지언어학의 이해
1.1 인지언어학의 특징
1.1.1 변형문법과 인지언어학
1.1.2 인지과학과 인지언어학
1.1.3 원형이론
1.2 인지언어학의 방법
1.2.1 언어형식과 의미구조
1.2.2 파악방식의 중요성
2부 공간과 인지
2장 공간이론
2.1 공간개념
2.1.1정지개념
2.1.2 이동개념
2.2 공간개념의 추상화
2.2.1 임자씨의 추상화
2.2.2 풀이씨의 추상화
2.3 공간이론
3장 인지와 은유
3.1 언어와 인지의 관련성
3.2 인지
3.2.1 개념과 인지
3.2.2 범주화
3.3 은유
3.3.1 은유의 접근 방식
3.3.2 공간론적 은유
3.3.3 비공간론적 은유
4장 공간의 인지론적 해석
4.1 지각의 주관성
4.2 시선정지
4.3 시선이동
4.3.1 시선이동 1
4.3.2 시선이동 2
4.4 확장의미
4.4.1 추상화
4.4.2 비유법
5장 월의 원형․도식․확대 관계
5.1 상태변화월 원형
5.1.1 월의 의미구조
5.1.2 상태변화월의 원형
5.1.3 파생움직씨월의 의미구조
5.2 월의 도식과 확대
6장 매김 소유표현 연구
6.1 매김 소유와 풀이 소유
6.2 매김 소유
6.2.1 자유 소유표현
6.2.2 합성 소유표현
6.3 매김 소유표현의 도식
6.3.1 장소도식
6.3.2 매김도식
6.3.3 소유도식
6.3.4 행위도식
7장 풀이 소유월의 도식 연구
7.1 상태소유월 도식
7.1.1 장소도식
7.1.2 매김도식
7.1.3 소유도식
7.1.4 상태도식의 관련성
7.2 이동풀이 소유월 도식
7.2.1 이동도식
7.2.2 이동도식의 특징
8장 조건월의 인지론적 해석
8.1 배경의 인지론적 설정
8.1.1 배경의 설정 근거
8.1.2 배경의 정도성
8.2 조건월의 해석
8.2.1 시간적 배경
8.2.2 논리적 배경
8.2.3 가정적 배경
소개글